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축제의 의미와 종류
2. 축제의 기능
3. 축제가 나에게 주는 의미
4. 내가 가본 축제의 내용과 느낀 점 그리고 앞으로의 지향점
2. 축제의 기능
3. 축제가 나에게 주는 의미
4. 내가 가본 축제의 내용과 느낀 점 그리고 앞으로의 지향점
본문내용
나다니면서도 무슨 행사를 하는 지 알 수 있을 만큼의 홍보는 되어야 하지 않을까? 또한 지역민들과의 함께 하는 축제라는 모토를 가지고 시작했지만 직접적으로 지역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었던 행사가 거의 없었다. 대운동장에서 펼쳐진 일련의 행사들이 있었지만 일반인들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일반들에게도 축제에 대한 홍보가 전혀 없어 지역주민과 함께한다는 기존의 목표는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본다. 결국 가장 큰 문제는 홍보의 부족이었다. 그 다음 문제라고 생각 되는 것은 학생들 대부분이 참여를 할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학생들 대부분이 수업이 휴강하는 틈을 타서 더욱 많이 술을 마시고 흥청망청 축제 기간을 보낸다. 이러한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주막이다. 축제 때 학교안의 거의 대부분이 조용하지만 주막만은 사람들이 시끌벅적하다. 대학생문화는 술 문화를 빼고는 아무것도 아니란 말인가? 대학은 고등학교 때 마시지 못했던 술을 마음껏 마실 수 있게 해주는 안전망이란 말인가? 학교 앞 대학로의 술집 앞에서 흥청망청 술 마시고 고성방가하면서 돌아다니는 그 수많은 무리의 대학생들을 보면 한숨이 나온다. 물론 대학교에 왔다고 해서 학문을 연구하는 데만 온갖 열정을 쏟으라는 것이 아니다. 사람들도 많이 만나고 많이 즐기는 일도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의 대학문화는 거의 모두가 즐기는 것뿐이다. 축제의 원래 의미가 축과 제의 의미였는데, 점점 제의 의미가 사라져가고 있다고 서두에서 언급하였다. 축제의 제(祭)가 의식을 의미한다면 대학에서 제(祭)라고 말하는 것은 학문을 의미하는 데 우리의 대학문화 속에는 축(祝) 만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으니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물론 축제 때 까지 도서관에서 공부만 하고 있으라는 말이 아니다. 젊은이들이 즐길 때는 마음껏 즐길 줄도 알아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방식이 술로만 풀어지는 게 안타까울 뿐이다. 이런 학교 축제를 하면 여러 가지 행사가 많이 있는 데 학교 축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스스로가 리더가 되어 주체적으로 행사를 이끌어가는 주인의식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은 보이지 않고 무관심하고 방관하는 학생들의 태도를 보면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그리고 전북대학교 같은 종합대학에는 여러 단과대학이 있다, 사회대, 인문대, 사범대... 등등 많은 단대가 있는 데, 축제 때 자신의 단대만의 특징을 잘 살려서 프로그램을 만들었으면 좋을 것 같다. 축제라는 것이 총학생회를 주축으로 너무나 편중되어서 이루어지다 보니 각 단대별 학생회는 그저 소규모로 자신의 단대 행사를 하게 되는 데, 너무 소규모로 이루어지다 보니 물풍선 던지기 같은 게임이 고작이다. 이제부터는 각 단대별로 축제의 비중 있는 프로그램들을 진행함으로써 학교축제를 모든 단과대학이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고 민주적인 이라고 생각한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대학에서의 제(祭)의 개념은 학문과 상통하기 때문에 각 단대별 학문을 축(祝)적인 요소와 잘 융합하여서 단대별로 특징 있는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어서 축제를 하면서도 놀고먹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되도록 대학축제의 분위기를 만들어 가야 한다.
이상으로 제가 직접 경험해본 축제 까지 느낀점과 개선방향까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축제라는 행사에 대해 지금까지는 그냥 ‘논다’라는 의미로 해석해왔는데 이번 축제에 대한 리포트를 쓰면서 우리의 축제 현실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축제의 각 주체들이 ‘축제를 왜 하는가?’ 에 대한 성찰과 명확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축제를 참여하는 것이 제대로 된 축제를 즐길 수 있는 길이라는 결론을 얻게 되었습니다.
이상으로 제가 직접 경험해본 축제 까지 느낀점과 개선방향까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축제라는 행사에 대해 지금까지는 그냥 ‘논다’라는 의미로 해석해왔는데 이번 축제에 대한 리포트를 쓰면서 우리의 축제 현실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축제의 각 주체들이 ‘축제를 왜 하는가?’ 에 대한 성찰과 명확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축제를 참여하는 것이 제대로 된 축제를 즐길 수 있는 길이라는 결론을 얻게 되었습니다.
추천자료
지역축제활성화방안 - 수원화성문화제
세계적인 지역축제 성공요인과 지방 축제의 성공전략
지역축제의성공사례를통한강릉단오제의발전방안
축제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축제] 지역축제의 마케팅전략
[우리나라 문화관광축제]우리나라 문화관광축제&문화관광축제에 관한 레포트
[기장대변멸치축제][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축제]지역축제 개념과 지역축제 방문동기분석의 의...
문화 통한 지역개발 성공 사례, 요구, 지역개발 사례, 해양관광, 카지노, 국제 이벤트, 문화...
투어컨설팅 문화관광축제,문화관광축제,영덕블루로드,국내축제 자료
[관광경영]망똥 레몬 축제의 성공요인과 발전방향
[지역축제][향토축제]지역축제(향토축제)의 정의, 지역축제(향토축제)의 분류, 지역축제(향토...
[마임]춘천마임축제(춘천국제마임축제)의 목적, 배경, 춘천마임축제(춘천국제마임축제)의 현...
예술경영과예술행정공통) 지역축제가 갖는 다양한 가치 중에서 '사회적 가치'와 '원형 가치'...
[문화관광축제] 국내 문화관광축제의 유형과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과 효율방안에 대하여 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