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오존층 파괴
2. 산림파괴
3. 지구온난화
4. 물 부족
2. 산림파괴
3. 지구온난화
4. 물 부족
본문내용
확보는 더욱 어려워진 상황이다.
미국 CIA는 “Global Trends 2015(2000년 12월)”에서 2015년경 세계인구 절반이 넘는 30억명 이상이 물부족상태에 이르게 될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UN산하 국제기후변화회의 2001보고서에서는“21세기 지구는 고온·가뭄·홍수 등 이상기후변화와 인구증가로 인해 가까운 장래에 극심한 물 부족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UN 조사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약 1/5에 달하는 12억명이 안전한 음용수(Safe Drinking Water) 부족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보다 두배나 많은 24억명이 하수도시설이 없는 상태에서 물을 마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자원에 대한 부실한 관리로 매년 전 세계 인구 중, 3백만명 이상이 비위생적인 물로 인해 목숨을 잃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UN에서는 수인성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를 현재의 절반으로 줄이기로 한 밀레니엄 정상회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음용수 공급과 위생설비를 위한 지출을 현재 매년 300억달러에서 최고 600억달러까지 늘려야 한다고 평가하고 있다.
*개선방안:
생산원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도요금은 오히려 과소비의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 낮은 수도요금은 광역상수도 건설 등 신규시설 투자를 부진하게 만들고 노후 수도관 교체 공사를 지연시킨다. 이는 결국 수돗물 품질을 떨어뜨리고 비싼 생수의 수요를 늘리는 결과를 낳는다.
한편, 우리나라 하폐수 발생량의 배출원별 비중을 보면 생활하수75%, 산업폐수 24%, 축산폐수 1%로 생활하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환경부 통계에 따르면 전국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율은 73.2% 정도로 총하수발생량의 26.8%는 처리되지 못한 채 하천으로 유입돼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하천 유량이 부족한 동절기에는 수질오염도가 하절기보다3∼4배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생활하수 발생량의저감과 하수처리율의 확대가 절실하며, 이를 위해서는 물 절약과함께 수도요금 현실화가 필요하다.
수도요금 인상은 단기적으로 국민생활에 부담으로 작용하지만 물사용량을 줄여 추가적인 투자비 절감은 물론 수질 개선을 통한환경문제 해소 등 장기적으로는 국민 부담을 크게 줄여준다.
‘물은 아껴쓰지 않으면 안되는 소중한 자원’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려면 낮은 수도요금을 조속히 현실화해야 한다. 낡은 수도관의 교체 및 절수기기와 중수도 보급의 확대, 하수처리시설의 확대 등 절약과 오염 방지를 위한 막대한 시설 투자 재원도 이를통해 조달하는 것이 수익자 부담 원칙에 부합한다.
지금 이시잠이 지구촌 사람들이 물은 무한한 자원이 아니라 석유보다도 귀한 경제재라는 의식의전환이 필요한 시기다.
*기대효과:
전지구촌 사람들이 물의 소중함을 제인식 하고 물을 아껴 쓰고, 수자원 고갈 방지는 물론 ,수자원 개발에 힘쓴다면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이 지구상에서 영구토록 공생 할수 있을 것입니다.
과거 우리나라는 삼천리강산 금수강산으로 물 맑기로는, 풍요하기로는 단연 으뜸인 나라 라고 자부하여왔다.
너무나 넘치다보니 “물 쓰듯 한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이 나라는 물에 대하여만은 걱정근심이 전혀 없는 나라라고 우리 모두는 생각하여왔다.
그런 이 나라가 물 부족국가라면
우리 국민들이 믿을 수 있을 까?
세계148개국 가운데 물 풍요국가가 121개국, 물 부족국가가 13개국 ,
물기근국가가 14개국으로 이루어 져 있다,
그 가운데 우리나라가 물 부족국가라는 것을 아는
국민들이 얼마나 이러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을 까?
우리나라는 연 평균 강수량이 1.274mm로 세계평균의 1.3배에 달하지만
인구밀도가 높아 1인당 강수량은 세계평균의 1/10에 불과하면서
동시에 한해에 내리는 강수량의 2/3가 6~9월에 집중되면서 국토 또한 경사가 급한
산악지형이기에 짧은 시간 내에 바다로 흘러가게 되어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가정용 물 사용량은 OECD국가중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는 영광(?)을 누리고 있다.
댐을 건설하여 물의 이용량을 6배 이상 증가시켜 국민의 물 수요에 대응하여 왔지만 이제는 그 한계에 도달한 것 같은 느낌을 갖게 된다.
특히 강원도 동강댐건설의 백지화에서 보듯 이제는 정부의 정책만으로 댐이 건설되고
일사천리로 정책이 추진되는 시대는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의 문제는 더욱더 심각하리라 예상된다.
환경에 관련되는 일에 종사 하면서,올해가 세계 물의 해 라는 것을 알면서도
어느 누구 한명 물의 해인지도 모르는 다수의 무지가 횡횡하는 환경 속에서 생활 하는 우리가 너무도 안타깝다.
환경 관련 다큐멘터리:
원제 : Home, 2009
감독 : 얀 아르튀스-베르트랑
제작국가 : 프랑스
등급 : 전체관람가
상영시간 : 93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09-06-05
원제 : 북극의 눈물 (Tears In The Arctic) 2008
감독 : 허태정, 조준목
제작국가 : 한국
등급 : 전체관람가
상영시간 : 86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09-10-15
원제 : 불편한 진실 (An Inconvenient Truth, 2006)
감독 : 데이비스 구겐하임
제작국가 : 미국
등급 : 전체관람가
상영시간 : 100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06-09-14
원제 : 지구 (Earth)
감독 :
제작국가 : 독일, 영국
등급 : 전체관람가
상영시간 : 90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08-09-04
원제 : 아마존의 눈물
감독 : 김진만, 김현철
제작국가 : 한국
등급 : 15세 관람가
상영시간 : 88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10-03-25
원제 : 오션스 (Oceans, 2009)
감독 : 자크 페렝, 자크 클로드
제작국가 : 프랑스
등급 : 전체관람가
상영시간 : 87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10-07-28
원제 : 노 임팩트 맨 (No Impact Man, 2009)
감독 : 저스틴 쉐인, 로라 가버트
제작국가 : 미국
등급 : 전체관람가
상영시간 : 92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10-06-17
미국 CIA는 “Global Trends 2015(2000년 12월)”에서 2015년경 세계인구 절반이 넘는 30억명 이상이 물부족상태에 이르게 될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UN산하 국제기후변화회의 2001보고서에서는“21세기 지구는 고온·가뭄·홍수 등 이상기후변화와 인구증가로 인해 가까운 장래에 극심한 물 부족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UN 조사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약 1/5에 달하는 12억명이 안전한 음용수(Safe Drinking Water) 부족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보다 두배나 많은 24억명이 하수도시설이 없는 상태에서 물을 마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자원에 대한 부실한 관리로 매년 전 세계 인구 중, 3백만명 이상이 비위생적인 물로 인해 목숨을 잃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UN에서는 수인성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를 현재의 절반으로 줄이기로 한 밀레니엄 정상회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음용수 공급과 위생설비를 위한 지출을 현재 매년 300억달러에서 최고 600억달러까지 늘려야 한다고 평가하고 있다.
*개선방안:
생산원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도요금은 오히려 과소비의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 낮은 수도요금은 광역상수도 건설 등 신규시설 투자를 부진하게 만들고 노후 수도관 교체 공사를 지연시킨다. 이는 결국 수돗물 품질을 떨어뜨리고 비싼 생수의 수요를 늘리는 결과를 낳는다.
한편, 우리나라 하폐수 발생량의 배출원별 비중을 보면 생활하수75%, 산업폐수 24%, 축산폐수 1%로 생활하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환경부 통계에 따르면 전국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율은 73.2% 정도로 총하수발생량의 26.8%는 처리되지 못한 채 하천으로 유입돼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하천 유량이 부족한 동절기에는 수질오염도가 하절기보다3∼4배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생활하수 발생량의저감과 하수처리율의 확대가 절실하며, 이를 위해서는 물 절약과함께 수도요금 현실화가 필요하다.
수도요금 인상은 단기적으로 국민생활에 부담으로 작용하지만 물사용량을 줄여 추가적인 투자비 절감은 물론 수질 개선을 통한환경문제 해소 등 장기적으로는 국민 부담을 크게 줄여준다.
‘물은 아껴쓰지 않으면 안되는 소중한 자원’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려면 낮은 수도요금을 조속히 현실화해야 한다. 낡은 수도관의 교체 및 절수기기와 중수도 보급의 확대, 하수처리시설의 확대 등 절약과 오염 방지를 위한 막대한 시설 투자 재원도 이를통해 조달하는 것이 수익자 부담 원칙에 부합한다.
지금 이시잠이 지구촌 사람들이 물은 무한한 자원이 아니라 석유보다도 귀한 경제재라는 의식의전환이 필요한 시기다.
*기대효과:
전지구촌 사람들이 물의 소중함을 제인식 하고 물을 아껴 쓰고, 수자원 고갈 방지는 물론 ,수자원 개발에 힘쓴다면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이 지구상에서 영구토록 공생 할수 있을 것입니다.
과거 우리나라는 삼천리강산 금수강산으로 물 맑기로는, 풍요하기로는 단연 으뜸인 나라 라고 자부하여왔다.
너무나 넘치다보니 “물 쓰듯 한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이 나라는 물에 대하여만은 걱정근심이 전혀 없는 나라라고 우리 모두는 생각하여왔다.
그런 이 나라가 물 부족국가라면
우리 국민들이 믿을 수 있을 까?
세계148개국 가운데 물 풍요국가가 121개국, 물 부족국가가 13개국 ,
물기근국가가 14개국으로 이루어 져 있다,
그 가운데 우리나라가 물 부족국가라는 것을 아는
국민들이 얼마나 이러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을 까?
우리나라는 연 평균 강수량이 1.274mm로 세계평균의 1.3배에 달하지만
인구밀도가 높아 1인당 강수량은 세계평균의 1/10에 불과하면서
동시에 한해에 내리는 강수량의 2/3가 6~9월에 집중되면서 국토 또한 경사가 급한
산악지형이기에 짧은 시간 내에 바다로 흘러가게 되어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가정용 물 사용량은 OECD국가중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는 영광(?)을 누리고 있다.
댐을 건설하여 물의 이용량을 6배 이상 증가시켜 국민의 물 수요에 대응하여 왔지만 이제는 그 한계에 도달한 것 같은 느낌을 갖게 된다.
특히 강원도 동강댐건설의 백지화에서 보듯 이제는 정부의 정책만으로 댐이 건설되고
일사천리로 정책이 추진되는 시대는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의 문제는 더욱더 심각하리라 예상된다.
환경에 관련되는 일에 종사 하면서,올해가 세계 물의 해 라는 것을 알면서도
어느 누구 한명 물의 해인지도 모르는 다수의 무지가 횡횡하는 환경 속에서 생활 하는 우리가 너무도 안타깝다.
환경 관련 다큐멘터리:
원제 : Home, 2009
감독 : 얀 아르튀스-베르트랑
제작국가 : 프랑스
등급 : 전체관람가
상영시간 : 93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09-06-05
원제 : 북극의 눈물 (Tears In The Arctic) 2008
감독 : 허태정, 조준목
제작국가 : 한국
등급 : 전체관람가
상영시간 : 86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09-10-15
원제 : 불편한 진실 (An Inconvenient Truth, 2006)
감독 : 데이비스 구겐하임
제작국가 : 미국
등급 : 전체관람가
상영시간 : 100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06-09-14
원제 : 지구 (Earth)
감독 :
제작국가 : 독일, 영국
등급 : 전체관람가
상영시간 : 90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08-09-04
원제 : 아마존의 눈물
감독 : 김진만, 김현철
제작국가 : 한국
등급 : 15세 관람가
상영시간 : 88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10-03-25
원제 : 오션스 (Oceans, 2009)
감독 : 자크 페렝, 자크 클로드
제작국가 : 프랑스
등급 : 전체관람가
상영시간 : 87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10-07-28
원제 : 노 임팩트 맨 (No Impact Man, 2009)
감독 : 저스틴 쉐인, 로라 가버트
제작국가 : 미국
등급 : 전체관람가
상영시간 : 92 분
장르 : 다큐멘터리
개봉일 : 2010-06-17
추천자료
환경문제의 실상과 대책(녹색방안)
환경 문제와 국제 사회
국제환경문제와 그 해결을 위한 무역정책 및 환경과 연계된 무역 분쟁 주요사례와 대응방안에...
환경문제의 발생원인과 해결방안
환경문제와 국제통상
[생태위기][생태계위기][생태위기(생태계위기) 극복]생태위기(생태계위기)의 원인과 생태위기...
장재철학과 자연사상에 대한 분석 및 고찰
[학교환경교육]학교환경교육의 정의, 학교환경교육의 과정, 학교환경교육의 역할, 학교환경교...
환경호르몬
[무역의 관계] 무역과 경쟁, 무역과 환경, 무역과 노동기준, 무역과 부패방지
최적환경세율 - Sandmo의 분석(최선의 경우, 차선의 경우), 이중배당가설, Bovenberg와 Mooij...
[한국사회문제 A형] 현대 도시가 가지고 있는 문제와 극복 방안에 대하여 서술한 후, 자신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