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로마제국의 식민도시와 건설방식
POAR 2003.08
로마제국의 번영과 식민도시건설
□ 로마인들의 도시건설방식
POAR 2003.08
로마제국의 번영과 식민도시건설
□ 로마인들의 도시건설방식
본문내용
정하는 밭이랑 내지는 작은길(paths)-주변에 직각격자를 정하는데 이용되었다. 개념적으로 로마척으로 사방 2,400척의 크기의 정방형을 잘라붙인 개념이며, 이론상 100개의 소경지와 상응될 수 있다. 실제로 백구획법으로 정해진 계획이 그대로 사용되었다는 것은 신빙성은 없으나, 건설초기에 도시의 기본형태를 만들었다는 면에서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었다.
추천자료
영화 city of joy 를 보고 제 3 세계 도시화에 대해 쓴 레포트
도시화와 도시행정
등소평의 개혁 및 개방 노선에 관한 연구
스페인 고대사와 헬레니즘 헤브라이즘의 비교분석
고대 그리스/로마 도시 조사
헤로도토스의 역사를 읽고
미래주택
식민지 시대 미국의 역사(16C ~ 17C)
[칠레][라틴아메리카][중남미][칠레의 문화]라틴아메리카 칠레의 개황, 라틴아메리카 칠레의 ...
북한의 환경정책) 연도별 환경정책의 추이와 최근 동향
오리엔트와 유럽 (히타이트, 페니키아, 헤브라이)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_ 북베트남 사회주의 건설, 대미
중국 상해
베를린, 문화 도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