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1.고대도시
- 원시
- 고조선
- 삼국시대
- 통일신라
2.중세도시
- 고려
- 조선
3.원형경관
4.현대 이후 도시성장
- 원시
- 고조선
- 삼국시대
- 통일신라
2.중세도시
- 고려
- 조선
3.원형경관
4.현대 이후 도시성장
본문내용
시대별 우리나라 도시공간과 경관
고대의 도시
(원시~삼국시대)
부족연맹 사회 ⇨ 도시 발생
원시공동체 사회/부족 생활 시대에는 도시가 발생하지 않았다.
원시주거
구석기시대(기원전 3만년경): 수렵과 사냥활동 = 자연동굴
신석기시대(기원전 3천년경): 경험적 지식 + 기술과 도구의 발달
= 최초의 인공주거 움집 원형, 타원형, 모가 둥근 장방형
후기 농경활동의 시작으로 공동생활을 위한 큰 취락이 하천연안의 평지에 형성.
청동기시대(기원전 4세기경): 도구개발 본격화 + 농경활동 활성화 + 사회계층 형성
취락의 확대 + 정치적 지배관계의 성립
부족연맹사회 형성 = 성읍국가
취락 ⇨ 원시적 형태의 도시 발생
지배자의 주거와 시설이 취락의 중앙에 형성되어 중심성이 부여되고,
정복과 지배의 근거지 역할을 하였다.
≪ 사 진 ≫ ≪ 사 진 ≫
동굴주거 움집
고대의 도시
(원시~삼국시대)
성곽도시의 성립
5세기 부족연맹체의 통합 ⇨ 고대왕권국가 형성. 도시/국가 성격 확립
도성 건설 : 정치적 현시성 + 계급간 분리 +방어
성곽이란 적에 대한 방어 를 목적으로 인공적으로 만든 전략적 구조물.
고조선과 중국,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국가형성과 불안정한 삼국정세
고조선
성읍국가. 도시의 기원
-요동성-
국내 최초의 성읍국가
지배자 = 구릉지 위 토성 / 농민 = 토성 외곽
방형 의 형태. 내성과 외성의 2중 성곽구조
기원전 2세기경 관서지방과 요동반도에 이르는
지배권을 가지고 이던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
≪ 그 림 ≫
BC194년 위만이 도읍지로 정하여 오다가 C108년 한(漢)나라 군대에 포위되어 수개월 동안 항전 끝에 투항하였다. 427년 이래 고구려의 도읍지도 되었다. 하지만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지금의 요동지역이라는 설, 지금의 평양지역이라는 설 등의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고대의 도시
(원시~삼국시대)
삼국시대
낙랑에서 사용되었던 한문화(중국)에 의한 기술은 점차적으로 한국 전역의 주요지방에 전파되어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문화 발전의 터전을 만들어주었다.
중국의 영향 / 자연지형 활용, 성곽은 산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초기 = 낮은 구릉의 소규모 테뫼형 / 후기 = 자연포곡형
대체로 5세기 전후 삼국은 중앙집권적 정치체제 를 확립함에 따라 수도와 지방행정 중심지에 관아 및 군인과 그 예속민, 상공인이 모이고 시장을 형성하게 되자 성곽을 축조함으로써 정치행정의 중심도시가 형성 되었다.
(예; 고구려의 3경, 백제의 22담로, 신라의 수도와 2소경)
≪ 지 도 ≫
고대의 도시
(원시~삼국시대)
부족연맹 사회 ⇨ 도시 발생
원시공동체 사회/부족 생활 시대에는 도시가 발생하지 않았다.
원시주거
구석기시대(기원전 3만년경): 수렵과 사냥활동 = 자연동굴
신석기시대(기원전 3천년경): 경험적 지식 + 기술과 도구의 발달
= 최초의 인공주거 움집 원형, 타원형, 모가 둥근 장방형
후기 농경활동의 시작으로 공동생활을 위한 큰 취락이 하천연안의 평지에 형성.
청동기시대(기원전 4세기경): 도구개발 본격화 + 농경활동 활성화 + 사회계층 형성
취락의 확대 + 정치적 지배관계의 성립
부족연맹사회 형성 = 성읍국가
취락 ⇨ 원시적 형태의 도시 발생
지배자의 주거와 시설이 취락의 중앙에 형성되어 중심성이 부여되고,
정복과 지배의 근거지 역할을 하였다.
≪ 사 진 ≫ ≪ 사 진 ≫
동굴주거 움집
고대의 도시
(원시~삼국시대)
성곽도시의 성립
5세기 부족연맹체의 통합 ⇨ 고대왕권국가 형성. 도시/국가 성격 확립
도성 건설 : 정치적 현시성 + 계급간 분리 +방어
성곽이란 적에 대한 방어 를 목적으로 인공적으로 만든 전략적 구조물.
고조선과 중국,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국가형성과 불안정한 삼국정세
고조선
성읍국가. 도시의 기원
-요동성-
국내 최초의 성읍국가
지배자 = 구릉지 위 토성 / 농민 = 토성 외곽
방형 의 형태. 내성과 외성의 2중 성곽구조
기원전 2세기경 관서지방과 요동반도에 이르는
지배권을 가지고 이던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
≪ 그 림 ≫
BC194년 위만이 도읍지로 정하여 오다가 C108년 한(漢)나라 군대에 포위되어 수개월 동안 항전 끝에 투항하였다. 427년 이래 고구려의 도읍지도 되었다. 하지만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지금의 요동지역이라는 설, 지금의 평양지역이라는 설 등의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고대의 도시
(원시~삼국시대)
삼국시대
낙랑에서 사용되었던 한문화(중국)에 의한 기술은 점차적으로 한국 전역의 주요지방에 전파되어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문화 발전의 터전을 만들어주었다.
중국의 영향 / 자연지형 활용, 성곽은 산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초기 = 낮은 구릉의 소규모 테뫼형 / 후기 = 자연포곡형
대체로 5세기 전후 삼국은 중앙집권적 정치체제 를 확립함에 따라 수도와 지방행정 중심지에 관아 및 군인과 그 예속민, 상공인이 모이고 시장을 형성하게 되자 성곽을 축조함으로써 정치행정의 중심도시가 형성 되었다.
(예; 고구려의 3경, 백제의 22담로, 신라의 수도와 2소경)
≪ 지 도 ≫
추천자료
개발제한구역을 둘러싼 구조문제
도시 열섬효과 방지를 위한 인공지반 녹화에 관한 연구-옥상녹화를 중심으로-
뉴타운 개발 사업의 이해와 성공전략
도시인프라 구성요소와 기능
[도시공원][도시소공원][도시공원(도시소공원) 사례]도시공원(도시소공원) 개념, 도시공원(도...
47,라데팡스 (La Defence) 프랑스신도시,라데팡스개발,파리신도시,고층빌딩개발,도시설계사례...
광역도시계획과 도시계획법률
도시의 옥상조경
[행정정책] 경기도 신도시 - 신도시의 문제점에 대해서
[도시개발] 인천 2020 동북아의 허브도시, 인천(인천의 발전 가능성)
[도시문화 REPORT] “구룡령 (九龍嶺) 옛길의 장소성” (구룡령 옛길 답사기.기행문)
한국사회문제C형 2017년 한국도시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서 ...
[현대의 서양문화 C형] 국내의 공공조형물(공공미술)의 사례를 들어, 공공미술이 사회 속에 ...
도시농업의 필요성, 문제점 및 도시농업의 활성화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