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본문내용
대한 오해
7. 주식분할, 액면분할 (stock split)
§(예) 2:1 분할(2 for 1 split)
발행주식수 2배 증가, 액면가 ½ 하락
보유주식수 2배 증가, 이론상 주가 ½ 하락
주주의 부에는 변동 없음
8. 주식분할의 효과
§ 주식분할 → 주가하락 → 거래원활 → 수요증가 → 주가상승효과(주주 부의 증가)
§ 과거의 경험 : 주식분할은 성장속도가 빠르고 주가가 타 기업에 비해 월등히 높은 기업에서 시행
(예) SK텔레콤의 10:1 주식분할
9. 주식병합(stock reverse split)
§ 주식분할의 정반대 개념
§ 2:1 주식병합 : 2주를 1주로 병합
§ 병합비율만큼 주식수는 감소, 액면가는 증가
§ 보유주식수 감소, 이론상 주가 상승
→ 주주의 부에 변화 없음
자기자본의 구성과 총액에 변화 없음
§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으로 인식 :
주가하락효과 발생 → 주주 부의 감소
10. 자사주매입(stock repurchase)
§ 자사주식을 시장에서 매입하여 보관
금고주(treasury stock)
§ 유통주식수의 감소 → 주당수익(EPS) 증가
→ 주가상승
§ 자본이익 형태의 배당
§ 세금면에서 현금배당보다 주주에게 유리
§ 세금절약을 위한 자사주매입은 금지
§ 자사주를 매입하여 소각 : 주식(이익)소각
§ 경영권방어와 주가관리에 활용
11. 자사주매입의 장단점
+ 배당압력을 피하면서 현금배당과 같은 효과
+ 비우호적 기업인수로부터 경영권방어
+ 자본구조조정 : 채권을 발행하여 자사주매입
+ 주가관리 : 과소평가된 주식을 매입(투자)
- 과다한 자사주매입으로 과다 현금보유기업
(투자기회가 고갈된 기업)으로 인식될 우려
12. 배당이론
+ “손안에 든 새(bird in the hand)”
불확실한 미래 현금흐름 : 확실한 현재의 현금배당
- 세금
+ 경영자에 대한 시장규율(market discipline)
§ 기업내 현금 감소 → 특권적 소비 가능성 감소
§ 시장의 감시와 평가(외부자금조달을 위한 투자설명회, 신용평가) → 방만한 투자 방지, 기업의 효율성 증가
+ 정보효과, 신호효과(signaling effect)
정보의 비대칭(information asymmetry) 상황에서 배당은 기업의 내용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수단
13. 배당을 결정하는 요인
§ 법적 규제, 사채약정서상의 제약
§ 기업의 유동성
§ 기업 라이프사이클
§ 외부자금조달의 용이성
§ 자금조달
타인자본 : 부도위험 증가
유상증자 : 대주주 지분 감소
기업지배권 상실 위험, 적대적 M&A target
§ 배당의 안정화 정책
제7장 효율적 시장과 증권의 기술적 분석
1. 효율적 시장(efficient market)
§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정보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격에 반영되는 시장
§ 약형의 효율적 시장(weak form efficiency)
과거정보(past information)
역사적 정보(historical information)
§ 준강형의 효율적 시장(semi-strong form efficiency)
공개정보(public information)
§ 강형의 효율적 시장(strong form efficiency)
내부정보(inside information)
2. 정보의 범위와 효율적 시장
정보의 범위 시장의 효율성
3. 약형의 효율적 시장가설 검증
§ 연의 검증(run test)
주가상승(+)과 하락(-)의 무작위성을 검증
랜덤워크(random walk) 모형
§ 필터기법(filter rule)
4. 준강형의 효율적 시장가설 검증
§ 사건연구(event study)
유리한 정보(호재)에 대한 주가반응
5. 주가의 이례현상(효율성에 대한 반증)
§ 기업규모효과(size effect)
소기업효과(small firm effect)
§ 계절효과
1월효과(January effect)
주말효과(weekend effect)
일중효과(intra-day effect)
§ PER 효과
§ 최초공모주(IPO: Initial Public Offering) 현상
6. 주가와 시장심리
§ 주식투자는 미인선발대회(beauty contest)
§ 거품이론(bubble theory)
일본의 주식과 부동산 버블
Nikkei 지수 : 39,xxx(1989)→11,xxx(현재)
인터넷 열풍과 나스닥(코스닥) 버블
.com 기업에 대한 묻지마 투자
“이미 파산한 닷컴기업 주식 골동품으로 인기 상한가 : 올초 문닫은 e토이즈 경매사이트에서 139달러 호가”
7.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
§ 주가움직임에 대한 패턴을 이용하여 매매시점(market timing)을 판단
§ 약형의 효율적 시장과는 배치되는 개념
§ 논리적으로는 주가패턴이 존재할 수 없다
8. 주가패턴의 존재를 옹호하는 주장
§ 시장에서 정보전달 속도의 차이
§ 투자자의 정보이용 속도의 차이
§ 균형가격으로의 이동에 시간이 소요
추세가 존재
§ 기술적 분석을 이용해 추세의 출발점을 조기에 파악
9. 추세분석(다우이론)
10. 지지선과 저항선
11. 이동평균선분석
§ 단기추세 : 5일, 10일, 20일 이동평균선
중기추세 : 60일
장기추세 : 120일
§ 단기이동평균선 :
가격변화(시세전환)에 민감
전반적인 추세 변화(대세판단)에는 둔감
중장기이동평균선 :
새로운 추세 파악에 유리
주가변화에 대한 민감도는 떨어짐
§ 주가와 이동평균선 : 매매시점 파악
중장기이동평균선 : 중장기적 장세파악
12. 교차법
§ 주가와 이동평균선,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형태에 따라 매매시점과 장세를 분석
13. 대세판단
14. 이격도
§ 이격도 100% : 주가(지수)가 추세를 유지
100% 이상 : 주가(지수)가 추세를 상향 이탈
100% 미만 : 주가(지수)가 추세를 하향 이탈
§ 매도신호
강세장 : 20일 이격도 > 106%
약세장 : 20일 이격도 > 102%
§ 매수신호
강세장 : 20일 이격도 < 98%
약세장 : 20일 이격도 < 92%
15. 역시계방향곡선
16. 투자심리선
§ 80% 이상 : 주식시장이 과열(매도시점)
20% 미만 : 과도하게 침체(매입시점)
§ 단점 : 상승
7. 주식분할, 액면분할 (stock split)
§(예) 2:1 분할(2 for 1 split)
발행주식수 2배 증가, 액면가 ½ 하락
보유주식수 2배 증가, 이론상 주가 ½ 하락
주주의 부에는 변동 없음
8. 주식분할의 효과
§ 주식분할 → 주가하락 → 거래원활 → 수요증가 → 주가상승효과(주주 부의 증가)
§ 과거의 경험 : 주식분할은 성장속도가 빠르고 주가가 타 기업에 비해 월등히 높은 기업에서 시행
(예) SK텔레콤의 10:1 주식분할
9. 주식병합(stock reverse split)
§ 주식분할의 정반대 개념
§ 2:1 주식병합 : 2주를 1주로 병합
§ 병합비율만큼 주식수는 감소, 액면가는 증가
§ 보유주식수 감소, 이론상 주가 상승
→ 주주의 부에 변화 없음
자기자본의 구성과 총액에 변화 없음
§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으로 인식 :
주가하락효과 발생 → 주주 부의 감소
10. 자사주매입(stock repurchase)
§ 자사주식을 시장에서 매입하여 보관
금고주(treasury stock)
§ 유통주식수의 감소 → 주당수익(EPS) 증가
→ 주가상승
§ 자본이익 형태의 배당
§ 세금면에서 현금배당보다 주주에게 유리
§ 세금절약을 위한 자사주매입은 금지
§ 자사주를 매입하여 소각 : 주식(이익)소각
§ 경영권방어와 주가관리에 활용
11. 자사주매입의 장단점
+ 배당압력을 피하면서 현금배당과 같은 효과
+ 비우호적 기업인수로부터 경영권방어
+ 자본구조조정 : 채권을 발행하여 자사주매입
+ 주가관리 : 과소평가된 주식을 매입(투자)
- 과다한 자사주매입으로 과다 현금보유기업
(투자기회가 고갈된 기업)으로 인식될 우려
12. 배당이론
+ “손안에 든 새(bird in the hand)”
불확실한 미래 현금흐름 : 확실한 현재의 현금배당
- 세금
+ 경영자에 대한 시장규율(market discipline)
§ 기업내 현금 감소 → 특권적 소비 가능성 감소
§ 시장의 감시와 평가(외부자금조달을 위한 투자설명회, 신용평가) → 방만한 투자 방지, 기업의 효율성 증가
+ 정보효과, 신호효과(signaling effect)
정보의 비대칭(information asymmetry) 상황에서 배당은 기업의 내용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수단
13. 배당을 결정하는 요인
§ 법적 규제, 사채약정서상의 제약
§ 기업의 유동성
§ 기업 라이프사이클
§ 외부자금조달의 용이성
§ 자금조달
타인자본 : 부도위험 증가
유상증자 : 대주주 지분 감소
기업지배권 상실 위험, 적대적 M&A target
§ 배당의 안정화 정책
제7장 효율적 시장과 증권의 기술적 분석
1. 효율적 시장(efficient market)
§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정보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격에 반영되는 시장
§ 약형의 효율적 시장(weak form efficiency)
과거정보(past information)
역사적 정보(historical information)
§ 준강형의 효율적 시장(semi-strong form efficiency)
공개정보(public information)
§ 강형의 효율적 시장(strong form efficiency)
내부정보(inside information)
2. 정보의 범위와 효율적 시장
정보의 범위 시장의 효율성
3. 약형의 효율적 시장가설 검증
§ 연의 검증(run test)
주가상승(+)과 하락(-)의 무작위성을 검증
랜덤워크(random walk) 모형
§ 필터기법(filter rule)
4. 준강형의 효율적 시장가설 검증
§ 사건연구(event study)
유리한 정보(호재)에 대한 주가반응
5. 주가의 이례현상(효율성에 대한 반증)
§ 기업규모효과(size effect)
소기업효과(small firm effect)
§ 계절효과
1월효과(January effect)
주말효과(weekend effect)
일중효과(intra-day effect)
§ PER 효과
§ 최초공모주(IPO: Initial Public Offering) 현상
6. 주가와 시장심리
§ 주식투자는 미인선발대회(beauty contest)
§ 거품이론(bubble theory)
일본의 주식과 부동산 버블
Nikkei 지수 : 39,xxx(1989)→11,xxx(현재)
인터넷 열풍과 나스닥(코스닥) 버블
.com 기업에 대한 묻지마 투자
“이미 파산한 닷컴기업 주식 골동품으로 인기 상한가 : 올초 문닫은 e토이즈 경매사이트에서 139달러 호가”
7.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
§ 주가움직임에 대한 패턴을 이용하여 매매시점(market timing)을 판단
§ 약형의 효율적 시장과는 배치되는 개념
§ 논리적으로는 주가패턴이 존재할 수 없다
8. 주가패턴의 존재를 옹호하는 주장
§ 시장에서 정보전달 속도의 차이
§ 투자자의 정보이용 속도의 차이
§ 균형가격으로의 이동에 시간이 소요
추세가 존재
§ 기술적 분석을 이용해 추세의 출발점을 조기에 파악
9. 추세분석(다우이론)
10. 지지선과 저항선
11. 이동평균선분석
§ 단기추세 : 5일, 10일, 20일 이동평균선
중기추세 : 60일
장기추세 : 120일
§ 단기이동평균선 :
가격변화(시세전환)에 민감
전반적인 추세 변화(대세판단)에는 둔감
중장기이동평균선 :
새로운 추세 파악에 유리
주가변화에 대한 민감도는 떨어짐
§ 주가와 이동평균선 : 매매시점 파악
중장기이동평균선 : 중장기적 장세파악
12. 교차법
§ 주가와 이동평균선,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형태에 따라 매매시점과 장세를 분석
13. 대세판단
14. 이격도
§ 이격도 100% : 주가(지수)가 추세를 유지
100% 이상 : 주가(지수)가 추세를 상향 이탈
100% 미만 : 주가(지수)가 추세를 하향 이탈
§ 매도신호
강세장 : 20일 이격도 > 106%
약세장 : 20일 이격도 > 102%
§ 매수신호
강세장 : 20일 이격도 < 98%
약세장 : 20일 이격도 < 92%
15. 역시계방향곡선
16. 투자심리선
§ 80% 이상 : 주식시장이 과열(매도시점)
20% 미만 : 과도하게 침체(매입시점)
§ 단점 : 상승
추천자료
[경영학] 프라이빗 뱅킹의 문제점 및 선진화방안
성경으로 배우는 행복한 증권투자 토론문제 풀이
증권투자의이해-모의투자보고서
증권투자의이해-사이버강의(기말고사용)
[공기업민영화] 공기업민영화의 필요성과 성공사례
[증권투자의 이해] 모의투자 보고서
[기업구조조정증권투자회사]기업구조조정증권투자회사(CRF)의 도입배경, 기업구조조정증권투...
[경영 의사결정][경영 의사결정 선행연구][경영 의사결정 역기능][경영 의사결정 사례]경영 ...
[법][신탁][부동산][증권]계약형 부동산신탁제도 법적 검토, 자사주금전신탁의 법적 성질, 신...
[투자신탁][증권투자신탁][대한투자신탁][대투][은행투자신탁][부동산투자신탁][리츠][REITs]...
[증권투자][증권투자 의의][증권투자 사적증권소송개혁법][증권투자 코스닥시장][증권투자 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