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itle
2. Date
3. Principle
4. Apparatus&Reagents
1)Apparatus
2)Reagents
5. Procedure
6. Result
7. Discussion
1) 수율
2) 오차율
8. Reference
2. Date
3. Principle
4. Apparatus&Reagents
1)Apparatus
2)Reagents
5. Procedure
6. Result
7. Discussion
1) 수율
2) 오차율
8. Reference
본문내용
뒀다가 무게를
쟀다. 너무 과하게 건조를 했기 때문에 무게가 줄었고 또 처음에 쟀던 저울과 다 른 저울을 사용했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했을거라고 생각한다. 결과적으로 우리 조 의 스티렌 수득율은 0%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실험은 용액 중합법을 하는데 이온중합이나 라디칼 중합에 사용된다. 이번 실험의 경우엔 개시제 로써 AIBN을 넣었는데 AIBN은 라디칼을 생성하므로 라디칼 중합이다. AIBN은 Fig 7.처럼 라디칼 2개를 생성해 라디칼중합의 개시제로써 사용된다. 소량의 AIBN 을 첨가하면 AIBN 라디칼이 고분자의 precursor을 라 디칼로 만들며, 연속적으로 라디칼이 생겨 고분자가 차례로 만들어지게 된다. 즉, 그만큼 개시제가 중요하 다는 것인데 이 개시제를 너무 소량 넣어서 스티렌이 나오지 않았을 수도 있다. 0.05g을 넣어야 했는데 스케일 자체가 작은데다가 저울도 눈금이 계속 왔다갔다했 다. 스케일이 큰 경우에는 작은 눈금변화는 크게 영향 이 없지만 이번처럼 작은 경우에는 큰 영향을 받았을 [ Fig 6. 2조 침전 ] 것이다. 때문에 스티렌이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 Fig 7. AIBN의 라디칼 생성과정 ]
- 용액중합은 중합을 물중에서 행해 중합 중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용매를 선택하는게 까다롭고(개시제, 단량체를 녹일 수 있어야 하며, 사슬 이동제의 역할을 해야 함.) 반응기 부피당 수율이 낮으며 용매제거단계가 필요하다. 다음과 같은 용액중합의 특징을 보면 반응기 부피당 수율이 낮은 편이란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용액중합의 특징도 스티렌의 수율 을 낮추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 처음에 스티렌을 넣을 때 정제된 스티렌을 넣어 반응을 시키는데 이 스티렌은 기계가 아닌 사람의 손으로 만들기 때문에 정확하다고 할 수 없다. 눈으로 보이 는 것과 실제로 정제된 정도가 같다고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완벽하게 정제된 스티렌을 사용했다 할 수 없다.
- 우리 조는 처음 5분 동안 교반을 하지 않았다. 교반은 용액을 흔들어서 섞어주 는 효과가 있는데 이것을 5분 동안 하지 않았으므로 온도가 43 나 올라가는 과정동안 교반을 해주지 않았다는 것이 된다. 이 시간동안 용액 내에서 많은 변 화가 일어나지는 않았겠지만 그래도 조금은 영향을 줬을것이라고 생각한다.
8. Reference
1) 고분자 화학 입문 /박문수외 3인 /2003.3.20 /자유아카데미 / p.408~409
2) http://blog.naver.com/neotakako75?Redirect=Log&logNo=40026991436
3) http://blog.naver.com/lotusysc?Redirect=Log&logNo=100154032346
4)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5&docId=119048205&qb
5) http://blog.naver.com/lovelybobi?Redirect=Log&logNo=60044263436
쟀다. 너무 과하게 건조를 했기 때문에 무게가 줄었고 또 처음에 쟀던 저울과 다 른 저울을 사용했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했을거라고 생각한다. 결과적으로 우리 조 의 스티렌 수득율은 0%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실험은 용액 중합법을 하는데 이온중합이나 라디칼 중합에 사용된다. 이번 실험의 경우엔 개시제 로써 AIBN을 넣었는데 AIBN은 라디칼을 생성하므로 라디칼 중합이다. AIBN은 Fig 7.처럼 라디칼 2개를 생성해 라디칼중합의 개시제로써 사용된다. 소량의 AIBN 을 첨가하면 AIBN 라디칼이 고분자의 precursor을 라 디칼로 만들며, 연속적으로 라디칼이 생겨 고분자가 차례로 만들어지게 된다. 즉, 그만큼 개시제가 중요하 다는 것인데 이 개시제를 너무 소량 넣어서 스티렌이 나오지 않았을 수도 있다. 0.05g을 넣어야 했는데 스케일 자체가 작은데다가 저울도 눈금이 계속 왔다갔다했 다. 스케일이 큰 경우에는 작은 눈금변화는 크게 영향 이 없지만 이번처럼 작은 경우에는 큰 영향을 받았을 [ Fig 6. 2조 침전 ] 것이다. 때문에 스티렌이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 Fig 7. AIBN의 라디칼 생성과정 ]
- 용액중합은 중합을 물중에서 행해 중합 중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용매를 선택하는게 까다롭고(개시제, 단량체를 녹일 수 있어야 하며, 사슬 이동제의 역할을 해야 함.) 반응기 부피당 수율이 낮으며 용매제거단계가 필요하다. 다음과 같은 용액중합의 특징을 보면 반응기 부피당 수율이 낮은 편이란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용액중합의 특징도 스티렌의 수율 을 낮추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 처음에 스티렌을 넣을 때 정제된 스티렌을 넣어 반응을 시키는데 이 스티렌은 기계가 아닌 사람의 손으로 만들기 때문에 정확하다고 할 수 없다. 눈으로 보이 는 것과 실제로 정제된 정도가 같다고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완벽하게 정제된 스티렌을 사용했다 할 수 없다.
- 우리 조는 처음 5분 동안 교반을 하지 않았다. 교반은 용액을 흔들어서 섞어주 는 효과가 있는데 이것을 5분 동안 하지 않았으므로 온도가 43 나 올라가는 과정동안 교반을 해주지 않았다는 것이 된다. 이 시간동안 용액 내에서 많은 변 화가 일어나지는 않았겠지만 그래도 조금은 영향을 줬을것이라고 생각한다.
8. Reference
1) 고분자 화학 입문 /박문수외 3인 /2003.3.20 /자유아카데미 / p.408~409
2) http://blog.naver.com/neotakako75?Redirect=Log&logNo=40026991436
3) http://blog.naver.com/lotusysc?Redirect=Log&logNo=100154032346
4)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5&docId=119048205&qb
5) http://blog.naver.com/lovelybobi?Redirect=Log&logNo=60044263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