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예절] 우리 고유의 의복인 한복을 바르게 입는 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예절] 우리 고유의 의복인 한복을 바르게 입는 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가. 우리 옷의 특징
 나. 남성과 여성의 한복 입는 법
  1) 남성 한복 입는 법
  1) 여성 한복 입는 법
 다. 우리고유의 의복인 한복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한 방안

3. 결 론

4.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이 보
이지 않도록 정리한다.
⑧ 노리개를 단다. 노리개에 고리가 있을 때에는 고름코를 들고 긴고름에 고리 를 건다.
끈고리일 경우에는 긴고름에 고리를 끼워 놓고 고름을 맨다.
⑨ 두루마기를 입는다. 외출할 때에는 두루마기 위에 머플러를 단정하게 매는 것이 예의이다.
다. 우리고유의 의복인 한복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한 방안
우리의 한복이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해선 여러 가지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스스로가 한복을 입어야 하고, 한복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야합니다. 또 한복이 현대인의 건강생활에 아주 좋은 옷임을 인식할 필요있습니다. 그런 다음 한복을 현대인이 입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개선하고 다양한 디자인, 색깔, 옷감의 개발이 이어져야 할 것입니다. 세계화를 위해선 외국에 나가는 외교관, 연예인, 학자들이 한복을 입어야 하며, 언론 특히 방송이 한복의 아름다움을 많이 소개해주어야 합니다. 특히 한복의 아름다움, 편함, 건강에 좋은 점 등을 적극 알릴 필요가 있으며 언론에서 방송을 할 때 일반 시청자가 문화주체성을 갖게 할 수 있도록 많은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유포하고 또 문화를 무작정 수용하는 것 보다는 우리 문화에 맞게 재 해석해서 수용하면서 고유의 문화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 결 론
과제를 하면서 우리 옷의 우수성과 많은것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서양 문화를 접하게 되면서 우리 옷 ‘한복’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요즘 생활의 간소화와 함께 새로운 간편한 옷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유명 브랜드와 고가의 옷들이 넘쳐나고 있습니다. 자기 것을 지키는 일은 정성과 인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때와 장소에 맞는 옷, 우리 얼이 살아 있는 옷, 우리 것들을 바로 알고 바로 실행하면서 살아가는 것, 불편하지만 감수해야 하는 일, 이것이 세계화요, 애국이요, 후손에게 부끄럼 없이 물려 줄 수 있는 유산이라고 당당하게 말하고 싶습니다
4. 참 고 문 헌
가. 교학연구사, 양숙향 저, 전통의상 디자인, 2009. 2월
나. 한국의상디자인학회, 이기연, 학술자료“나의 우리옷에 대한 이해와 창작” , 2004년
다. 우리의 한복 사이트 : http://user.chollian.net/~kjg0520/frame1.htm
라. 한국전통한복문화원 : http://www.hanbok.pe.kr/hanbok_info_a.html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9.01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27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