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개발, 제조, 유통단계를 거처 최종 소비자까지 원자재, 반제품, 완제품 등이 흘러가고 변환되는 과정의 하부 구조, 조직, 프로세스 및 활용기술을 모두 포괄한 개념
□ SCM 문제점 및 해결방안
(1)공급사슬 문제점의 원인
- 불확실성: 고객수요에 대한 예측의 실패, 배송 시간의 불확실성
- 비즈니스 파트너들 간의 협업 메커니즘의 부정확성
(2)공급사슬의 문제점의 결과
- 배달 지연
- 빈약한 고객서비스
- 재고 비용 증가
- 수익 감소 등
(3)Turban et al.(2002) 제시한 해결방안
- 수요가 증폭된 기간에는 자체 처리보다는 아웃소싱을 하여라.
- 최적의 선적계획을 세워라.
- 공급업자와 전략적인 동반관계를 만들어라.
- 공급품, 자재, 부품 등은 필요한 시점에서 소량의 JIT 접근방식을 이용하라.
- 구매와 판매의 리드타임을 줄여라.
- 공급업자수를 줄여라.
- 공급자와 구매자의 관계를 개선하여라.
- Dell이 맞춤형 컴퓨터 대한 대응방식과 같이, 주문 후에 생산하여라.
- 공급업체와 밀접하게 일하면서 정확한 수요를 예측하여라.
(4)채찍효과의 개념
. 공급사슬의 내재되어 있는 독특한 현상으로, 공급사슬 말단인 소비자로부터 시작된 변화가 소매상과
도매상을 거쳐 생산업체로 전달되면서 그 변화 폭이 커지는 현상.
- 채찍효과는 수요에 대한 인식의 왜곡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재고비용 부담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야기한다.
(5) 채찍효과의 원인
- 개별 기업 이익 관점에서의 주문
. 공급사슬 상의 각 주체들이 자신의 이익 관점에서 주문을 하는 것이 가장 주요한 원인.
- 배치 주문
. 주문을 몇일 간격으로 자주하기보다는 주별, 월별 또는 분기별로 일괄적인 방식으로 대량 주문을 하는 경향. - 가격변동
. 가격변동에 의한 일시적인 영향으로 수요정보의 왜곡을 초래하게 된다.
(6) 채찍효과에 대한 대처 방안
- 수요정보의 중앙집중화
. 소비자의 수요 정보, 공급사슬 상의 비즈니스 파트너들의 수요정보 들을 중앙 집중화 하여 공유함으로써 수요정보 왜곡 현상 방지.
- 공급사슬 전체의 생산 목표 및 가격전략
. 가격 안정화 노력 필요.
- 리드타임의 감소
. 리드타임 감소로 인해 수요에 대응하는 사이클이 짧아져 수요변동에 단기적인 관점의 대응을 할 수
있게 되어 수요 왜곡 또는 과장을 감소 시킬 수 있다.
□ SCM 응용기 - QR, ECR, CRP (VMI, CMI), CPFR, ATP
(1) QR (Quick Response)
- 소비자의 욕구를 신속하게 반영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적절한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함.
(2) ECR (Efficient Customer Response)
- 적절하고 정확한 정보 흐름을 기반으로 원료공급업자 에서 소매점에 이르기까지 전체 공급사슬의
비효율과 초과비용을 제거하는데 초점 .
(3)CRP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
- 제조업체가 유통업체의 출하데이터를 제공받고 이를 근거로, 유통업의 별도의 요청 없이 지속적으로 창고에 재고를 직접 보충하는 방법.
- CRP의 종류
① VMI (Vendor Managed Inventory)
제조업체 주도의 재고관리로서, 제조업체 관점에 비중을 둠.
② CMI (Co Managed Inventory)
유통업자 및 제조업자 공동의 재고관리로서,소비자의 구매정보에 비중을 둠.
(4)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Replenishment)
-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간의 긴밀한 유대관계와 신뢰를 기반으로 한 공동의 수요예측 및 재고관리를 수행함으로써, 파트너쉽 개선을 통한 상호 이익증대를 추구.
(5)ATP (Available to Promise)
- 고객과 공급업체 간의 상호신뢰 및 정보공유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가능한 납기일을 제공하고
고객과의 협력적인 거래를 수행하고자 하는 기법.
□ SCM 참조모델 (SCOR) 개념
(1) SCOR (Supply Chain Operation Reference)
-효율적인 공급사슬의 설계 및 구축에서부터 지속적인 개선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공급사슬 효과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함.
※ 참조모델 (Reference Model)
(2)참조모델 (Reference Model) 개념
(3)구성 프로세스
- Plan (계획), Source(공급), Make(생산), Deliver(출하), Return(회수)
□ SCM 문제점 및 해결방안
(1)공급사슬 문제점의 원인
- 불확실성: 고객수요에 대한 예측의 실패, 배송 시간의 불확실성
- 비즈니스 파트너들 간의 협업 메커니즘의 부정확성
(2)공급사슬의 문제점의 결과
- 배달 지연
- 빈약한 고객서비스
- 재고 비용 증가
- 수익 감소 등
(3)Turban et al.(2002) 제시한 해결방안
- 수요가 증폭된 기간에는 자체 처리보다는 아웃소싱을 하여라.
- 최적의 선적계획을 세워라.
- 공급업자와 전략적인 동반관계를 만들어라.
- 공급품, 자재, 부품 등은 필요한 시점에서 소량의 JIT 접근방식을 이용하라.
- 구매와 판매의 리드타임을 줄여라.
- 공급업자수를 줄여라.
- 공급자와 구매자의 관계를 개선하여라.
- Dell이 맞춤형 컴퓨터 대한 대응방식과 같이, 주문 후에 생산하여라.
- 공급업체와 밀접하게 일하면서 정확한 수요를 예측하여라.
(4)채찍효과의 개념
. 공급사슬의 내재되어 있는 독특한 현상으로, 공급사슬 말단인 소비자로부터 시작된 변화가 소매상과
도매상을 거쳐 생산업체로 전달되면서 그 변화 폭이 커지는 현상.
- 채찍효과는 수요에 대한 인식의 왜곡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재고비용 부담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야기한다.
(5) 채찍효과의 원인
- 개별 기업 이익 관점에서의 주문
. 공급사슬 상의 각 주체들이 자신의 이익 관점에서 주문을 하는 것이 가장 주요한 원인.
- 배치 주문
. 주문을 몇일 간격으로 자주하기보다는 주별, 월별 또는 분기별로 일괄적인 방식으로 대량 주문을 하는 경향. - 가격변동
. 가격변동에 의한 일시적인 영향으로 수요정보의 왜곡을 초래하게 된다.
(6) 채찍효과에 대한 대처 방안
- 수요정보의 중앙집중화
. 소비자의 수요 정보, 공급사슬 상의 비즈니스 파트너들의 수요정보 들을 중앙 집중화 하여 공유함으로써 수요정보 왜곡 현상 방지.
- 공급사슬 전체의 생산 목표 및 가격전략
. 가격 안정화 노력 필요.
- 리드타임의 감소
. 리드타임 감소로 인해 수요에 대응하는 사이클이 짧아져 수요변동에 단기적인 관점의 대응을 할 수
있게 되어 수요 왜곡 또는 과장을 감소 시킬 수 있다.
□ SCM 응용기 - QR, ECR, CRP (VMI, CMI), CPFR, ATP
(1) QR (Quick Response)
- 소비자의 욕구를 신속하게 반영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적절한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함.
(2) ECR (Efficient Customer Response)
- 적절하고 정확한 정보 흐름을 기반으로 원료공급업자 에서 소매점에 이르기까지 전체 공급사슬의
비효율과 초과비용을 제거하는데 초점 .
(3)CRP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
- 제조업체가 유통업체의 출하데이터를 제공받고 이를 근거로, 유통업의 별도의 요청 없이 지속적으로 창고에 재고를 직접 보충하는 방법.
- CRP의 종류
① VMI (Vendor Managed Inventory)
제조업체 주도의 재고관리로서, 제조업체 관점에 비중을 둠.
② CMI (Co Managed Inventory)
유통업자 및 제조업자 공동의 재고관리로서,소비자의 구매정보에 비중을 둠.
(4)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Replenishment)
-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간의 긴밀한 유대관계와 신뢰를 기반으로 한 공동의 수요예측 및 재고관리를 수행함으로써, 파트너쉽 개선을 통한 상호 이익증대를 추구.
(5)ATP (Available to Promise)
- 고객과 공급업체 간의 상호신뢰 및 정보공유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가능한 납기일을 제공하고
고객과의 협력적인 거래를 수행하고자 하는 기법.
□ SCM 참조모델 (SCOR) 개념
(1) SCOR (Supply Chain Operation Reference)
-효율적인 공급사슬의 설계 및 구축에서부터 지속적인 개선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공급사슬 효과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함.
※ 참조모델 (Reference Model)
(2)참조모델 (Reference Model) 개념
(3)구성 프로세스
- Plan (계획), Source(공급), Make(생산), Deliver(출하), Return(회수)
키워드
추천자료
2009년 하계계절시험 의류소재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09년 2학기 의류소재의이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09년 1학기 패션머천다이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1년 2학기 교육심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2년 하계계절시험 의류소재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3년 하계계절시험 의류소재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하계계절시험 의류소재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교육심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교육심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교육심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교육심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8년 2학기 교육심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