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측정 및 분석결과
2. 논의 및 결론
3. 질문
2. 논의 및 결론
3. 질문
본문내용
틈에 끼우는 것이 더 용이하다. 나무 쐐기의 무게가 블록보다 매우 적음에도 불구하고 왜 이것이 가능한가?
마찰력의 크기는 위 실험에서 볼 수 있듯이 하중 W 에 비례하게 된다. 하중 W가 커질
수록 마찰력의 크기가 커지므로 블록을 이용하여 문을 받쳐주면 하중 W는 순수히 블록
의 무게가 W 가 된다. 하지만 쐐기모양의 나무조각을 문틈에 끼우게 되면 문이 닫기려고
하면서 쐐기모양 나무조각을 짓누르게 된다. 이때 하중이 블록이었다면 옆으로 미는 힘
밖에 발생하지 않지만 나무조각은 문틈에 끼어 바닥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게 된다. 때문
에 이때 문이 닫기려고 하면 할수록 하중 W 가 커지는 셈이므로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때문에 작은 나무 조각을 이용하더라도 무거운 블록을 이용하는것보다 더 효율적으로 문
을 지지 하고 있을 수 있다.
3) 바닥에 놓여있는 블록을 미는 경우 블록이 정지해 있다면 미는 힘과 최대정지마찰력은 같다. 이것이 옳은지를 논하라.
블록이 정지 해 있을 경우 블록에 가해지는 힘을 중력만이 존재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블록이 좌우로 움직이려면 x - y 좌표 상으로 표현 했을 때 x 축 방향으로 힘이 작
용해야 블록을 밀 수 있게 된다. 사람이 이 때 블록을 x 방향으로 밀게 되면 최대 정지
마찰력보다 더 큰 힘으로 밀어야 블록을 움직일 수 있다. 블록을 밀어도 블록이 움직이
지 않는다면 그때 발생하는 힘은 최대 정지마찰력 보다 작다는 말이 된다.
즉 블록을 밀었으나 블록이 움직이지 않고 정지해있다면 미는 힘은 최대정지마찰력보다
작은 상태이며 현재의 정지 마찰력과는 같은 상태이다.
마찰력의 크기는 위 실험에서 볼 수 있듯이 하중 W 에 비례하게 된다. 하중 W가 커질
수록 마찰력의 크기가 커지므로 블록을 이용하여 문을 받쳐주면 하중 W는 순수히 블록
의 무게가 W 가 된다. 하지만 쐐기모양의 나무조각을 문틈에 끼우게 되면 문이 닫기려고
하면서 쐐기모양 나무조각을 짓누르게 된다. 이때 하중이 블록이었다면 옆으로 미는 힘
밖에 발생하지 않지만 나무조각은 문틈에 끼어 바닥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게 된다. 때문
에 이때 문이 닫기려고 하면 할수록 하중 W 가 커지는 셈이므로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때문에 작은 나무 조각을 이용하더라도 무거운 블록을 이용하는것보다 더 효율적으로 문
을 지지 하고 있을 수 있다.
3) 바닥에 놓여있는 블록을 미는 경우 블록이 정지해 있다면 미는 힘과 최대정지마찰력은 같다. 이것이 옳은지를 논하라.
블록이 정지 해 있을 경우 블록에 가해지는 힘을 중력만이 존재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블록이 좌우로 움직이려면 x - y 좌표 상으로 표현 했을 때 x 축 방향으로 힘이 작
용해야 블록을 밀 수 있게 된다. 사람이 이 때 블록을 x 방향으로 밀게 되면 최대 정지
마찰력보다 더 큰 힘으로 밀어야 블록을 움직일 수 있다. 블록을 밀어도 블록이 움직이
지 않는다면 그때 발생하는 힘은 최대 정지마찰력 보다 작다는 말이 된다.
즉 블록을 밀었으나 블록이 움직이지 않고 정지해있다면 미는 힘은 최대정지마찰력보다
작은 상태이며 현재의 정지 마찰력과는 같은 상태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층류 화염전파 실험 결과보고서
[실험보고서] Ostwald법을이용한점도측정
흙의 투수성 정수두
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 시멘트가 가진 강함을 알고 품질검사와 동시...
무기합성실험
광전효과 결과re
[물실(물리 실험)] 07.충돌 및 운동량 보존 : 충돌하는 두 물체의 운동을 통하여 선운동량이 ...
금속조직관찰 (연구배경 및 목적, 관련이론, 실험방법, 결과 및 고찰)
[결과] 레이놀즈 수 (Reynolds Number)
[물리 실험 결과] 인터페이스 실험 - 중력가속도 측정 실험을 통해 인터페이스를 통한 측정방...
일반물리학 실험 - 자유낙하(Drop-Shot) 실험
[물리화학 실험] 평형상수결정 Spectrophotometric Determine of an equilibrium constant
휨 실험 결과리포트
물리실험 <힘과토크의평형> 예비+결과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