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맥도날드 소개
1) 맥도날드의 소개
(1) 연 혁
(2) 핵심가치
2) 맥도날드의 프랜차이즈 전략 소개
2. 국제 마케팅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설명
1) 표준화 전략
2) 현지화 전략
3. 맥도날드의 표준화 전략과 현지화 전략
1) 표준화 전략
2) 현지화 전략
4. 국제정세의 변화로 인한 맥도날드의 위기와 극복 방안
1) 위기
(1) 환경운동 및 웰빙열풍
(2) 반미운동
2) 극복 방안 - 디마케팅 전략
(1) 디마케팅의 정의
(2) 디마케팅의 종류
① 일반적 디마케팅
② 선택적 디마케팅
③ 외견상 디마케팅
(3) 맥도날드의 디마케팅 전략 - 프랑스의 사례
5. 기타 맥도날드의 뛰어난 마케팅 전략들
1) 인터렉티브 마케팅 강화
2) 맥카페에 역량을 집중
6. 맥도날드의 STP, SWOT 및 4P 분석
1) STP
2) SWOT 분석
3) 4P 분석 - Promotion에 집중하여
(1) 팔레스타인 어린이 돕기
(2) RMHC (Ronald McDonald House Charities)
① 로날드 맥도날드 하우스
② 로날드 맥도날드 패밀리 룸
③ 로날드 맥도날드 케어 모바일
④ RMHC 장학금
(3) 로날드 맥도날드 축구클럽
(4) 한국 맥도날드의 사회공헌 프로그램
(5)맥도날드 CSR에 대한 비판
7. 경쟁사 분석
1) 롯데리아
2) 버거킹
3) 웰빙트렌드로 인한 잠재적인 경쟁사 –수제버거
1) 맥도날드의 소개
(1) 연 혁
(2) 핵심가치
2) 맥도날드의 프랜차이즈 전략 소개
2. 국제 마케팅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설명
1) 표준화 전략
2) 현지화 전략
3. 맥도날드의 표준화 전략과 현지화 전략
1) 표준화 전략
2) 현지화 전략
4. 국제정세의 변화로 인한 맥도날드의 위기와 극복 방안
1) 위기
(1) 환경운동 및 웰빙열풍
(2) 반미운동
2) 극복 방안 - 디마케팅 전략
(1) 디마케팅의 정의
(2) 디마케팅의 종류
① 일반적 디마케팅
② 선택적 디마케팅
③ 외견상 디마케팅
(3) 맥도날드의 디마케팅 전략 - 프랑스의 사례
5. 기타 맥도날드의 뛰어난 마케팅 전략들
1) 인터렉티브 마케팅 강화
2) 맥카페에 역량을 집중
6. 맥도날드의 STP, SWOT 및 4P 분석
1) STP
2) SWOT 분석
3) 4P 분석 - Promotion에 집중하여
(1) 팔레스타인 어린이 돕기
(2) RMHC (Ronald McDonald House Charities)
① 로날드 맥도날드 하우스
② 로날드 맥도날드 패밀리 룸
③ 로날드 맥도날드 케어 모바일
④ RMHC 장학금
(3) 로날드 맥도날드 축구클럽
(4) 한국 맥도날드의 사회공헌 프로그램
(5)맥도날드 CSR에 대한 비판
7. 경쟁사 분석
1) 롯데리아
2) 버거킹
3) 웰빙트렌드로 인한 잠재적인 경쟁사 –수제버거
본문내용
개설하였다. 뒤를 이어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의 어린이 병원학교 설립과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3) 로날드 맥도날드 축구클럽
2008년부터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 한편 더 많은 어린이들과 함께 하고자 부산광역시 교육청 및 부산 아이파크, 서울시 교육청 및 FC서울과 함께 학교 체육 활성화 및 어린이 체력 증진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학교 방문 축구교실을 시작하였다. 이후 2010년 수원삼성이 동참하였으며, 2010년 한해동안 서울 지역 160개, 부산 지역 57개, 수원 지역 27개의 유치원 및 초등학교에서 학교 방문 축구교실을 진행했다. 최근 한국 맥도날드는 부산 해운대구에서 부산시 교육청, 부산아이파크 등과 함께 지역 초등교사 30여명을 대상으로 `유소년 축구 코칭 비디오` 활용방법 등을 소개하는 워크숍을 가졌다. 이날 공개된 유소년 축구 코칭 비디오는 초등학교 체육 수업때 활용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축구 규칙부터 준비운동, 드리블 및 패스훈련, 배운 내용을 적용해 볼 수 있는 미니게임 등으로 구성됐다.
(4) 한국 맥도날드의 사회공헌 프로그램
한국맥도날드는 어린이와 가족, 사람을 소중히 생각하는 기업이라는 맥도날드의 기업철학에 따라, 국내 최초로 2007년 2월 세브란스 어린이병원학교와 함께 소아암 아동의 ‘학교복귀 및 적응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3월 입학을 앞둔 소아암 환아들을 대상으로 상록수 캠프를 개최하였다. 이는 국내에서 한번도 시행되지 않은 ‘소아암 아동의 정서적이고 교육적인 필요’를 돕기 위한 사회공헌활동으로, 일반 공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종합적이고도 전략적인 PR활동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맥도날드와 KPR은 이 프로그램이 남들이 생각하지 않는 CSR 영역의 틈새를 찾아낸 차별화된 CSR활동이라는 점과, CSR의 두 가지 기본 축인 1) 기업이익의 사회환원 2)사회의 니즈 모두를 충족시키는 활동이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하고, TV, 라디오, 종합일간지, 경제지, 영자지, 시사주간지, 의학전문지 등에 걸쳐 전방위적인 PR 활동을 전개하였다.
(5) 맥도날드 CSR에 대한 비판
맥도날드의 CSR 활동이 가장 큰 비판을 받는 부분은 지나치게 아동들에게 접근하려는 방식이다. 외면적으로는 아동들의 건강과 복지를 위한다고 광고하면서 자사의 패스트푸드를 지속적으로 아동들에게 노출시킴으로써 소비를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패스트푸드가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많다는 점을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아동들에게 접근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맥도날드는 그러한 의견은 비약이며 아동들의 복지를 위한 활동이라는 공식답변을 유지하고 있다.
7. 경쟁사 분석
1) 롯데리아
국내 패스트푸드 없계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토종 기업이다. 전세계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는 맥도날드는 전 세계 시장 중 두 곳을 제외하고 모두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두곳이 한국과 필리핀 이라고 한다. 1986년 팥빙수를 판매하며 한국적 패스트푸드의 시작을 알린 롯데리아는 1992년 불고기 버거를 선보이며 국내 시장에서 입지를 확실히 다졌고, 이후 1999년 라이스버거를 출시하면서 서구의 음식을 우리의 음식으로 만들어 냈다.
전국 매장수는 롯데리아 984개, 맥도날드 238개로서 롯데리아가 4배정도 많이 가지고 있으며, 점유율 45% 이상 차지하며 경쟁업체를 앞서나가고 있다. 메뉴의 다양성을 통해 기존 메뉴에 90%정도가 버거 메뉴였지만 사이드 메뉴와 음료 메뉴의 구성을 50%로 높여 버거 이외 메뉴의 비율을 1:1로 가져간다는 전략을 구사 하고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 아이템을 통해 고객 만족 및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도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브랜드 로고에 대한 호감도가 낮은 편이고, 마케팅 전략의 창의성이 부족하다는 약점이 있다.
2) 버거킹
버거킹은 맥도날드와 비슷한 시기인 1654년 미국 마이애미에서 설립되었으며 전 세계 11.000여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2010년 매출액은 1200억원 정도이며, 지난해보다 10.5% 성장한 수치이다.
타 업체와 달리 햄버거에 큰 비중을 두고 명품 햄버거 이미지를 내세우고 있다.
버거킹은 그릴에서 조리되는 직화방식을 통해 제품의 질적인 측면에서 차별성을 두고 있으며 Have It Your Ways 라는 캠페인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재료를 추가함으로 다양한 고객의 다양한 Needs를 충족 시킬 수 있다.
국내 매장수는 2010년 기준으로 111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맥도날드와 롯데리아의 공세로 인해 햄버거 외에도 브라우니&아이스크림, 후룻볼등 디져트 메뉴를 강화하고 1900원대의 햄버거 출시로 맥도날드의 저가 정책에도 맞서고 있다. 약점으로는 국내에 적은 점포수로 인해 접근성이 타업체 비해 떨어지며,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또한 낮은 편이다. 그리고 타업체에 비해 비싼 가격을 들 수 있다.
회사명
맥도날드
롯데리아
버거킹
주력제품
(단품기준)
빅맥
한우불고기
와퍼
가격
3800
5400
4900
페티 원료
쇠고기
쇠고기
쇠고기
칼로리
905 Kcal
1062 Kcal
1122 Kcal
3) 웰빙트렌드로 인한 잠재적인 경쟁사 - 수제 버거
2000년 초반부터 불어올 Well-being과 Slow food 열풍으로 인해 관련 식품을 제공하는 업체들이 맥도날드의 잠재 경쟁사가 되고 있는 전망이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크라제버거, 번햄즈버거, Mr.Big 등이 있다. 크라제 버거, 번햄즈 버거, Mr.Big 등은 패스트 푸드가 몸에 나쁘다는 기존의 인식을 바꾼 국내 기업으로써 수제 햄버거를 통해 몸에 좋은 햄버거라는 인식을 통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몸에 해롭다는 인식이 강한 맥도날드에게는 강력한 경쟁자가 될 수 있다.
맥도날드가 새로운 메뉴로 맥카페 도전함에 따라 커피를 판매하는 업체들 또한 잠재적인 경쟁업체라 볼 수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스타벅스, 탐앤탐스, 커피빈, 카페베네등이 있다.
이들 기업은 맥도날드의 맥카페 진출로 인해 그들 시장이 위협 받을 것이라 예상하고 맥도날드에 대항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며 맥도날드를 견제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도 맥도날드의 잠재적인 경쟁자라 볼 수 있다.
(3) 로날드 맥도날드 축구클럽
2008년부터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 한편 더 많은 어린이들과 함께 하고자 부산광역시 교육청 및 부산 아이파크, 서울시 교육청 및 FC서울과 함께 학교 체육 활성화 및 어린이 체력 증진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학교 방문 축구교실을 시작하였다. 이후 2010년 수원삼성이 동참하였으며, 2010년 한해동안 서울 지역 160개, 부산 지역 57개, 수원 지역 27개의 유치원 및 초등학교에서 학교 방문 축구교실을 진행했다. 최근 한국 맥도날드는 부산 해운대구에서 부산시 교육청, 부산아이파크 등과 함께 지역 초등교사 30여명을 대상으로 `유소년 축구 코칭 비디오` 활용방법 등을 소개하는 워크숍을 가졌다. 이날 공개된 유소년 축구 코칭 비디오는 초등학교 체육 수업때 활용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축구 규칙부터 준비운동, 드리블 및 패스훈련, 배운 내용을 적용해 볼 수 있는 미니게임 등으로 구성됐다.
(4) 한국 맥도날드의 사회공헌 프로그램
한국맥도날드는 어린이와 가족, 사람을 소중히 생각하는 기업이라는 맥도날드의 기업철학에 따라, 국내 최초로 2007년 2월 세브란스 어린이병원학교와 함께 소아암 아동의 ‘학교복귀 및 적응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3월 입학을 앞둔 소아암 환아들을 대상으로 상록수 캠프를 개최하였다. 이는 국내에서 한번도 시행되지 않은 ‘소아암 아동의 정서적이고 교육적인 필요’를 돕기 위한 사회공헌활동으로, 일반 공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종합적이고도 전략적인 PR활동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맥도날드와 KPR은 이 프로그램이 남들이 생각하지 않는 CSR 영역의 틈새를 찾아낸 차별화된 CSR활동이라는 점과, CSR의 두 가지 기본 축인 1) 기업이익의 사회환원 2)사회의 니즈 모두를 충족시키는 활동이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하고, TV, 라디오, 종합일간지, 경제지, 영자지, 시사주간지, 의학전문지 등에 걸쳐 전방위적인 PR 활동을 전개하였다.
(5) 맥도날드 CSR에 대한 비판
맥도날드의 CSR 활동이 가장 큰 비판을 받는 부분은 지나치게 아동들에게 접근하려는 방식이다. 외면적으로는 아동들의 건강과 복지를 위한다고 광고하면서 자사의 패스트푸드를 지속적으로 아동들에게 노출시킴으로써 소비를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패스트푸드가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많다는 점을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아동들에게 접근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맥도날드는 그러한 의견은 비약이며 아동들의 복지를 위한 활동이라는 공식답변을 유지하고 있다.
7. 경쟁사 분석
1) 롯데리아
국내 패스트푸드 없계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토종 기업이다. 전세계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는 맥도날드는 전 세계 시장 중 두 곳을 제외하고 모두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두곳이 한국과 필리핀 이라고 한다. 1986년 팥빙수를 판매하며 한국적 패스트푸드의 시작을 알린 롯데리아는 1992년 불고기 버거를 선보이며 국내 시장에서 입지를 확실히 다졌고, 이후 1999년 라이스버거를 출시하면서 서구의 음식을 우리의 음식으로 만들어 냈다.
전국 매장수는 롯데리아 984개, 맥도날드 238개로서 롯데리아가 4배정도 많이 가지고 있으며, 점유율 45% 이상 차지하며 경쟁업체를 앞서나가고 있다. 메뉴의 다양성을 통해 기존 메뉴에 90%정도가 버거 메뉴였지만 사이드 메뉴와 음료 메뉴의 구성을 50%로 높여 버거 이외 메뉴의 비율을 1:1로 가져간다는 전략을 구사 하고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 아이템을 통해 고객 만족 및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도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브랜드 로고에 대한 호감도가 낮은 편이고, 마케팅 전략의 창의성이 부족하다는 약점이 있다.
2) 버거킹
버거킹은 맥도날드와 비슷한 시기인 1654년 미국 마이애미에서 설립되었으며 전 세계 11.000여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2010년 매출액은 1200억원 정도이며, 지난해보다 10.5% 성장한 수치이다.
타 업체와 달리 햄버거에 큰 비중을 두고 명품 햄버거 이미지를 내세우고 있다.
버거킹은 그릴에서 조리되는 직화방식을 통해 제품의 질적인 측면에서 차별성을 두고 있으며 Have It Your Ways 라는 캠페인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재료를 추가함으로 다양한 고객의 다양한 Needs를 충족 시킬 수 있다.
국내 매장수는 2010년 기준으로 111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맥도날드와 롯데리아의 공세로 인해 햄버거 외에도 브라우니&아이스크림, 후룻볼등 디져트 메뉴를 강화하고 1900원대의 햄버거 출시로 맥도날드의 저가 정책에도 맞서고 있다. 약점으로는 국내에 적은 점포수로 인해 접근성이 타업체 비해 떨어지며,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또한 낮은 편이다. 그리고 타업체에 비해 비싼 가격을 들 수 있다.
회사명
맥도날드
롯데리아
버거킹
주력제품
(단품기준)
빅맥
한우불고기
와퍼
가격
3800
5400
4900
페티 원료
쇠고기
쇠고기
쇠고기
칼로리
905 Kcal
1062 Kcal
1122 Kcal
3) 웰빙트렌드로 인한 잠재적인 경쟁사 - 수제 버거
2000년 초반부터 불어올 Well-being과 Slow food 열풍으로 인해 관련 식품을 제공하는 업체들이 맥도날드의 잠재 경쟁사가 되고 있는 전망이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크라제버거, 번햄즈버거, Mr.Big 등이 있다. 크라제 버거, 번햄즈 버거, Mr.Big 등은 패스트 푸드가 몸에 나쁘다는 기존의 인식을 바꾼 국내 기업으로써 수제 햄버거를 통해 몸에 좋은 햄버거라는 인식을 통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몸에 해롭다는 인식이 강한 맥도날드에게는 강력한 경쟁자가 될 수 있다.
맥도날드가 새로운 메뉴로 맥카페 도전함에 따라 커피를 판매하는 업체들 또한 잠재적인 경쟁업체라 볼 수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스타벅스, 탐앤탐스, 커피빈, 카페베네등이 있다.
이들 기업은 맥도날드의 맥카페 진출로 인해 그들 시장이 위협 받을 것이라 예상하고 맥도날드에 대항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며 맥도날드를 견제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도 맥도날드의 잠재적인 경쟁자라 볼 수 있다.
추천자료
국제무역 마케팅
BBQ의 중국 시장 진출 사례-마케팅전략의 분석
마케팅 -키즈마케팅
케이텍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조사
[국제마케팅 대박 사례] NHN의 일본진출 성공 사례와 마케팅 전략 분석 레포트
[마케팅]르노삼성자동차 SM5의 마케팅 현황 및 전략
(기업분석) 아모레퍼시픽 마케팅 성공전략(SWOT분석)
다국적 기업 미국 대표 외식업체 피자헛(pizza hut) 성공 마케팅 조사
[해외진출]연세자동차의 폴란드진출, 진로소주의 해외진출, 한국타이어의 중국진출, SONY(소...
홈플러스 마케팅 성공사례
[국제마케팅] 문화구성 요소 별 국제마케팅 대응-인종-
HTC 실패요인분석과 HTC 마케팅전략분석및 HTC 기업분석과 시사점 - 스마트폰 시장조사, 마케...
아모레퍼시픽 라네즈 해외진출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과 라네즈 향후 시사점분석
[현지화 전략] 문화적 차이와 마케팅 전략,국제마케팅 및 소비자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