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는 딱히 없습니다. 다만 각 카테고리 마다 샌델이 기술하고 있는 내용에 대한 내 생각을 넣었습니다.
본문내용
있다. 샌델이 한국 사회에 알려지게 된 것은 그의 저서 ‘Justice'가 베스트셀러로 큰 반향을 일으키면서 우리사회에 정의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우리가 현재 이런 사회 가치들에 대한 책을 필요로 하고 우리 사회에 던져진 큰 화두로 인식하는 것은 이미 스스로 잘못되어져 가는 것을 느끼고 있다고 생각한다.
공동체의식과 공공선 회복에 대한 중요성은 사회가 추구하는 개인주의나 물질주의 같은 자유주의식 논리 안에서 파생된 개념들이 주류를 이룰 때 더욱 목소리를 내는 것 같다. 샌델도 물론 공동체주의에 힘을 주었지만 그 역시 자유주의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았다. 우리 사회에도 있어 이런 공공선에 대한 회복은 중요하지만 자유주의의 이념에 대한 이념을 파괴하면서 일어나서는 안될 것이다. 나는 인간은 신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는 함부로 정의를 이야기 할 수가 없다. 이말은 정의와 같은 보편적인 개념을 유한한 시간에 사는 인간이 고찰하기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의와 선에 대해서 유일하게 논할수 있는 존재가 인간이기 때문에 항상 질문하고 공공의 선으로 나아가는 작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의견의 요지는 이러한 사고의 주체는 개인이기 때문에 자칫 정의가 아닐수 있는 공동체 안에서 개인의 자유와 사고가 억압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샌델의 마지막에 역설한 첫 번째 의견에 대해서, 공동체주의 진영에 있는 사람들에게 개인과 자유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수반된 사람들이 모인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회가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는 선을 지향하는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양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며, 이들이 모여 있는 공동체는 나름의 질서속에서 살아 갈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뉴스에 보도되는 내용들 중에는 법에 저촉되는 사건들과 도덕에 저촉되는 사건들이 나오는데, 도덕에 저촉되는 사건들이 보도될 수 있는 이유는 충분히 우리 사회안에서 어필할 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이며 평범한 일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회적 잣대는 우리속에 있고 우리는 스스로 이것을 지키려고 하는 본성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물질주의와 상업주의 그리고 피폐된 개인주의로 인해 우리의 도덕적 가치가 많이 훼손 되었다고 하지만, 공동체의 의식에 이것을 정화할 수 있는 기능이 있고 샌델처럼 선을 지향하는 학자의 저자에 의해 다시금 공동체 구성원들의 자각이 일어나면 회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공동체의식과 공공선 회복에 대한 중요성은 사회가 추구하는 개인주의나 물질주의 같은 자유주의식 논리 안에서 파생된 개념들이 주류를 이룰 때 더욱 목소리를 내는 것 같다. 샌델도 물론 공동체주의에 힘을 주었지만 그 역시 자유주의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았다. 우리 사회에도 있어 이런 공공선에 대한 회복은 중요하지만 자유주의의 이념에 대한 이념을 파괴하면서 일어나서는 안될 것이다. 나는 인간은 신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는 함부로 정의를 이야기 할 수가 없다. 이말은 정의와 같은 보편적인 개념을 유한한 시간에 사는 인간이 고찰하기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의와 선에 대해서 유일하게 논할수 있는 존재가 인간이기 때문에 항상 질문하고 공공의 선으로 나아가는 작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의견의 요지는 이러한 사고의 주체는 개인이기 때문에 자칫 정의가 아닐수 있는 공동체 안에서 개인의 자유와 사고가 억압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샌델의 마지막에 역설한 첫 번째 의견에 대해서, 공동체주의 진영에 있는 사람들에게 개인과 자유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수반된 사람들이 모인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회가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는 선을 지향하는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양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며, 이들이 모여 있는 공동체는 나름의 질서속에서 살아 갈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뉴스에 보도되는 내용들 중에는 법에 저촉되는 사건들과 도덕에 저촉되는 사건들이 나오는데, 도덕에 저촉되는 사건들이 보도될 수 있는 이유는 충분히 우리 사회안에서 어필할 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이며 평범한 일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회적 잣대는 우리속에 있고 우리는 스스로 이것을 지키려고 하는 본성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물질주의와 상업주의 그리고 피폐된 개인주의로 인해 우리의 도덕적 가치가 많이 훼손 되었다고 하지만, 공동체의 의식에 이것을 정화할 수 있는 기능이 있고 샌델처럼 선을 지향하는 학자의 저자에 의해 다시금 공동체 구성원들의 자각이 일어나면 회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조직이론과 공동체이론
지역화폐운동
교회의 개인주의 실태와 이에 따른 방안의 제고
윤리적 리더십의 공동체 구축의 원칙
원예활동지도(교육)프로그램, 가정활동지도(교육)프로그램, 흡연예방지도(교육)프로그램, 체...
공동체의식교육(공동체의식지도)의 목적과 방침, 공동체의식교육(공동체의식지도)의 동향과 ...
[시민교육][공동체자유주의][사회교육]시민교육의 개념, 시민교육의 기능, 시민교육과 공동체...
[예수그리스도]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예수)의 삼위일체론과 구원론, 예수그리스도(그리스도...
[가치론, 가치론과 공동체, 지식경영, 마케팅관리론, 정보경제, 신경제, 포스트모던]가치론과...
토지경제학,시장주의,계획주의,조지스트 패러다임,마르크스주의,외곽순환도로 유료화,종합부...
아동복지의 대상에서 보편주의와 선별주의에 관한 개념과 장점에 대하여 설명!!!
사회자본의 개념과 특성 및 요소, 사회자본의 역할과 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