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장되어 있다. 대륙 사면에 있는 퇴적물은 해저 지진이나 사태가 일어나면 심해저로 운반된다. 이때 생기는 해류를 저탁류라고 하며, 저탁류가 장기간 계속적으로 흐르면 다른 곳보다 움푹 파진 해저 협곡이 생성된다. 대륙대에서는 저탁류에 의해 운반된 육성 기원의 퇴적물이 분급이 잘되어 점이 층리가 뚜렷한 퇴적암을 형성하는데 이것을 터비다이트(저탁암)이라고 한다.
3. 대륙대 : 대륙 사면의 기슭으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심해저로 이어지는 해저이다. 대륙대는 주로 대륙 사면으로부터 이동해 온 퇴적물이 쌓여서 이루어진 것으로 대서양에서 주로 나타난다.
●심해저 분지
1. 심해저 분지 : 수심 4 ~ 6km의 광대하고 편평한 해저를 말한다. 대양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넓은 평원인 대양저 평원이며, 해양저에는 해령, 해산, 기요 등이 분포되어 있다.
2. 해령 : 해령은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높이 2 ~ 4km, 폭 1000km이상, 총 길이 약 6500km인 대양저 산맥으로서 각 대양으로 연결되어 있고 지진과 화산활동이 활발하다. 해령에는 해령을 수직으로 자르는 변환단층이 발달되어 있고, 그 중심부에는 깊은 골짜기인 V자형 열곡이 있는데 이것은 열곡 밑바닥에서 현무암질 마그마가 맨틀로부터 분출하여 해령의 양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측된다.
3. 해구 : 대륙 사면과 대양저의 경계를 따라 분포된 수심 약 7km 이상 되는 V자형의 골짜기이다. 해구는 태평양의 주변부에 잘 발달되어 있으며 지진활동이 심하다. 해구에는 퇴적물이 두껍게 발달하고 있으며, 지진 활동이 심하다. 유명한 해구로는 서태평양의 마리아나 해구, 일본 해구, 필리핀 해구 등이 있다.
4. 해산, 기요 : 해산은 대양저 평원에 분포하는 뾰족한 모양의 해저 화산이고, 기요는 해산의 봉우리가 해수의 침식으로 평탄하게 깎인 후 침강한 평정해산이다. 해산과 기요는 태평양에서만 10,000개 이상이 있다.
●심해퇴적물
- 심해 퇴적물
1. 적색 점토 : 바람에 의한 먼지가 쌓인 쇄설성 퇴적
2. 연니 : 부유성 동·식물의 잔해 (석회질 연니, 규질 연니)
3. 망간 단괴 : 해저 광물 자원으로 유용
- 반심해성 퇴적층 : 저탁류
1. 저탁류 : 대륙붕 가장자리에 쌓인 퇴적물이 지진이나 해일 등에 의해 대륙사면을 타고 내 려가는 현상
2. 이때 생긴 퇴적암을 저탁암(터비다이트, turbidite)이라 한다.
3. 저탁암은 점이 층리가 잘 발달된다.
●해양자원
1. 해양 자원의 개발
- 해양은 지구 면적의 70%, 물 자원의 97%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산 자원, 광물 자원, 에너지 자원 등의 공급 잠재력이 크다.
2. 해양 환경의 보전
가. 해양 오염
1) 열 오염 : 발전소, 임해 공업 단지의 냉각수의 배출 - 수온 상승 - 양식업이나 연근해 어업에 피해
2) 수질 오염 : 생활 하수, 산업 폐수, 선박의 폐유 유출로 인한 오염 - 적조(赤潮)현상
나. 해양 환경 보전을 위한 대책
폐수 정화 시설의 설치, 청정 해역(blue belt)의 설치 등 관련 법규 강화
3. 대륙대 : 대륙 사면의 기슭으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심해저로 이어지는 해저이다. 대륙대는 주로 대륙 사면으로부터 이동해 온 퇴적물이 쌓여서 이루어진 것으로 대서양에서 주로 나타난다.
●심해저 분지
1. 심해저 분지 : 수심 4 ~ 6km의 광대하고 편평한 해저를 말한다. 대양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넓은 평원인 대양저 평원이며, 해양저에는 해령, 해산, 기요 등이 분포되어 있다.
2. 해령 : 해령은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높이 2 ~ 4km, 폭 1000km이상, 총 길이 약 6500km인 대양저 산맥으로서 각 대양으로 연결되어 있고 지진과 화산활동이 활발하다. 해령에는 해령을 수직으로 자르는 변환단층이 발달되어 있고, 그 중심부에는 깊은 골짜기인 V자형 열곡이 있는데 이것은 열곡 밑바닥에서 현무암질 마그마가 맨틀로부터 분출하여 해령의 양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측된다.
3. 해구 : 대륙 사면과 대양저의 경계를 따라 분포된 수심 약 7km 이상 되는 V자형의 골짜기이다. 해구는 태평양의 주변부에 잘 발달되어 있으며 지진활동이 심하다. 해구에는 퇴적물이 두껍게 발달하고 있으며, 지진 활동이 심하다. 유명한 해구로는 서태평양의 마리아나 해구, 일본 해구, 필리핀 해구 등이 있다.
4. 해산, 기요 : 해산은 대양저 평원에 분포하는 뾰족한 모양의 해저 화산이고, 기요는 해산의 봉우리가 해수의 침식으로 평탄하게 깎인 후 침강한 평정해산이다. 해산과 기요는 태평양에서만 10,000개 이상이 있다.
●심해퇴적물
- 심해 퇴적물
1. 적색 점토 : 바람에 의한 먼지가 쌓인 쇄설성 퇴적
2. 연니 : 부유성 동·식물의 잔해 (석회질 연니, 규질 연니)
3. 망간 단괴 : 해저 광물 자원으로 유용
- 반심해성 퇴적층 : 저탁류
1. 저탁류 : 대륙붕 가장자리에 쌓인 퇴적물이 지진이나 해일 등에 의해 대륙사면을 타고 내 려가는 현상
2. 이때 생긴 퇴적암을 저탁암(터비다이트, turbidite)이라 한다.
3. 저탁암은 점이 층리가 잘 발달된다.
●해양자원
1. 해양 자원의 개발
- 해양은 지구 면적의 70%, 물 자원의 97%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산 자원, 광물 자원, 에너지 자원 등의 공급 잠재력이 크다.
2. 해양 환경의 보전
가. 해양 오염
1) 열 오염 : 발전소, 임해 공업 단지의 냉각수의 배출 - 수온 상승 - 양식업이나 연근해 어업에 피해
2) 수질 오염 : 생활 하수, 산업 폐수, 선박의 폐유 유출로 인한 오염 - 적조(赤潮)현상
나. 해양 환경 보전을 위한 대책
폐수 정화 시설의 설치, 청정 해역(blue belt)의 설치 등 관련 법규 강화
키워드
추천자료
해양오염
기후변화 위기의 도래와 극복방안 논의
공통과학 교과서 분석(고등학교 1학년 과학)
종의 다양성-진화
[환경오염]환경오염의 심각성과 우리의 대응-환경오염원인, 환경오염대책-
일본과 러시아의 영토분쟁 국제관계
[지형][지형용어][지형학자][일본의 지형][한국의 지형][파키스탄의 지형]지형용어, 지형학자...
[친환경발전][친환경에너지][에너지][대체에너지][발전][원자력발전][풍력발전][해양에너지발...
[기후변화]기후변화 끔직한 대재앙인가? 섣부른 우려인가?, 기후변화를 야기한 원인을 찾아서...
환경오염의 심각성과 우리의 대응-환경오염원인, 환경오염대책-
[과학기술인력][과학기술인력 양성프로그램]과학기술인력의 정의, 과학기술인력의 배경, 과학...
[해양 기상학 번역] 05장. 해양학의 중요성
지구과학 임용고시 대기과학 정리
지구온난화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