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에서 ‘갈등’ 에 대해 정의하고 함세덕의「동승」을 인용하여 설명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희곡에서 ‘갈등’ 에 대해 정의하고 함세덕의「동승」을 인용하여 설명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갈등의 정의
 1.1 희곡에서의 ‘갈등’유형

2. 함세덕作 희곡「동승」

3.「동승」에서 살펴본 ‘갈등’
 3.1 등장인물간의 갈등
 3.2 개인의 내면 심리 속 갈등
 3.3 집단 및 사회 사이에서의 갈등

4. 결 론

본문내용

이무기는 없대요.’ -(이를 부정하는 세속적 입장)
② 주지: 늙히지요. 이 더러운 속세에 털끝만치나마, 서방정토(西方淨土)의 모습을 갖춘 곳이 있다면, 그것은 이 절밖엔 없으니까요. -(세상에서 청정한 곳은 절이라고 밝힘)
미망인: 세상에서 죄를 짓구 들어왔다면 모를까. 아직껏 동네 구경두 못한 것을 일생 여기서 보내게 하신다는 건...... 뭐라구 했으면 좋을까 좀 가혹하시다구......?
주지: 속세 구경 못한 게 얼마나 다행합니까?
미망인: 그렇지만 벌써 부모 생각을 하구 세상에 가서 살구 싶어하지 않아요? 더군다나 나이 먹으면 여기 있는데두 세상 사람들의 번뇌는 자연히 갖게 될 꺼라구 생각해요.
주지: 설혹 갖게 되더라두, 단지 그리워하구 보구 싶어할 따름이지, 술을 먹구, 계집을 탐내구, 부처님이 말리시는 육계(六戒)를 태연히 범할 염려는 없거든요.
미망인: 그런 것을 하게 제가 가만 두나요? -(비록 절이 아니더라도 청정할 수 있다고 함)
4. 결 론
지금까지 갈등의 개념을 확인하고 희곡에서의 갈등에 대한 정의를 내려 보았다. 갈등[葛藤, conflict]이란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달라 서로 적대시하거나 불화를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갈등상태[葛藤狀態]란, 두 가지 이상의 상반되는 욕구, 기회, 목표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희곡에서의 갈등에는 크게 내적갈등, 외적갈등, 판단갈등, 집단갈등이 있다. 이어서 함세덕의「동승」줄거리에 대해서 소개하였다.「동승」은 작품은 제목 그대로 한 동승의 환속기(還俗記)이다. 작자는 부모를 모르는 한 동승의 애처로운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욕망을 통해 사랑과 이별, 꿈과 동경간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여기서는「동승」의 내용을 직접 인용하여 인물간의 갈등, 개인의 내면 심리 속 갈등, 집단 간의 갈등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결국, 희곡에서의 갈등은 연극을 이끌어 가는 중요한 요소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극적인 긴장감을 부여하여 작품에 최대한 몰입할 수 있게 만든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박혜수,『동승』, 샘터사, 2003.
유민영,『함세덕 희곡선』,새문사, 1989.
조남철유민영이재명 공저,『한국희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2009.
한국극예술학회,『한국현대대표희곡선집1』, 월인, 1999.
Claudon, FKaren, H.W. 공저, 김정란 역,『비교문학개요』,동문선, 2001.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7.2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95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