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무로마치(室町)시대
<기타야마 문화의 회화>
○정상(頂相, 친조오, 친소오, 쵸오소오 등으로 호칭됨)
○수묵화
=무로마치 시대의 수묵화(水墨画)=
=대표화가와 각대표작=
・ 죠세쯔(如拙,생몰연대미상)
・ 슈우분(周文 생몰연대미상):
・민쵸(明兆, 1352-1431)
<히가시야마 문화의 회화(絵画)>
○수묵화
=대표화가와 각대표작=
○ 카노(狩野)파
=대표 작가와 각 대표작=
・카노 모토노부(狩野元信, 1476-1559)
○토사(土佐)파
=대표화가와 대표작가=
・토사 미쯔노부(土佐光信, 1434?-1525)
<기타야마 문화의 회화>
○정상(頂相, 친조오, 친소오, 쵸오소오 등으로 호칭됨)
○수묵화
=무로마치 시대의 수묵화(水墨画)=
=대표화가와 각대표작=
・ 죠세쯔(如拙,생몰연대미상)
・ 슈우분(周文 생몰연대미상):
・민쵸(明兆, 1352-1431)
<히가시야마 문화의 회화(絵画)>
○수묵화
=대표화가와 각대표작=
○ 카노(狩野)파
=대표 작가와 각 대표작=
・카노 모토노부(狩野元信, 1476-1559)
○토사(土佐)파
=대표화가와 대표작가=
・토사 미쯔노부(土佐光信, 1434?-1525)
본문내용
무로마치(室町)시대
남북조① 분열의 시대를 거쳐, 무로마치 막부 3대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미쯔(足利義満)의 시대에 이르러, 마침내 1392년에 남조와 북조는 통일을 이루게 되었고, 문화의 중심은 다시 교토로 옮겨졌다. 요시미쯔는 교토의 기타야마(北山)에 산장을 운영하는데(후일의 로쿠온지(鹿苑寺②)), 이 때문에 이 시대의 문화를 기타야마 문화라고 일컫기도 한다.
8대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마사(足利義政)는 위정자로서의 임무는 소홀히 하고, 차도와 서예, 당문물(중국 당나라에서 건너온 문물), 애완동물 등의 취미에 빠져 있었다. 그러나 이 때문에 문화 진흥에는 커다란 공헌을 했으며, 그의 산장(후일 지쇼오지(慈照寺③)가 히가시야마(東山)에 있었기 때문에 이 시대의 문화를 히가시야마 문화라고 칭하기도 한다.
역대의 아시카가 쇼군들은 선종(禅宗④)을 중시하고 이를 보호하였기 때문에 교토를 중심으로 선종사원이 융성하여, 이로부터 조원(造園), 문학, 차도 등 여러 문화가 탄생되었다.
<기타야마 문화의 회화>
○정상(頂相, 친조오, 친소오, 쵸오소오 등으로 호칭됨)
선종 승려들의 초상화, 혹은 조각을 일컬음. 선종 사찰의 창립자인 고승을 기리기 위해 고승의 제자인 승려들이 주문한 것들이다.
≪ … 중 략 … ≫
<히가시야마 문화의 회화(絵画)>
○수묵화
=대표화가와 각대표작=
・셋슈(雪舟,1420-1506)
무로마치 시대에 활동한 수묵화가. 선종승려. 교토 소코꾸지(相国寺)에서 수도한 후, 견명선(遣明船)⑧에 동승하여 명으로 건너가, 중국의 화법을 배웠다. 송, 명의 고전과 浙 절파의 화법을 흡수하고, 각지를 여행하며 사생화를 그리면서 중국화의 직접 묘사로부터 벗어난 일본의 독자적인 수묵화풍을 확립하였다. 후일 일본 화단에 끼친 영향이 크다.
남북조① 분열의 시대를 거쳐, 무로마치 막부 3대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미쯔(足利義満)의 시대에 이르러, 마침내 1392년에 남조와 북조는 통일을 이루게 되었고, 문화의 중심은 다시 교토로 옮겨졌다. 요시미쯔는 교토의 기타야마(北山)에 산장을 운영하는데(후일의 로쿠온지(鹿苑寺②)), 이 때문에 이 시대의 문화를 기타야마 문화라고 일컫기도 한다.
8대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마사(足利義政)는 위정자로서의 임무는 소홀히 하고, 차도와 서예, 당문물(중국 당나라에서 건너온 문물), 애완동물 등의 취미에 빠져 있었다. 그러나 이 때문에 문화 진흥에는 커다란 공헌을 했으며, 그의 산장(후일 지쇼오지(慈照寺③)가 히가시야마(東山)에 있었기 때문에 이 시대의 문화를 히가시야마 문화라고 칭하기도 한다.
역대의 아시카가 쇼군들은 선종(禅宗④)을 중시하고 이를 보호하였기 때문에 교토를 중심으로 선종사원이 융성하여, 이로부터 조원(造園), 문학, 차도 등 여러 문화가 탄생되었다.
<기타야마 문화의 회화>
○정상(頂相, 친조오, 친소오, 쵸오소오 등으로 호칭됨)
선종 승려들의 초상화, 혹은 조각을 일컬음. 선종 사찰의 창립자인 고승을 기리기 위해 고승의 제자인 승려들이 주문한 것들이다.
≪ … 중 략 … ≫
<히가시야마 문화의 회화(絵画)>
○수묵화
=대표화가와 각대표작=
・셋슈(雪舟,1420-1506)
무로마치 시대에 활동한 수묵화가. 선종승려. 교토 소코꾸지(相国寺)에서 수도한 후, 견명선(遣明船)⑧에 동승하여 명으로 건너가, 중국의 화법을 배웠다. 송, 명의 고전과 浙 절파의 화법을 흡수하고, 각지를 여행하며 사생화를 그리면서 중국화의 직접 묘사로부터 벗어난 일본의 독자적인 수묵화풍을 확립하였다. 후일 일본 화단에 끼친 영향이 크다.
키워드
추천자료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앙리 마티스 (HENRI MATISSE)의 회화작품 연구 (드로잉(Drawing)작품을 중심으로)
포스트 모더니즘과 대중문화
[한지][선지][화지]한지(한국전통한지) 발견과 역사, 한지(한국전통한지) 유형, 한지(한국전...
2013년 1학기 문화와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고구려인의 생활과 정신문화
2013년 2학기 문화와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문화와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문화와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에 대한 접근 -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사회문화적 접근, 통합적 접근(스...
2016년 1학기 문화와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한국전통문화] 풍속화의 이해와 김흥도의 풍속화 작품 소개(김흥도 풍속화의 특징과 김흥도 ...
2018년 1학기 문화와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문화의 개념(정의)과 특성 문화의 유형과 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