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설비설계 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8 팬코일 유닛 선정표(제피로스)
가열능력의 검토
냉방부하로 선정한 형식이 난방부하를 만족하는지 검토한다.
VAV 유닛(變風量裝置)의 선정
기준층 사무실의 VAV 유닛을 선정 예로 한다 사무실 기기 발열로써 풍량을 결정하지만 국소적으로 발열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는 설정을 바꿀 필요가 있다.
.
형식 결정
전자식 : 기계식보다 댐퍼 손실이 적을 뿐만 아니라 발생 소음도 적고, 풍량 센서를 부착해 제어하기 쉬운 전자식으로 한다.
싱글 덕트형
더블 덕트, 바이패스 덕트형에 비해 반송동력의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싱글 덕트형으로 한다.
풍량 결정
대수 : 대수가 많은 경우 극히 미세한 제어가 가능하지만 비용과의 형평을 고려해 1tm팬에 1대로, 합계 8대로 한다.
1대당 풍량
각 스팬의 면적이 다른 경우나 외벽 등에 의해 부하가 크게 달라지는 경우는 각 VAV 유닛마다 풍량을 바꾸어 대응한다. 기준층 사무실은 부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동일 풍량으로 한다.
전 풍량(13182에서 1대당 풍량은 다음과 같다.
전원
업체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조작용 전원인 약전(弱電)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동력과 구별하기 위해서 참고 업체의 전원을 표시한다.
덕트 크기 결정
기준층의 덕트 도면에 근거하여 사무소 내의 덕트계통 설계법을 나타내었다.
취출구 흡입구의 선정
천장에 달린 취출구 흡입구는 공기조화 설비조건만으로는 결정되지 않는다. 천장 평면도를 작성하고, 조명기구스피커 등 천장면에 설치되는 건축 설비용 기구 전체의 조화가 필요하다.
취출구 결정
수량
오피스의 취출구 수량은 앞으로의 칸막이 설치에 대응하기 쉽도록 건축계획에 맞추어 결정할 필요가 있다.
1개당 풍량
외벽 부근이나 근처가 비공기조화의 내벽 부근 취출구인 경우, 부하의 증감에 맞추어 풍량을 바꿀 필요가 있다.
넓은 방의 경우, 부하차가 적다면 동일 풍량으로 하고 , 온도차는 허용범위 이내로 하는 경우가 많다. 창이 있는 페리미터존에는 팬 코일로서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부하차는 적고 동일 풍량으로 한다.
전 풍량 13182으로부터 1개당 풍량은 412가 된다.
종류 : 아네모형 취출구로 한다.
흡입구 결정
흡입구는 슬릿형을 천장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기준층 사무실은 앞으로의 칸막이 변경을 예상하여 챔버 방식으로 하고, 리턴 덕트는 천장 내 시스템 천장으로 한다. 흡입소음을 고려해 풍속 2m/s로 하면 필요 개구 면적은 다음과 같다.
, ...........개구율 100%
덕트 경로 결정
덕트 경로를 결정하는 가장 첫 번째 조건은 천장 내부 공간의 형태이다. 특히 메인 덕트는 보 밑의 유효치수를 확보하여야 한다. 본 건물의 보와 천장 사이의 공간은 580mm이다. 200mm정도를 조명기구 등 천장부착 기구에 할애하고 나머지 공간으로 덕트를 놓아야 하므로 덕트 단변의 길이를 보온과 작업시 환경을 고려해 300mm이하로 한다.
덕트 크기 결정
등마찰법으로 덕트 크기를 결정한다. 일반 공기조화 덕트는 단위길이당 마찰손실을 1Pa/m으로 선정한다.
먼저 다음의 그래프에서 풍량(13182/2 = 6591)에 따른 원형 덕트의 크기를 구하면 약 58cm이고 이를 각형 덕트 환산표를 이용해 각형 덕트로 환산한다.
단변을 300mm으로 하고 58cm 이상 되는 장변을 길이를 찾으면, 105cm×30cm(장변×단변)의 각형 덕트 치수를 결정할 수 있다.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규격 덕트 중 적당한 것을 선정한다.
열원용량 결정
열원기기 선정
냉온수기 선정
열원은 냉온수 발생기와 보일러을 사용한다.
냉동기 능력 선정
냉온수 발생기의 선정은 냉방부하를 기준으로 하고, 2대의 냉온수 발생기를 1:1의 비율로 나누어 결정한다. 난방시 부족한 온수분은 보일러를 추가한다.
표 2.19 원형 덕트 결정표
표 2.20 각형 덕트 환산표
전체 냉방능력 = ×1.13 = 559kW × 1.13 = 632kW
전체 난방능력 = ×1.1 = 706kW × 1.1 = 777kW 이다.
따라서 두 냉온수의 냉방능력은 316kW로 한다.
표 2.21 흡수식 냉온수기 선정표(제피로스)
따라서 120EX로 선정한다.
보일러 선정
필요 난방능력 777kW에서 위의 냉온수가 676kW(338kW×2)가 담당하고 나머지 101kW를 담당할 보일러를 선정한다.
냉수량 산출
냉수량, 온수량은 배관 및 펌프의 용량계산에 필요하다.
여기에서 : 수량[l/min]
: 공기조화기 능력 [kW]
: 유체의 비열[kJ/(kgK]
: 유체의 밀도 [kg/l]
: 수량의 입구 출구 온도차[℃]
온수량 산출
냉온수기와 보일러에서의 온수량
표 2.22 냉온수 산출
표 2.23 냉각탑 선정표((주)건영 쿨링 테크놀러지)
냉각탑 선정
냉각탑은 초기 투자비용이 저렴하고 냉각효율이 높은 개방형을 선정한다.
냉각능력 산출
여기에서 : 냉각능력[kW]
: 열원기기의 냉동기 능력[632kW]
: 냉각계수 : 압축기의 경유 1.3
냉온수 발생기의 경우 1.84
[kW]
냉각수량 산출
여기에서 : 냉각수량[l/min]
: 냉각능력[kJ/h]
: 냉각수 입출구 온도차[℃]
c : 유체의 비열 [kJ/(kgK)]
: 유체의 밀도[kg/l]
냉각탑의 선정
표 2.23에서 CT5R을 선정한다.
배관 관경 결정
냉수, 온수, 냉각수의 배관 관경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배관 마찰저항선도를 사용한다.
유속을 1~2m/s 범위로 하고 마찰 손실을 30~50mmAq/m로 가정해서 배관관경을 결정한다.
냉온수 배관의 결정
표 2.24 냉온수 배관 관경 결정표
냉각수 배관 결정
냉각수량 3031 l/min, 배관 단위저항을 50mmAq/m라고 하면 관경은 150mm로 한다.
표 2.25 관 국부저하의 상당길이[m]
헤더(Header) 선정
냉온수 리턴 헤더를 선정한다.
펌프 능력 결정
펌프 선정은 펌프의 수량과 전 양정을 기준으로 펌프 형식을 결정하고 펌프 선정도에서 토출구 지름, 흡입구 지름, 동력값을 선정하여 펌프 능력의 사양을 결정한다.
냉온수 펌프 선정
아래의 냉온수 배관 계통도와 표 2.25를 참조하여 펌프의 사양을 결정한다.
펌프 형식 : 편흡입 와권 펌프
수량 : 1384 l/m
전 양정 : 21m
  • 가격3,300
  • 페이지수49페이지
  • 등록일2012.08.22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18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