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우리나라 도시공간과 경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대별 우리나라 도시공간과 경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고대도시
 - 원시
 - 고조선
 - 삼국시대
 - 통일신라

2.중세도시
 - 고려
 - 조선

3.원형경관

4.현대 이후 도시성장

본문내용

시대별 우리나라 도시공간과 경관




고대의 도시
    (원시~삼국시대)

부족연맹 사회 ⇨ 도시 발생
 원시공동체 사회/부족 생활 시대에는 도시가 발생하지 않았다.

원시주거
 구석기시대(기원전 3만년경): 수렵과 사냥활동 = 자연동굴
 신석기시대(기원전 3천년경): 경험적 지식 + 기술과 도구의 발달
   = 최초의 인공주거 움집 원형, 타원형, 모가 둥근 장방형
 후기 농경활동의 시작으로 공동생활을 위한 큰 취락이 하천연안의 평지에 형성.
 청동기시대(기원전 4세기경): 도구개발 본격화 + 농경활동 활성화 + 사회계층 형성
                      취락의 확대 + 정치적 지배관계의 성립
  부족연맹사회 형성 = 성읍국가
 취락 ⇨ 원시적 형태의 도시 발생
 지배자의 주거와 시설이 취락의 중앙에 형성되어 중심성이 부여되고,
정복과 지배의 근거지 역할을 하였다.

 ≪ 사 진 ≫ ≪ 사 진 ≫
  동굴주거   움집




고대의 도시
    (원시~삼국시대)

성곽도시의 성립
 5세기 부족연맹체의 통합 ⇨ 고대왕권국가 형성. 도시/국가 성격 확립
 도성 건설 : 정치적 현시성 + 계급간 분리 +방어
 성곽이란 적에 대한 방어 를 목적으로 인공적으로 만든 전략적 구조물.
 고조선과 중국,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국가형성과 불안정한 삼국정세

고조선
성읍국가.  도시의 기원
-요동성-
 국내 최초의 성읍국가
 지배자 = 구릉지 위 토성 / 농민 = 토성 외곽
 방형 의 형태. 내성과 외성의 2중 성곽구조
 기원전 2세기경 관서지방과 요동반도에 이르는
  지배권을 가지고 이던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

 ≪ 그 림 ≫
BC194년 위만이 도읍지로 정하여 오다가 C108년 한(漢)나라 군대에 포위되어 수개월 동안 항전 끝에 투항하였다. 427년 이래 고구려의 도읍지도 되었다. 하지만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지금의 요동지역이라는 설, 지금의 평양지역이라는 설 등의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고대의 도시
    (원시~삼국시대)

삼국시대

낙랑에서 사용되었던 한문화(중국)에 의한 기술은 점차적으로 한국 전역의 주요지방에 전파되어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문화 발전의 터전을 만들어주었다.

중국의 영향 / 자연지형 활용, 성곽은 산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초기 = 낮은 구릉의 소규모 테뫼형  / 후기 = 자연포곡형

대체로 5세기 전후 삼국은 중앙집권적 정치체제 를 확립함에 따라 수도와 지방행정 중심지에 관아 및 군인과 그 예속민, 상공인이 모이고 시장을 형성하게 되자 성곽을 축조함으로써 정치행정의 중심도시가 형성 되었다.
(예; 고구려의 3경, 백제의 22담로, 신라의 수도와 2소경)

 ≪ 지 도 ≫
  • 가격3,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12.06.17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541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