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복지의 구현 목적
2, 사회복지 모형
3. 사회복지 관련 용어
4. 사회복지의 유사 관련 개념 체계
5. 사회복지의 동기
2, 사회복지 모형
3. 사회복지 관련 용어
4. 사회복지의 유사 관련 개념 체계
5. 사회복지의 동기
본문내용
있다.
2) 종교적 동기(religious motives): 인간이 사회적 동물일 뿐만 아니라, 종교적 동물이라는 전제하에 접근하고 있다. 초기 자선사업은 주는 자의 심적 태도에 의해 이루어지며, 도움을 받는 자의 영향은 중요시하지 않았다. 그것은 타인의 고통에 대한 개인적 관계에서 발생하며 단순한 동정 또는 애린(愛隣)의 정으로서 종교와는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고 본다. 종교적 교리가 바탕이 되어 형제애나 이웃사랑으로 서로 돕고 불우한 타인까지도 구제하는 자선행위가 생겨난 것은 종교적 동기에서 연유되고 있다.
3) 반사회적 동기(antisocial motives): 1601년 영국의 엘리자베스 Ⅰ세 때 제정한 구빈법(The Poor Law)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매우 엄격한 법으로 당시의 상황을 근거로 하고있다. 당시의 사회에는 정상과 비정상의 두 계층 부류가 있는데, 비정상적 계층은 일할 수 없거나 일하려고 하지 않는 사람들로서 이들을 배척한 시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회적인 사람들의 곤궁사정이 천차만별이라고 할지라도 법률로 제정해서 일률적으로 취급하여 구빈사업을 전개했다. 사회복지의 생성 동기는 반사회적 계층들에게 기본적 생활이 가능하도록 국가적인 구제 사업을 실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근원을 찾아 볼 수 있다.
4) 공리주의적 동기(untilitarian motives): 19세기의 벤담(Bentham)과 밀(Mill) 등에 의해 제창된 윤리학설로서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이라는 인간행위의 규범에 그 원천을 두고 있다. 모든 인간을 윤리 도덕적 선입관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인간은 가능한 한 자신의 고통을 제거하거나 회피하고 최대한의 본성적 향락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사회복지의 궁극적인 목적은 모든 국민과 사회가 동시에 만족하고 바람직한 사회를 실현하고자 한다는 측면에서 공리주의적 동기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5) 전문직업적 동기(professional motives): 전문직업적 동기는 법률이든 교육이든 의학이든 간에 그것을 취급하는 방향이 인권옹호, 인격형성, 정신치료, 신체치료 등과 같이 전문분야는 다를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사회복지대상에게 일종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사회복지는 역사적으로 자선이나 박애 등의 동기에서 유래 된 것이지만, 이제는 구제의 사명, 희생의 이타심 등의 동기에 사로잡힐 필요는 없다. 즉, 사회복지사도 여타 전문적인 법률가, 의사, 교육자, 종교인 등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철학과 기본원리에 입각하여 최선의 서비스를 통해 합당한 대가를 받을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가 확고한 철학과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사회복지서비스를 충실히 수행하는 것은 사회복지의 전문직업적 동기에 입각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a
참고문헌
사회복지학개론. 이정서,김상철,박성택 공저. 유풍. 2002
사회복지개론. 김상균. 나남. 20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제너럴리스트 실천 접근= Skills and techniques for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조휘일. 학현사. 2005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에 관한 연구. 오혜경. 카톨릭대학교사회복지연구소.
현대사회보장론, 김영모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복지공동체 만들기, 이용교 편(2000), 광주대학교 출판부.
한국 복지국가의 이상과 현실, 인경석(1999), 나남출판.
한국사회복지연감, 한국복지연구원(2000), 유풍출판사.
한국 사회복지의 현황과 쟁점, 한국사회과학연구소(2000), 인간과 복지.
2) 종교적 동기(religious motives): 인간이 사회적 동물일 뿐만 아니라, 종교적 동물이라는 전제하에 접근하고 있다. 초기 자선사업은 주는 자의 심적 태도에 의해 이루어지며, 도움을 받는 자의 영향은 중요시하지 않았다. 그것은 타인의 고통에 대한 개인적 관계에서 발생하며 단순한 동정 또는 애린(愛隣)의 정으로서 종교와는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고 본다. 종교적 교리가 바탕이 되어 형제애나 이웃사랑으로 서로 돕고 불우한 타인까지도 구제하는 자선행위가 생겨난 것은 종교적 동기에서 연유되고 있다.
3) 반사회적 동기(antisocial motives): 1601년 영국의 엘리자베스 Ⅰ세 때 제정한 구빈법(The Poor Law)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매우 엄격한 법으로 당시의 상황을 근거로 하고있다. 당시의 사회에는 정상과 비정상의 두 계층 부류가 있는데, 비정상적 계층은 일할 수 없거나 일하려고 하지 않는 사람들로서 이들을 배척한 시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회적인 사람들의 곤궁사정이 천차만별이라고 할지라도 법률로 제정해서 일률적으로 취급하여 구빈사업을 전개했다. 사회복지의 생성 동기는 반사회적 계층들에게 기본적 생활이 가능하도록 국가적인 구제 사업을 실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근원을 찾아 볼 수 있다.
4) 공리주의적 동기(untilitarian motives): 19세기의 벤담(Bentham)과 밀(Mill) 등에 의해 제창된 윤리학설로서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이라는 인간행위의 규범에 그 원천을 두고 있다. 모든 인간을 윤리 도덕적 선입관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인간은 가능한 한 자신의 고통을 제거하거나 회피하고 최대한의 본성적 향락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사회복지의 궁극적인 목적은 모든 국민과 사회가 동시에 만족하고 바람직한 사회를 실현하고자 한다는 측면에서 공리주의적 동기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5) 전문직업적 동기(professional motives): 전문직업적 동기는 법률이든 교육이든 의학이든 간에 그것을 취급하는 방향이 인권옹호, 인격형성, 정신치료, 신체치료 등과 같이 전문분야는 다를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사회복지대상에게 일종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사회복지는 역사적으로 자선이나 박애 등의 동기에서 유래 된 것이지만, 이제는 구제의 사명, 희생의 이타심 등의 동기에 사로잡힐 필요는 없다. 즉, 사회복지사도 여타 전문적인 법률가, 의사, 교육자, 종교인 등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철학과 기본원리에 입각하여 최선의 서비스를 통해 합당한 대가를 받을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가 확고한 철학과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사회복지서비스를 충실히 수행하는 것은 사회복지의 전문직업적 동기에 입각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a
참고문헌
사회복지학개론. 이정서,김상철,박성택 공저. 유풍. 2002
사회복지개론. 김상균. 나남. 20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제너럴리스트 실천 접근= Skills and techniques for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조휘일. 학현사. 2005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에 관한 연구. 오혜경. 카톨릭대학교사회복지연구소.
현대사회보장론, 김영모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복지공동체 만들기, 이용교 편(2000), 광주대학교 출판부.
한국 복지국가의 이상과 현실, 인경석(1999), 나남출판.
한국사회복지연감, 한국복지연구원(2000), 유풍출판사.
한국 사회복지의 현황과 쟁점, 한국사회과학연구소(2000), 인간과 복지.
추천자료
미국 사회복지 발달사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역사와 발전방향
사회복지 발달사
영국의 사회복지 발달사
사회복지의 역사
영국과 한국의 사회복지발달사 비교
사회복지정책의 역사적 전개_22p
사회복지발달사정리하고, 영국사회복지발달사가 주는 시사점 통해 한국의 사회복지발전을 위...
구빈법부터 신구빈법까지의 등장 배경과 의의 및 시사점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발달사] 인보관운동 (Settlement Movement) - 인보관 운동의 정의에서부터 한계점까...
[선진국의 구빈제도] 영국의 구빈법과 구빈제도 - 영국 구민법, 영국 구빈제도.pptx
아동복지법]아동복지법의 주요 내용에 대해 살펴보면서 아동복지 관련법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