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부사절과 종속절의 개념
1) 부사절
2) 종속절
3. 종속절과 부사절의 관계
1) 종속절을 부사절로 보지 않는 경우
2) 종속절을 부사절로 보는 경우
4. 현행 학교 문법의 문장 분류
5. 맺음말
〈참고 문헌〉
2. 부사절과 종속절의 개념
1) 부사절
2) 종속절
3. 종속절과 부사절의 관계
1) 종속절을 부사절로 보지 않는 경우
2) 종속절을 부사절로 보는 경우
4. 현행 학교 문법의 문장 분류
5. 맺음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이들에 대해서 종속절로 보는 견해와 부사절로 보는 견해를 복수로 인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5. 맺음말
종속절과 부사절의 관계는 결국 이어진 문장으로 보느냐 아니면 내포문으로 보느냐이다.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의 선행절 즉 종속절은 모문의 서술어를 꾸민다고 볼 것이 아니라 동일한 값어치의 절이 얽힌 것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는 견해가 있었지만, 종속절이 부사어처럼 이동이 가능하고, 또 실제로 이루어짐으로서 부사어의 기능을 보다 명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 관형절이나 명사절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명사(구)가 생략된다는 점, 선행절에서 재귀화가 일어난다는 점 등을 들어 종속절은 부사절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가 더 많다.
두 번째 견해는 또다시 종속절 모두를 부사절로 처리할 것인가 아니면 종속절 중에서 부사성이 강한 어미에 이끌리는 경우에만 부사절로 처리할 것이가라는 문제에 부딪힐 수 있다. 그러나 종속절의 부사적 특징을 고려할 때 종속절 모두를 부사절로 처리하는 것이 더 간결한 것으로 파악된다.
〈참고 문헌〉
권경희(1997), 동남어문논집, 7호.
권경희(1997), 어미 ‘-아/어, -게, -지, -고’의 문법적 처리, 동아대학교, 언어와 언어교육 제12집.
김선희(1999), 부사절의 설정 문제와 범위, 목원어문학.
남기심고영근(19890,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유현경(1985), 접속문의 통사적 특질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이관규(2002), 개정판 학교문법론, 월인.
이익섭(2000), 국어학 개설, 학연사.
이익섭(2003), 국어 부사절의 성립, 태학사.
5. 맺음말
종속절과 부사절의 관계는 결국 이어진 문장으로 보느냐 아니면 내포문으로 보느냐이다.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의 선행절 즉 종속절은 모문의 서술어를 꾸민다고 볼 것이 아니라 동일한 값어치의 절이 얽힌 것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는 견해가 있었지만, 종속절이 부사어처럼 이동이 가능하고, 또 실제로 이루어짐으로서 부사어의 기능을 보다 명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 관형절이나 명사절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명사(구)가 생략된다는 점, 선행절에서 재귀화가 일어난다는 점 등을 들어 종속절은 부사절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가 더 많다.
두 번째 견해는 또다시 종속절 모두를 부사절로 처리할 것인가 아니면 종속절 중에서 부사성이 강한 어미에 이끌리는 경우에만 부사절로 처리할 것이가라는 문제에 부딪힐 수 있다. 그러나 종속절의 부사적 특징을 고려할 때 종속절 모두를 부사절로 처리하는 것이 더 간결한 것으로 파악된다.
〈참고 문헌〉
권경희(1997), 동남어문논집, 7호.
권경희(1997), 어미 ‘-아/어, -게, -지, -고’의 문법적 처리, 동아대학교, 언어와 언어교육 제12집.
김선희(1999), 부사절의 설정 문제와 범위, 목원어문학.
남기심고영근(19890,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유현경(1985), 접속문의 통사적 특질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이관규(2002), 개정판 학교문법론, 월인.
이익섭(2000), 국어학 개설, 학연사.
이익섭(2003), 국어 부사절의 성립, 태학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