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촌수필(冠村隨筆) - 일락서산(日落西山) _ 이문구 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관촌수필 - 일락서산>은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가.
2. <관촌수필 - 일락서산>은 어떻게 이야기하고 있는가.
3. <관촌수필 - 일락서산>의 가치와 한계는 무엇인가.

본문내용

되어 가는 과정을 그림
▶ 5편. 공산토월(空山吐月): 왕조 체제의 억압적 구조 속에 신음하면서도 서로 돕던 백성의 전형을 석공(石工)을 통해 보여 줌
▶ 6편. 관산추정(關山芻丁): 포근하던 한내(大川)가 도시에서 밀려들어온 소비문화와 퇴폐의 하수구로 전락한 실상을 그림
▶ 7편. 여요주서(與謠註序): 아버지의 병구완을 위해 잡은 꿩 때문에 자연보호를 위배했다는 이유로 공권력의 횡포를 당함
▶ 8편. 월곡후야(月谷後夜): 벽촌에서 소녀를 겁탈한 사건을 둘러싸고 동네 청년들이 범인에게 사적인 제재를 가한다는 이야기
소설의 주인공이 어린 시절을 보낸 고향 관촌 마을을 배경으로 농촌의 급작스런 변모와 그 전통적인 질서의 와해과정을 추적하면서, 오랜 세윌 뒤에 고향을 찾은 귀향의 감회를 함께 그려내고 있다. 회상적인 진술방식으로 새로운 현실 속에서 어쩔 수 없이 거쳐야 하는 농촌의 변화를 심도 있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작품은 연작의 기법을 새롭게 창안하여 소설양식의 확대와 주제의 심화를 꾀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작품은 하나의 연작소설로 묶여지는 개개의 단편소설들이 독자적인 완결성을 유지하면서 외형적인 틀 안에 포괄되고 있다. 각각의 단편소설들은 이야기의 계기적인 연관성에 따라 그 순서가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외형적인 틀 속에서 분절적으로 병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이야기 줄거리는 연작의 방법을 통해 발전해 가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삽화가 반복되는 가운데 주제를 심화시킨다. 각각의 작품들 사이에 내적인 연관성이 긴밀하게 작용하고 있지 않으며, 서로 다른 각도에서 고향 농촌의 과거와 현실을 대조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고향 관촌 마을에 살았던 순박한 농촌사람들에 대한 추억과 조선적 전통을 유지하기위해 애썼던 조부의 모습과 가족들의 삶에 대한 인상이 서로 결합되어 옛날의 고향 무대를 재현시킨다. 그러나 전쟁을 겪고 세월이 흐른 뒤 그곳에서 살던 사람들이 죽거나 모두 흩어져 버렸고, 고향은 엄청난 변화 속에서 새로운 삶의 현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농촌의 변화를 개인적인 회고 취향을 곁들여 그려내고 있는 이 작품에서 작중화자는 소년시절의 관점을 유지하기도 하고 성장한 후의 관점으로 돌아오기도 한다. 이러한 시점의 변화와 그 격차를 통해 역사와 현실의 변화를 바라보는 작가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한국현대문학대사전』, 권영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pp.682~683.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6.20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46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