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때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나아가 철학적 신념은 나의 행동과 삶에서 일관된 ‘태도’를 갖게 만들어 준다. 나는 자기만의 가치관 없이 그 때 그 때 상황과 감정에 따라 행동하는 사람의 삶보다는 자기 철학을 가지고 일관된 삶을 살아가는 것이 훨씬 가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 철학은 언제든 수정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겨두는 유연함도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철학은 개인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이전부터 지금까지 언제나 비판의 대상이 되어 온 대한민국의 정당들의 가장 큰 문제점은 ‘영혼 없는 정치’를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영혼’을 ‘정치 철학’으로 치환할 수 있지 않을까? 정당들이 특정한 정치 철학을 표방한다고는 하지만 반대를 위한 반대만 일삼는, 기득권을 가지면 모두 똑같아지는 현상을 보면 알 수 있다. 정치인들만을 탓할 수는 없다. 현실적으로, 정치인의 수준이 대중의 수준과 다를 리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약간의 희망을 발견했다.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이 크게 유행하였다는 사실을 통해 대중의 ‘정의에 대한 갈망’이 엄청나다는 것을 느꼈고 희미하게나마 정치 선진국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서평. 정의란무엇인가]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독후감: 정의란무엇인가]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독후감: 정의란무엇인가]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A+ 독후감)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A+ 독후감)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논평문] 정의란 무엇인가 _ 마이클 샌델 저
[독후감/서평] (A+)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독후감/서평/후기]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 : what’s the right thing to do) _ 마이클 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