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론] 그리스도의 영성과 지역사회복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영성과 사회복지
 1) 영성의 개념
 2) 영성과 사회복지의 관계
2. 교회사회사업의 정의와 목표
 1) 교회사회사업의 정의와 목표
 2) 교회사회사업과 기독교사회사업의 차이
3. 교회사회사업의 역사(미국, 한국)
 1) 미국 교회사회사업의 역사적 배경
 2) 한국 교회사회사업의 역사적 배경
4. 교회사회사업의 특징
5. 교회와 지역사회의 관계
6. 지역사회 속에서 교회의 기능
 1)생산. 분배. 소비 기능
 2)사회화 기능
 3)사회통제기능
 4)친교적 기능
 5)사회 연대 기능
 6)사회 안정 기능
 7)사회 통제 기능
 8)사회 개혁 기능
 9) 사회 복지 기능
7. 지역사회 속에서 교회사회사업의 실천 모형
 1) 실천 방법에 따른 유형
 2) 교회 규모에 따른 유형
 3) 활동 주체에 따른 유형
8. 지역사회에서의 교회사회사업의 내용
 (1) 교회 내적인 사업
 1) 봉사적 영성 확립
 2) 봉사적 공동체 형성
 3) 특수한 영역의 사회복지 실천
 (2) 교회 외적인 사업
 1) 교회시설의 개방사업
 2) 위탁사업
 3) 사례관리 사업
 4) 후원금품조성사업
9. 지역사회 속에서 교회사회사업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10. 한국 내에 교회사회사업의 실태
 1) 한국 교회의 지역사회복지 참여도
 2) 소속교회의 지역사회 복지 참여도
 3) 한국교회가 운영하는 복지시설의 현황
 4)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시설의 수준
 5) 교회의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재정동원 방식
11. 한국 교회의 사회복지실천의 문제점
 (1) 인식의 문제
 1)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목회자의 인식 문제
 2) 지역사회복지의 동기와 목적의 문제
 (2) 지역사회복지의 방법의 문제
 1) 지역사회 조사
 2) 전문인력과 조직의 문제
12. 해결방안
 (1)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재인식
 1) 지역사회와 지역교회와의 관계성
 (2)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자원활용
 (3)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사업선정
 (4) 지역사회와의 연계 사업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성과 사회복지
1) 영성의 개념
 영성에 대한 개념은 매우 다양하게 설명된다. 많은 영성에 대한 개념을 분류하고 각 개념들에 해당하는 영성의 구체적 형태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
│      영성의 개념       │    영성의 구체적 형태
├──────────────────────────────────────
│  초월적 대상과의 인격적 교통   │ 기도, 묵상, 금식, 찬미, 고백
│   차원 높은 품성이나 태도    │ 사랑, 겸손, 온유, 성결, 믿음
│    신비적인 경험이나 능력   │   방언, 입신, 축귀, 신유
│    직관적인 경험이나 능력   │ 삶의 목적과 의미에 대한 깨달음
│      신성한 삶의 동기    │ 성육신, 신과의 합일을 향한 의지
│ 고난 극복하는 초자연적 힘의 원천 │ 하나님의 인도경험, 은혜를 의지함
│   초인적인 봉사와 사회행동   │   희생적 봉사, 공동체 사역
│   궁극적 진리를 향한 헌신    │    전도, 설파, 교육, 선포
└──────────────────────────────────────
<표 1> 유장춘(2003)

2) 영성과 사회복지의 관계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정결하고 더러움이 없는 경건은 곧 고아와 과부를 그 환난 중에 돌아보고 또 자기를 지켜 세속에 물들지 아니하는 이것이니라” – 야고보서 1장 23절

 “이 성구에서 대신(對神)관계 즉 영성과, 대(對)클라이언트관계, 그리고 사회복지사로서의 대자아(對自我)관계가 설정되어있다. 성경에서 말하는 진정한 영성은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돌보고, 동시에 자신을 세속적 현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즉 영성은 마음의 안정과 삶의 의미와 희망을 일깨워주고 또 이러한 것들을 통해 가치지향적인 삶을 살게 하여 스스로 사회적 지원체계를 형성하는 것을 통해 자기 자신의 복지를 이끌고 헌신과 봉사, 섬김의 가르침으로 다른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 활동의 동기를 제공한다. 또한 영성적 삶에서 다른 사람을 수용하고 존중하며 적극적이고 겸손하게 돕는 자세들은 사회복지활동에서 사용되는 방법이 된다.




≪ … 중 략 … ≫




6. 지역사회 속에서 교회의 기능
 1)생산. 분배. 소비 기능
  ①예배를 통해 영적 서비스 제공, ②청소년과 가족들에게 상담서비스 제공, ③신앙강좌와 교양강좌를 통한 지적 서비스 제공, ④기도원과 수련원에서의 신앙수련을 통해 여가서비스 제공, ⑤지역사회봉사센터와 복지관(장애인, 청소년, 아동, 모자시설 등을 통해 각종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2)사회화 기능
  ①자신의 책임을 다하고 ②근면하게 생활하며 ③부모에 순종하고 ④국가의 법을 준수하도록 하며 ⑤바람직하지 못하게 사회화된 사람들에게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인격의 모범을 보임으로써 하나님의 뜻에 합하고 사회에 바람직하게 재사회화 시킨다.

 3)사회통제기능
  ①대내적 신분부여기능: 어느 교회 소속인가는 교인들의 사회계층과 가치관을 알려준다.
  ②대외적 신분부여기능: 성경적 정의를 실천하기 위해 사회에서 천대받는 사람들을 도와준다.
  • 가격3,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6.26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7554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