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개요
위험인자
병리
증상
진단
예후
치료
논의
위험인자
병리
증상
진단
예후
치료
논의
본문내용
말초동맥질환은 동맥경화증의 흔한 임상 양상으로, 유병율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심혈관계 위험인자가 있을 경우 증가함
유병률은 전체 성인에서 12% 내외, 70세 이상에서는 20% 정도로 보고됨
심혈관계 사망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말초동맥질환 이환 시 사망률도 6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짐
Adult Treatment Panel(ATP) Ⅲ guideline 에서는 말초동맥질환을 첫 10년간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성이 20% 이상인 CHD(coronary artery disease) risk equivalents로, 복부대동맥류, 경동맥질환, 당뇨 등과 함께 규정함
90% 이상이 복부대동맥분지부 이하의 하지 혈관을 침범함
동맥경화증과 병리 소견이 같고 관상동맥질환과 같이 산소의 공급 부족으로 발생한 허혈로 인한 증상이 발생
협착이나 폐쇄를 보이는 분절성 병변이 대혈관이나 중간 크기의 혈관에 많으며, 노인과 당뇨 환자는 원위부의 작은 혈관에 호발
2005년 ACC/AHA guideline에 의한 50세 이상의 환자들의 임상적 증상
-무증상 : 20-50%
-비전형적인 하지 통증 : 40-50%
-전형적인 간헐적 파행 : 10-35%
-critical limb ischemia : 1-2%
가장 흔한 특징적인 증상인 간헐적 파행(claudicaton)은 운동에 의해 유발되고 휴식에 의해 경감되는 일정 근육군들의 재현 가능한 불편감으로 정의되며, 통증, 경련, 저림, 쇠약, 피로감이 나타남
전형적인 증상에만 의존하면 90%까지 진단을 놓칠 수 있고, 가장 중요한 감별점은 posterior tibial pulse의 이상임
유병률은 전체 성인에서 12% 내외, 70세 이상에서는 20% 정도로 보고됨
심혈관계 사망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말초동맥질환 이환 시 사망률도 6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짐
Adult Treatment Panel(ATP) Ⅲ guideline 에서는 말초동맥질환을 첫 10년간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성이 20% 이상인 CHD(coronary artery disease) risk equivalents로, 복부대동맥류, 경동맥질환, 당뇨 등과 함께 규정함
90% 이상이 복부대동맥분지부 이하의 하지 혈관을 침범함
동맥경화증과 병리 소견이 같고 관상동맥질환과 같이 산소의 공급 부족으로 발생한 허혈로 인한 증상이 발생
협착이나 폐쇄를 보이는 분절성 병변이 대혈관이나 중간 크기의 혈관에 많으며, 노인과 당뇨 환자는 원위부의 작은 혈관에 호발
2005년 ACC/AHA guideline에 의한 50세 이상의 환자들의 임상적 증상
-무증상 : 20-50%
-비전형적인 하지 통증 : 40-50%
-전형적인 간헐적 파행 : 10-35%
-critical limb ischemia : 1-2%
가장 흔한 특징적인 증상인 간헐적 파행(claudicaton)은 운동에 의해 유발되고 휴식에 의해 경감되는 일정 근육군들의 재현 가능한 불편감으로 정의되며, 통증, 경련, 저림, 쇠약, 피로감이 나타남
전형적인 증상에만 의존하면 90%까지 진단을 놓칠 수 있고, 가장 중요한 감별점은 posterior tibial pulse의 이상임
추천자료
산소화 요구
심도자술을 받는 아동 간호 -
협심증(angina pectoris) 케이스
고지혈증
혈압조절기전과 혈압판정기준
고혈압 약의 종류와 교육내용
심전도에 대하여 (EKG)
9장2절 심혈관계 건강사정 (concept map포함)
[신경외과] AVM & Embolization(뇌동정맥기형)
[심장][박동][내압][혈압][심박출량][심장질환][심혈관계질환][인공심장]심장과 박동, 심장과...
노인 순환기계 질환 (고혈압, 뇌졸중, 심부전, 허혈성 심질환)
뇌동정맥기형 (Arteriovenous Malformation)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뇌동정맥기형 원인,...
Dopamine - 혈관 수축제 및 혈압상승제, 혈관 확장제 및 혈압강하제, 부정맥 치료약물, 항경...
[고혈압과 저혈압] 고혈압 원인과 증상, 고혈압의 분류와 진단, 고혈압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