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의 뿌리를 찾는 방법으로서 문화적 방법론을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민족의 뿌리를 찾는 방법으로서 문화적 방법론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현재의 한민족

2. 한민족의 기원

3. 한민족의 뿌리를 찾는 문화적 방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부터 서구학자들로부터 제기되어 왔었다. 그 계기는 5세기 유럽(로마)을 지배하다시피했던 훈족의 정체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거주하던 백인계임이 유물등을 통해 드러나고, 이들과 유사민족이었던 흉노족의 루트를 따라 연구한 결과 몽골지역에까지 연계된 동일한 계통임이 밝혀지게된 것이다.
최근의 한중일 학자들의 공동 연구결과, 이들 삼국의 공동조상(DNA구조상 가장 중심이 되는)은 동남아시아 지역으로부터 시작되었음을 밝혀냈다. 동남아시아에 머물고 있던 한무리가 오랜세월동안 중국 동해안 루트를 따라 북부로 이동해왔고, 대략 중국 화북지방에 정착했음을 확인 하였으며, 이들중 일부가 분열돼서쪽과 북쪽으로 계속 이주하여, 훗날 티벳이나 내몽골 지역의 황인종의 시원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내몽골지역은 후에 이주해온 아리안계(흉노)에 의해 접수되지만. 황화강 유역에 살던 종족은 그후 산동과 요녕, 한반도, 일본등으로 확산되어 나간 것으로 확인이 되었고, 이들이 오늘날한국과중국, 일본조상의 중심적 DNA를 형성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래서 이들 삼국(중국 남부지역민은 제외)인의 DNA구조가 가장 유사하게 나오는 것이다.
구당서(舊唐書)에 의하면, 고구려 멸망시의 전체 인구중 1/3정도가 한족(漢族)이었다고 한다. 또한, 신라 건국의 기틀이 되었던6부는 중국 이주민이었음을 삼국사기나 중국사서가 증명하고 있다. 진짜 김씨 정권의 조상인 김알지도 한족이었음은 물론이다.
한마디로 우리 민족의 형성은 큰 줄기가 예맥족 + 한족(漢族) + 해양민족(인도?) + 극소수 흉노족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우리나라 집단은 동아시아의 집단 가운데서도 중국인집단과 가장 가까운 유전적 변이를 지니고 있으며, 일본인 집단은 한국인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때문에 한국인 집단은 적어도 두 가지 경로 이상의 다양한 민족집단이 혼합과정을 겪으면서 형성되었으며, 유전적으로 하나의 민족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초기 한반도에 정착한 민족은 물론 최근의 민족집단이 이동한 경로 및 그 시기를 밝히는 것은 향후의 과제며, 한반도에 가장 먼저 정착한 민족과 이후의 민족이동 및 집단형성 등에 관해서도 좀더 자세한 연구가 진행돼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성경으로 여는 세계사 (김성일, 신앙계)
성경은 신화가 아닙니다. (김정주, 갈릴리)
Written by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 교실 서민호 교수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7.02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65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