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회적인 측면과 연결지음으로써 이 그림이 계층과 신분의 분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근대사회의 현실을 표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르크스주의 미술사는 이제까지 소홀히 다루었던 작품 외적인 모든 요소를 연구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미술작품을 주변의 다양한 환경조건과 연관지어 연구하는 많은 시각을 도출해내었다. 그러나 이 연구방법은 미술가의 의도나 개성이 문화적 일반론에 의해 배제될 수 있으며, 작품의 우열을 구분하는 안목이나 작품에 대한 미적 가치기준이 무시될 수 있고, 작품이 자료화되어 미술의 역사가 사회사에 종속되고 만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참고문헌>
앙리 아르봉, 오병남·이영환 공역, 『마르크스주의와 예술』, 서광사, 1981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전 4권, 창작과 비평사, 1979
마르크스주의 미술사는 이제까지 소홀히 다루었던 작품 외적인 모든 요소를 연구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미술작품을 주변의 다양한 환경조건과 연관지어 연구하는 많은 시각을 도출해내었다. 그러나 이 연구방법은 미술가의 의도나 개성이 문화적 일반론에 의해 배제될 수 있으며, 작품의 우열을 구분하는 안목이나 작품에 대한 미적 가치기준이 무시될 수 있고, 작품이 자료화되어 미술의 역사가 사회사에 종속되고 만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참고문헌>
앙리 아르봉, 오병남·이영환 공역, 『마르크스주의와 예술』, 서광사, 1981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전 4권, 창작과 비평사,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