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산업화 이론
2. 성장거점이론
3. 종속이론
4. 기본수요이론
5. 지역생활권이론
6. 중심지-주변지 모형(The Core-periphery model)
시사점
2. 성장거점이론
3. 종속이론
4. 기본수요이론
5. 지역생활권이론
6. 중심지-주변지 모형(The Core-periphery model)
시사점
본문내용
국가의 구조적 변화가 요구됨
5. 지역생활권이론
지역생활권의 개념
- 지역의 발전을 위해 구분해 놓은 하나의 공간단위
- 도시와 농촌의 통합
- 도농의 균형을 통한 인구의 도시이동 방지
정주권의 형성
- 일본의 제3차 전국종합개발계획의 정주권계획
- 중심도시를 구심점으로 하여 주변 농촌과 서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형성
도농통합전략(agropolitan)
- 기본수요개념을 실제로 응용한 것
- Friedmann and Douglass의 도농접근법
6. 중심지-주변지 모형(The Core-periphery model)
Polarization Hypothesis라고도 함
1950년대
지역의 공간적 이질성을 기초로 중심지와 배후지로 구분
중심지: 개발요인이 집중된 곳, 기술혁신의 산실
배후지: 중심지의 개발효과를 수용하는 곳
Autonomy-dependency pattern
중심지와 배후지 관계는 종속관계=>힘의 불균등분배
중심지: 배후지역 통괄, 자치권 행사
배후지: 중심지에 노동, 자본, 원자재 공급, 배후지역의 성장 및 개발은 전적으로 중심지의 정치, 경제, 사회환경에 의존(종속지역)
Friedman의 지역발전의 4단계
1) preindustrial localized settlement pattern
2) core-periphery
3) dispersion into some parts of the periphery
4) the development of a spatially integrated system of interdependent regions
중심지의 정의: 산업화, 도시화에 의한 분류가 아닌 \'기술혁신\'의 center.
중심지: 기술변화(혁신)의 창조 및 흡수능력이 높은 지역체제의 일부
주변지역: 중심지의 환경에 의하여 발전단계가 결정되는 종속지역
이때 기술진보는 광의의 의미로서 물질적, 기술적, 정신적, 제도적 진보를 의미
Paradigm: 사회의 공간조직을 결정함에 있어 중심지와 주변지는 도시화와 적어도 네가지 과정과 관계가 있다.
1. 기술혁신의 전파: 사회문화적 양식을 변화시킴
2. 통제과정: 힘의 관계 패턴이 결정됨
정치 및 행정력의 집중으로 중심지는 주변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적 자치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3. 인구이동: 거주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중심지의 힘의 집중 촉진
4. 투자과정: 중심지 및 주변지역에서의 경제활동의 공간적 패턴 결정
이중 1, 2단계는 현대화의 공간조직을, 3, 4단계는 경제적 공간조직을 결정하며 이 두 조직은 사회의 공간조직을 결정한다.
시사점
공간에 있어서의 힘의 관계(정치, 경제, 사회적): 도시와 농촌, 중심지와 배후지역->투쟁의 관계->개도국의 지역발전의 전제조건으로서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의 중요성 강조
*입지이론은 비경제적인 요인도 고려하여야 한다
- 시장의 근접성 <== 수송수단, 정보망, 의사소통 포함
- 기업가들은 정부권력의 중심지에 직접 접근하고자 한다
정부공사의 계약, 독점력의 보호, 허가 등의 통제회피, 각종규제로부터의 면제 및 자금조달 보증 등
5. 지역생활권이론
지역생활권의 개념
- 지역의 발전을 위해 구분해 놓은 하나의 공간단위
- 도시와 농촌의 통합
- 도농의 균형을 통한 인구의 도시이동 방지
정주권의 형성
- 일본의 제3차 전국종합개발계획의 정주권계획
- 중심도시를 구심점으로 하여 주변 농촌과 서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형성
도농통합전략(agropolitan)
- 기본수요개념을 실제로 응용한 것
- Friedmann and Douglass의 도농접근법
6. 중심지-주변지 모형(The Core-periphery model)
Polarization Hypothesis라고도 함
1950년대
지역의 공간적 이질성을 기초로 중심지와 배후지로 구분
중심지: 개발요인이 집중된 곳, 기술혁신의 산실
배후지: 중심지의 개발효과를 수용하는 곳
Autonomy-dependency pattern
중심지와 배후지 관계는 종속관계=>힘의 불균등분배
중심지: 배후지역 통괄, 자치권 행사
배후지: 중심지에 노동, 자본, 원자재 공급, 배후지역의 성장 및 개발은 전적으로 중심지의 정치, 경제, 사회환경에 의존(종속지역)
Friedman의 지역발전의 4단계
1) preindustrial localized settlement pattern
2) core-periphery
3) dispersion into some parts of the periphery
4) the development of a spatially integrated system of interdependent regions
중심지의 정의: 산업화, 도시화에 의한 분류가 아닌 \'기술혁신\'의 center.
중심지: 기술변화(혁신)의 창조 및 흡수능력이 높은 지역체제의 일부
주변지역: 중심지의 환경에 의하여 발전단계가 결정되는 종속지역
이때 기술진보는 광의의 의미로서 물질적, 기술적, 정신적, 제도적 진보를 의미
Paradigm: 사회의 공간조직을 결정함에 있어 중심지와 주변지는 도시화와 적어도 네가지 과정과 관계가 있다.
1. 기술혁신의 전파: 사회문화적 양식을 변화시킴
2. 통제과정: 힘의 관계 패턴이 결정됨
정치 및 행정력의 집중으로 중심지는 주변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적 자치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3. 인구이동: 거주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중심지의 힘의 집중 촉진
4. 투자과정: 중심지 및 주변지역에서의 경제활동의 공간적 패턴 결정
이중 1, 2단계는 현대화의 공간조직을, 3, 4단계는 경제적 공간조직을 결정하며 이 두 조직은 사회의 공간조직을 결정한다.
시사점
공간에 있어서의 힘의 관계(정치, 경제, 사회적): 도시와 농촌, 중심지와 배후지역->투쟁의 관계->개도국의 지역발전의 전제조건으로서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의 중요성 강조
*입지이론은 비경제적인 요인도 고려하여야 한다
- 시장의 근접성 <== 수송수단, 정보망, 의사소통 포함
- 기업가들은 정부권력의 중심지에 직접 접근하고자 한다
정부공사의 계약, 독점력의 보호, 허가 등의 통제회피, 각종규제로부터의 면제 및 자금조달 보증 등
추천자료
한류의 발전 방안
동아시아의 가족주의,성,공동체
새마을운동의 정책목표와미래설계[오늘날 행정과정책의 관점에서].
20세기 중국의 역사적 경험과 한국사회
주민자치센터 운영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프랑스의 교육][프랑스 교육]프랑스의 교육제도, 프랑스의 교사양성제도, 프랑스의 교과서정...
120,미국의 도시계획,미국도시계획,근대도시계획,현대도시계획,격자형도시,지역제,유클리드 ...
[일본경제, 일본, 경제, 일본경제 특징, 일본경제 발전과정, 자본주의화]일본경제의 특징, 일...
[정당민주화][정당][민주화][정당민주화 연혁][정당민주화 필요성][권위주의][지역주의]정당...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유형과 사례
공중보건학 역사 [고대 중세 근대 현대]
동아시아 경제론 일본의 전후 3대 경제개혁과 현대의 일본경제에 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