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소년 개별상담의 개입과정을 나누고 각 과정에서 이뤄져야 하는 목표와 과제를 서술하시오.
본문내용
방해하는 내담자가 보이는 모든 태도와 행동을 의미한다.
②구체적 탐색과 직면
내담자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 상담 중기의 중요한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이면서도 종합적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③실천할 수 있는 동기조성
성취동기라고 하는 것은 성공의 확률이 실패의 확률보다는 높다는 확신이 있을 때 극대화된다. 상담자가 할 일은 그 대안의 성공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보다 철저한 준비를 시켜야 한다. 언제, 어디서, 무슨 생각을 하면서, 무슨 표정으로, 어떤 목소리의 톤으로 할 것이지를 구체적으로 정하고 연습을 시켜 생활로 내보내져야 한다.
④종합적 설명틀의 발달 촉진
상담의 경험이 증가함에 따라 이 과제 수행은 수월해지나 지속적 사례지도와 동료들과의 논의 등을 통해 더 합리적이고 종합적인 설명 틀을 가질 수 있다.
⑤다양한 기법과 대안의 발달 촉진
상담자의 이론적 접근방법에 따라 자동적 사고 대신에 필요한 인지틀을 대안으로 발달시킬 수 있으며, 부정적 자기개념에 의해 생긴 왜곡된 지각에 대한 대안, 부적응적 행동에 대신하는 행동 레퍼토리들을 내담자들과 함께 논의할 수 있다.
상담자는 배경들을 엮어 역동성과 가설적 소설을 써내려가면서 왜곡된 지각, 부적절한 감정, 생략되거나 간과된 삶의 영역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검증해 나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담자는 여러 가지 단편적 정보를 연결시키는 작업을 시간을 내어 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가설적 상담 이론들의 숙지가 우선 요구되고 한 내담자를 깊이 생각할 수 있는 여유로운 시간의 배정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 상담의 종결기이다.
내담자는 여러 가지 행동으로 종결에 대한 신호를 보낸다. 개인적 일로 상담시간 결석하기, 상담으로의 소극적 개입, 원래의 문제 외의 생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일들에 대한 상의 등으로 상담의 계속적 진행을 저항하는 것처럼 보일 때 상담자는 이것이 단지 저항인지 아니면 종결에 대한 신호인지를 평가해야 한다.
내담자의 처음 문제가 해결되고 장래의 비슷한 문제에 직면하여 처리할 자신감이 생겼을 때 자연스럽게 종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자연스럽고 만족할 만한 종결이란 사실상 드물고 어려워서, 처음에 기대했던 해결 및 행동변화와 상담과정에서 도달한 한계와의 타협점에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만남보다는 헤어짐이 우리들의 생활에서는 훨씬 어려운 주제이다. 생활에서의 이별은 그리 유쾌한 경험이 아니다.
청소년들이 지금까지 살아오는 동안 스스로 헤어짐을 선포한 경우는 거의 없었을 것이다. 부모님과 형제는 좋으나 싫으나 끝까지 함께 지내야 될 사람들이고, 학교 선생님과 친구들은 의지가 크게 작용하지 않아도 만났다가도 헤어진다. 청소년 내담자에게 상담자는 어른이고 선생님으로 자리 매겨지기 때문에 먼저 이별을 운운한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상담의 초기에 종결시기와 종결의 준거들에 대해 충분하게 이야기해 두어야 한다. 이 과정은 어떤 면에서는 상담자를 위해서 더욱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종결과 관련 지어 생각할 때 상담 목표도 더 구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된다.
상담은 계획된 헤어짐이 있는 과정이다. 내담자는 상담에서 문제를 규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노력하고, 노력의 성과를 평가하여 그 과정을 결별하든 혹은 재개하든 한다.
- 참고 자료
『인지, 정서, 행동치료』. 학지사. 박경애(2007)
김영순(2009) / 상담의 이론과 실제, 청소년상담실
청소년복지론, 양서원. 홍봉선, 남미애 공역, 2008
김충기·강봉규(2010) / 현대상담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상담 심리학(3판)』. 박영사. 이장호(2006)
②구체적 탐색과 직면
내담자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 상담 중기의 중요한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이면서도 종합적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③실천할 수 있는 동기조성
성취동기라고 하는 것은 성공의 확률이 실패의 확률보다는 높다는 확신이 있을 때 극대화된다. 상담자가 할 일은 그 대안의 성공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보다 철저한 준비를 시켜야 한다. 언제, 어디서, 무슨 생각을 하면서, 무슨 표정으로, 어떤 목소리의 톤으로 할 것이지를 구체적으로 정하고 연습을 시켜 생활로 내보내져야 한다.
④종합적 설명틀의 발달 촉진
상담의 경험이 증가함에 따라 이 과제 수행은 수월해지나 지속적 사례지도와 동료들과의 논의 등을 통해 더 합리적이고 종합적인 설명 틀을 가질 수 있다.
⑤다양한 기법과 대안의 발달 촉진
상담자의 이론적 접근방법에 따라 자동적 사고 대신에 필요한 인지틀을 대안으로 발달시킬 수 있으며, 부정적 자기개념에 의해 생긴 왜곡된 지각에 대한 대안, 부적응적 행동에 대신하는 행동 레퍼토리들을 내담자들과 함께 논의할 수 있다.
상담자는 배경들을 엮어 역동성과 가설적 소설을 써내려가면서 왜곡된 지각, 부적절한 감정, 생략되거나 간과된 삶의 영역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검증해 나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담자는 여러 가지 단편적 정보를 연결시키는 작업을 시간을 내어 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가설적 상담 이론들의 숙지가 우선 요구되고 한 내담자를 깊이 생각할 수 있는 여유로운 시간의 배정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 상담의 종결기이다.
내담자는 여러 가지 행동으로 종결에 대한 신호를 보낸다. 개인적 일로 상담시간 결석하기, 상담으로의 소극적 개입, 원래의 문제 외의 생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일들에 대한 상의 등으로 상담의 계속적 진행을 저항하는 것처럼 보일 때 상담자는 이것이 단지 저항인지 아니면 종결에 대한 신호인지를 평가해야 한다.
내담자의 처음 문제가 해결되고 장래의 비슷한 문제에 직면하여 처리할 자신감이 생겼을 때 자연스럽게 종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자연스럽고 만족할 만한 종결이란 사실상 드물고 어려워서, 처음에 기대했던 해결 및 행동변화와 상담과정에서 도달한 한계와의 타협점에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만남보다는 헤어짐이 우리들의 생활에서는 훨씬 어려운 주제이다. 생활에서의 이별은 그리 유쾌한 경험이 아니다.
청소년들이 지금까지 살아오는 동안 스스로 헤어짐을 선포한 경우는 거의 없었을 것이다. 부모님과 형제는 좋으나 싫으나 끝까지 함께 지내야 될 사람들이고, 학교 선생님과 친구들은 의지가 크게 작용하지 않아도 만났다가도 헤어진다. 청소년 내담자에게 상담자는 어른이고 선생님으로 자리 매겨지기 때문에 먼저 이별을 운운한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상담의 초기에 종결시기와 종결의 준거들에 대해 충분하게 이야기해 두어야 한다. 이 과정은 어떤 면에서는 상담자를 위해서 더욱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종결과 관련 지어 생각할 때 상담 목표도 더 구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된다.
상담은 계획된 헤어짐이 있는 과정이다. 내담자는 상담에서 문제를 규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노력하고, 노력의 성과를 평가하여 그 과정을 결별하든 혹은 재개하든 한다.
- 참고 자료
『인지, 정서, 행동치료』. 학지사. 박경애(2007)
김영순(2009) / 상담의 이론과 실제, 청소년상담실
청소년복지론, 양서원. 홍봉선, 남미애 공역, 2008
김충기·강봉규(2010) / 현대상담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상담 심리학(3판)』. 박영사. 이장호(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