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발전 근대 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발전 근대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산업화 이론

2. 성장거점이론

3. 종속이론

4. 기본수요이론

5. 지역생활권이론

6. 중심지-주변지 모형(The Core-periphery model)

시사점

본문내용

국가의 구조적 변화가 요구됨
5. 지역생활권이론
지역생활권의 개념
- 지역의 발전을 위해 구분해 놓은 하나의 공간단위
- 도시와 농촌의 통합
- 도농의 균형을 통한 인구의 도시이동 방지
정주권의 형성
- 일본의 제3차 전국종합개발계획의 정주권계획
- 중심도시를 구심점으로 하여 주변 농촌과 서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형성
도농통합전략(agropolitan)
- 기본수요개념을 실제로 응용한 것
- Friedmann and Douglass의 도농접근법
6. 중심지-주변지 모형(The Core-periphery model)
Polarization Hypothesis라고도 함
1950년대
지역의 공간적 이질성을 기초로 중심지와 배후지로 구분
중심지: 개발요인이 집중된 곳, 기술혁신의 산실
배후지: 중심지의 개발효과를 수용하는 곳
Autonomy-dependency pattern
중심지와 배후지 관계는 종속관계=>힘의 불균등분배
중심지: 배후지역 통괄, 자치권 행사
배후지: 중심지에 노동, 자본, 원자재 공급, 배후지역의 성장 및 개발은 전적으로 중심지의 정치, 경제, 사회환경에 의존(종속지역)
Friedman의 지역발전의 4단계
1) preindustrial localized settlement pattern
2) core-periphery
3) dispersion into some parts of the periphery
4) the development of a spatially integrated system of interdependent regions
중심지의 정의: 산업화, 도시화에 의한 분류가 아닌 \'기술혁신\'의 center.
중심지: 기술변화(혁신)의 창조 및 흡수능력이 높은 지역체제의 일부
주변지역: 중심지의 환경에 의하여 발전단계가 결정되는 종속지역
이때 기술진보는 광의의 의미로서 물질적, 기술적, 정신적, 제도적 진보를 의미
Paradigm: 사회의 공간조직을 결정함에 있어 중심지와 주변지는 도시화와 적어도 네가지 과정과 관계가 있다.
1. 기술혁신의 전파: 사회문화적 양식을 변화시킴
2. 통제과정: 힘의 관계 패턴이 결정됨
정치 및 행정력의 집중으로 중심지는 주변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적 자치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3. 인구이동: 거주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중심지의 힘의 집중 촉진
4. 투자과정: 중심지 및 주변지역에서의 경제활동의 공간적 패턴 결정
이중 1, 2단계는 현대화의 공간조직을, 3, 4단계는 경제적 공간조직을 결정하며 이 두 조직은 사회의 공간조직을 결정한다.
시사점
공간에 있어서의 힘의 관계(정치, 경제, 사회적): 도시와 농촌, 중심지와 배후지역->투쟁의 관계->개도국의 지역발전의 전제조건으로서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의 중요성 강조
*입지이론은 비경제적인 요인도 고려하여야 한다
- 시장의 근접성 <== 수송수단, 정보망, 의사소통 포함
- 기업가들은 정부권력의 중심지에 직접 접근하고자 한다
정부공사의 계약, 독점력의 보호, 허가 등의 통제회피, 각종규제로부터의 면제 및 자금조달 보증 등

키워드

  • 가격4,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0.07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38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