목차
1.서 론
2.기업 소개
3.우리나라에서 영화관 산업의 역사
4.환경 분석
5.롯데시네마 SWOT 분석
6.롯데시네마 STP 분석
7.롯데시네마 7P 분석
8.결론
9.참고 자료
2.기업 소개
3.우리나라에서 영화관 산업의 역사
4.환경 분석
5.롯데시네마 SWOT 분석
6.롯데시네마 STP 분석
7.롯데시네마 7P 분석
8.결론
9.참고 자료
본문내용
내부 벽의 색상이나 장식, 의자나 가구, 서비스 생산에 필요한 시설물 등이 내부 환경을 구성한다. 내부 환경은 고객의 만족과 생산성에 직결된다. 롯데시네마는 자사의 고급스런 이미지와 고객의 편의를 위해 여러 차별화된 내부 환경을 갖추고 있다.
-장애인 전용화장실
-여성 전용 화장실 파우더룸
-무료 쇼핑백 보관함
-고객의 입장에서 설계된 편안한 동선
-최고급 틸트형 좌석으로 편안한 관람환경
-유아영화 관람을 위한 베이비 시트
② 외부환경
롯데시네마는 교통이 편리한 백화점에 선점해있고, 장소를 이동하지 않고도 기다리는 시간을 즐길 수 있도록 영화관과 같은 층에 게임센터와 커피Shop이 구비되어 있다. 롯데시네마는 백화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쇼핑과 영화를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다.
☞서비스물적증거관리
① 서비스 생산관리
롯데시네마는 혼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시설적인 측면에서 로비를 최대한 넓게 하는 등 기존 영화관에 영화관 좌석을 넓게 배치하였고, 영화관 입, 출입시 동선을 편리하게 설계하였다.
② 고객의 인식관리
고객의 인식관리를 통해 혼잡성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 롯데시네마는 다양한 먹거리와, 대형게임장 등을 영화관 내에 구비하여 소비자들이 다른 사람에 대한 주위를 돌릴 수 있도록 하였다.
7) People
①인적관리
*우수 직원 및 아르바이트 요원을 선발해 해외연수 및 시상하는 제도를 통해 자발적으로 서비스 개선 의욕을 고취시키고 있다.
*전문적인 서비스 교육 - 각 체인점들은 '호텔식 극장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아르바이트생을 포함한 전 직원들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서비스교육을 실시. '친절'과 '미소'로 고객들을 맞도록 하고 있다.
*자체 감찰단 운영- 비정기적으로 '친절' 감사를 실시.
② 서비스 관리
서비스 아카데미 프로그램
직원들은 극장 서비스 자체로 고객에게 사랑, 행복 그리고 감동을 주겠다는 신념으로 고객을 대하고 있으며 극장마다 점장-매니저-바이저-스태프에 이르는 단계별로 서비스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운영.
외부 평가단 서비스 - 외부 평가단을 두어서 비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운영
8. 결론
최근 조사에 따르면 선호 영화관으로는 CGV가 가장 많았고, 그 뒤로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순이였다. 선호 영화관의 선정 기준으로는 주변환경과 브랜드이미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롯데시네마는 선발업체인 CGV에 비해 입지가 좋지만, 시설과, 종업원 서비스가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롯데시네마는 시설의 최신화와 종업원 서비스 교육을 실시하여 롯데시네마의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다른 멀티플렉스 극장과 비교했을 때 롯데시네마가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은 입지적 조건이며 상영시설 및 주변환경이 두 번째 장점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가지는 단점으로는 상영시설이 타 영화관 보다 뒤떨어지고 종업원과 제공서비스라는 서비스 측면이 단점으로 꼽혔으며, 롯데시네마는 이러한 단점을 상영시설의 확충과 직원의 서비스 교육을 위해 서비스 아카데미 등을 개설하여, 고객만족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롯데시네마는 멀티플렉스 극장 중 업계2위라는 꼬리표를 떼어내기 위해서 롯데시네마가 실행하고 있는 마케팅전략 계획으로는 2008년까지 50개 멀티플렉스극장에 420개의 스크린 확보로 업계 최대의 규모를 확보를 꾀하고 있다. 하지만 스크린 수 늘리기보다 중요한 것은 시설에 대한 투자와 고객을 소중히 여기는 진정한 서비스 의식이 필요할 것이며 고객의 입맛을 끄는 롯데시네마의 독특한 경쟁력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전체적인 조건으로 볼 때 롯데시네마는 좋은 입지와 좋은 브랜드 이미지를 가짐에도 영화관으로서의 시설 및 투자가 부족하다. CGV와 메가박스가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종 설비투자에 힘을 쏟음에도 불구하고 롯데시네마의 노력은 미비하기 그지없다.
또한 롯데라는 이미지와 종업원의 서비스품질 격차가 심해 고객들은 감동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롯데시네마는 향후 멀티플렉스의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가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CJ 자회사인 프리머스가 새롭게 경쟁에 가세했다. 불과 2년 사이에 전국 스크린 205개라는 엄청난 스크린 수와 전국 각 영화관마다 VIP 석을 따로 마련하고 각종 이벤트를 활발히 벌이고 있다. 조사하는 과정에 롯데시네마와 이 새로운 경쟁자와의 비교를 해보았을 때 롯데시네마는 노화되어 가는 듯하다.
갈수록 늘어나는 스크린수에 대해 영화계 일각에서는 시장 포화가 빚을 지나친 경쟁을 우려하고 있다. 일부 대기업 멀티플렉스 극장들은 아직까지 국내 영화시장이 포화를 우려할 상태는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현재 추세로 스크린이 늘어나면 내후년쯤에는 시장 포화를 피할 수 없다.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 과열 경쟁은 불 보듯 뻔하다. 극장이 손쉽게 경쟁의 도구로 삼을 수 있는 수단은 가격이다. 관객 입장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영화를 볼 수 있어 좋지만 결과적으로 가격 인하는 서비스의 질 저하와 영화 산업으로 되돌아갈 투자 비용의 축소라는 문제를 낳으며 영화산업 전체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기회로 바꾸기 위해서 롯데시네마에서는 무조건 가격 경쟁의 측면에서 고객을 유치할 것이 아니라 타 경쟁사에 비해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 등을 개발하여 단순한 영화관의 수익 증대가 아닌 고객관리의 일환으로 소비자에게 다가가야 할 것이다.
롯데라는 거대한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고 타 경쟁사에 비해 약간 높은 가격을 책정하되 그들만의 고품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장기적으로 명품형 영화관의 입지를 다질수 있는 하나의 전략이라고 생각된다.
포화되어 가는 영화시장에서 공룡들이 살아남으려면 시장점유율보다 고객의 충성도를 올리는 방법이 더 현명한 선택일 것이다.
9. 참고 자료
통계청(http://www.nso.go.kr/)
문화관광부보도자료, “20011 국민 여가활동 조사”, 2011
한국경제연구원(http://www.keri.org/)
극장의 영화선택과 상영관 배분전략에 관한 연구 - 영화진흥위원회 이원희, 라준영 지음
http://www.lottecinema.co.kr/
-장애인 전용화장실
-여성 전용 화장실 파우더룸
-무료 쇼핑백 보관함
-고객의 입장에서 설계된 편안한 동선
-최고급 틸트형 좌석으로 편안한 관람환경
-유아영화 관람을 위한 베이비 시트
② 외부환경
롯데시네마는 교통이 편리한 백화점에 선점해있고, 장소를 이동하지 않고도 기다리는 시간을 즐길 수 있도록 영화관과 같은 층에 게임센터와 커피Shop이 구비되어 있다. 롯데시네마는 백화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쇼핑과 영화를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다.
☞서비스물적증거관리
① 서비스 생산관리
롯데시네마는 혼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시설적인 측면에서 로비를 최대한 넓게 하는 등 기존 영화관에 영화관 좌석을 넓게 배치하였고, 영화관 입, 출입시 동선을 편리하게 설계하였다.
② 고객의 인식관리
고객의 인식관리를 통해 혼잡성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 롯데시네마는 다양한 먹거리와, 대형게임장 등을 영화관 내에 구비하여 소비자들이 다른 사람에 대한 주위를 돌릴 수 있도록 하였다.
7) People
①인적관리
*우수 직원 및 아르바이트 요원을 선발해 해외연수 및 시상하는 제도를 통해 자발적으로 서비스 개선 의욕을 고취시키고 있다.
*전문적인 서비스 교육 - 각 체인점들은 '호텔식 극장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아르바이트생을 포함한 전 직원들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서비스교육을 실시. '친절'과 '미소'로 고객들을 맞도록 하고 있다.
*자체 감찰단 운영- 비정기적으로 '친절' 감사를 실시.
② 서비스 관리
서비스 아카데미 프로그램
직원들은 극장 서비스 자체로 고객에게 사랑, 행복 그리고 감동을 주겠다는 신념으로 고객을 대하고 있으며 극장마다 점장-매니저-바이저-스태프에 이르는 단계별로 서비스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운영.
외부 평가단 서비스 - 외부 평가단을 두어서 비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운영
8. 결론
최근 조사에 따르면 선호 영화관으로는 CGV가 가장 많았고, 그 뒤로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순이였다. 선호 영화관의 선정 기준으로는 주변환경과 브랜드이미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롯데시네마는 선발업체인 CGV에 비해 입지가 좋지만, 시설과, 종업원 서비스가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롯데시네마는 시설의 최신화와 종업원 서비스 교육을 실시하여 롯데시네마의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다른 멀티플렉스 극장과 비교했을 때 롯데시네마가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은 입지적 조건이며 상영시설 및 주변환경이 두 번째 장점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가지는 단점으로는 상영시설이 타 영화관 보다 뒤떨어지고 종업원과 제공서비스라는 서비스 측면이 단점으로 꼽혔으며, 롯데시네마는 이러한 단점을 상영시설의 확충과 직원의 서비스 교육을 위해 서비스 아카데미 등을 개설하여, 고객만족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롯데시네마는 멀티플렉스 극장 중 업계2위라는 꼬리표를 떼어내기 위해서 롯데시네마가 실행하고 있는 마케팅전략 계획으로는 2008년까지 50개 멀티플렉스극장에 420개의 스크린 확보로 업계 최대의 규모를 확보를 꾀하고 있다. 하지만 스크린 수 늘리기보다 중요한 것은 시설에 대한 투자와 고객을 소중히 여기는 진정한 서비스 의식이 필요할 것이며 고객의 입맛을 끄는 롯데시네마의 독특한 경쟁력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전체적인 조건으로 볼 때 롯데시네마는 좋은 입지와 좋은 브랜드 이미지를 가짐에도 영화관으로서의 시설 및 투자가 부족하다. CGV와 메가박스가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종 설비투자에 힘을 쏟음에도 불구하고 롯데시네마의 노력은 미비하기 그지없다.
또한 롯데라는 이미지와 종업원의 서비스품질 격차가 심해 고객들은 감동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롯데시네마는 향후 멀티플렉스의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가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CJ 자회사인 프리머스가 새롭게 경쟁에 가세했다. 불과 2년 사이에 전국 스크린 205개라는 엄청난 스크린 수와 전국 각 영화관마다 VIP 석을 따로 마련하고 각종 이벤트를 활발히 벌이고 있다. 조사하는 과정에 롯데시네마와 이 새로운 경쟁자와의 비교를 해보았을 때 롯데시네마는 노화되어 가는 듯하다.
갈수록 늘어나는 스크린수에 대해 영화계 일각에서는 시장 포화가 빚을 지나친 경쟁을 우려하고 있다. 일부 대기업 멀티플렉스 극장들은 아직까지 국내 영화시장이 포화를 우려할 상태는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현재 추세로 스크린이 늘어나면 내후년쯤에는 시장 포화를 피할 수 없다.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 과열 경쟁은 불 보듯 뻔하다. 극장이 손쉽게 경쟁의 도구로 삼을 수 있는 수단은 가격이다. 관객 입장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영화를 볼 수 있어 좋지만 결과적으로 가격 인하는 서비스의 질 저하와 영화 산업으로 되돌아갈 투자 비용의 축소라는 문제를 낳으며 영화산업 전체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기회로 바꾸기 위해서 롯데시네마에서는 무조건 가격 경쟁의 측면에서 고객을 유치할 것이 아니라 타 경쟁사에 비해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 등을 개발하여 단순한 영화관의 수익 증대가 아닌 고객관리의 일환으로 소비자에게 다가가야 할 것이다.
롯데라는 거대한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고 타 경쟁사에 비해 약간 높은 가격을 책정하되 그들만의 고품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장기적으로 명품형 영화관의 입지를 다질수 있는 하나의 전략이라고 생각된다.
포화되어 가는 영화시장에서 공룡들이 살아남으려면 시장점유율보다 고객의 충성도를 올리는 방법이 더 현명한 선택일 것이다.
9. 참고 자료
통계청(http://www.nso.go.kr/)
문화관광부보도자료, “20011 국민 여가활동 조사”, 2011
한국경제연구원(http://www.keri.org/)
극장의 영화선택과 상영관 배분전략에 관한 연구 - 영화진흥위원회 이원희, 라준영 지음
http://www.lottecinema.co.kr/
추천자료
cj 엔터테인먼트의 성공비결
CG CGV의 성공요인 분석
CGV마케팅 전략 분석
[서비스 경영론] CGV의 서비스 전략
기업 마케팅 CGV 핵심성공요인
[현대사회와 레저] CGV, 에버랜드 분석
롯데쇼핑,마케팅전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CGV 기업조사 - CGV 1위를 지키기 위해서!!
[마케팅원론] 롯데월드
CJ CGV의 SWOT분석과 마케팅사례를 통한 성공요인분석과 미래제안
CGV - CJ Goldenharvest Village roadsh
CGV_서비스마케팅
서비스 운영관리 - 롯데월드 (비전체계도 , 기업의 서비스 개념 및 서비스 분류, 고객접점 및...
CGV 서비스 마케팅 기업조사 {기업소개, 환경분, SWOT, GOAL, STP, 7P}.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