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뮤직비디오의 개념
[2] 본론
1. 과거의 뮤직비디오
2. 뮤직비디오 미적요소의 변환
3. 변환점 이전과 이후의 뮤직비디오 비교
미래의 뮤직비디오 미적요소 분석
· 스토리텔링
· Color
· CG
· 독특한 기법
[3] 결론
[4] 참고 문헌
1. 뮤직비디오의 개념
[2] 본론
1. 과거의 뮤직비디오
2. 뮤직비디오 미적요소의 변환
3. 변환점 이전과 이후의 뮤직비디오 비교
미래의 뮤직비디오 미적요소 분석
· 스토리텔링
· Color
· CG
· 독특한 기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대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었음을 증명했다. 이처럼 이젠 신인가수가 인기를 얻고 싶으면 가장 먼저 찾는 사람이 뮤직비디오 감독이고, 그것이 음반 기획자들의 전략이 된 것이다.
그렇다면 뮤직비디오의 경제적 효율성은 얼마나 될까? 가수의 음반은 초반 홍보가 음반 판매의 승패를 결정적으로 좌우한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뮤직비디오 하나가 수백 번 방송을 탄다면 그 효과는 설명할 필요가 없다. m.net, KMTV, M-TV, 채널V 등 케이블 음악채널에선 하루 24시간 뮤직비디오를 틀어대고 있고, 이것도 성에 안 차면 케이블 채널의 광고시간을 돈 주고 사서 날마다 원하는 시간에 내보낼 수도 있다. 공중파 방송의 거의 모든 오락프로그램에도 끝자락에는 가수의 뮤직비디오가 나온다. 몇 천만 원에서 몇 억 원에 이르는 제작비쯤 결코 아깝지 않은 것이다.
한 음반제작자는 “사실 노래야 웬만하면 된다. 뮤직비디오의 완성도가 어쩌면 더 중요하다. 열심히 음반을 만들어도 뮤직비디오가 시원찮으면 음악마저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한다. 수천만 원짜리 찍어 음반을 10만 장 파느니 5억, 10억 투자해 100만 장 이상 팔고 싶은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요즘엔 1억5000만 원 정도는 들여야 제대로 된 뮤직비디오를 찍을 수 있다. 너무 비싸다는 생각은 들지만 너도나도 다 하는데 어쩔 수 없다” 새/로/운/문/화/코/드/뮤/직/비/디/오 -신을진 기자 2001.09.06 주간동아
고 고충을 토로할 정도로 뮤직비디오가 음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막대해졌다.
이제 뮤직비디오는 음악의 홍보 수단이 아닌 핵심으로 떠올랐다. 지난 99년 1억 원을 들여 뮤직비디오 ‘To heaven’을 만든 조성모의 경우, 작년 ‘아시나요’ 때는 7억 원을 투입했고, 올 가을 선보이는 새 음반에는 10억 원에 가까운 돈을 책정해 두었다는 소문이다. 포지션, 스카이, 브라운 아이즈 역시 뮤직비디오 한 편에 3억 원의 돈을 투자 하였고, 이정현은 러시아와 이집트에서 ‘평화’와 ‘너’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면서 8억 원을 썼다. 저예산으로 제작하는 인디밴드들의 뮤직비디오를 제외하면 가수들의 뮤직비디오 평균 제작비는 1억5000만 원선으로 지난해보다 3배 정도 상승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제작 편수도 크게 늘었다. 96년 한 해 동안 200편정도 제작된 국내 뮤직비디오는 99년 300편, 작년에는 500편, 올해는 700편 정도가 제작될 것으로 예상한다. 뮤직비디오 제작을 거의 하지 않는 성인가요를 제외하면 대부분 가수가 음반 제작과 함께 뮤직비디오를 찍는 다는 얘기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뮤직비디오는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며 독자적 영상 산업으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뮤직비디오가 음반 산업에 영향을 크게 미치자 단순히 홍보 효과로만 자리 잡지 않게 된 것이다. ‘스토리텔링’ 기법이 도입되고, CG를 도입하고 해외에는 웬만큼 유명한 영화감독들이 뮤직비디오 한 두 편씩은 만들면서 그들의 작품세계와 독특한 기법들이 발전하게 된다.
처음엔 흑백으로 짧은 시간에 몇 컷만을 보여줬던 영화가 오늘날처럼 발달해서 영상예술의 놀라운 발전을 보여줬듯이, 뮤직비디오 또한 짧지만 영화 한편을 보는 것과 같은 강력한 여운의 효과를 내며 영상예술로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그 홍보효과와 대중들의 호응은 경제적으로 계산해도 막대해서 제작비를 아끼지 않고 투자하고 있는 것이다. 실상이 이렇게 되자 몇몇 신인감독들은 자신의 이름을 , 자신의 작품을 알리기 위해 뮤직비디오를 택하는 경우도 있다. 음악과의 절묘한 조화로 자신의 영상이 더 돋보이고, 또 가수는 독특한 영상으로 인해 자신의 음악이 홍보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는 것이다.
뮤직비디오로 인해 단편 영상의 기술이 발전되고, 대중들에게 영상이 훨씬 편안하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누구나 TV를 틀어 보고 있으면 그것이 어떤 방송이든 하루에 한 편 정도는 뮤직비디오를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보게 된 것이 그 전략이다. 그러나 이처럼 뮤직비디오 시장이 발전하고 기술이 발달하자, 이제는 웬만한 영상미로는 승부수를 둘 수조차 없게 되었다. 갈수록 눈높이가 높아지는 음악 팬들은 이제 규모가 아닌 작품성으로 승부하는 뮤직비디오를 보고 싶어 한다.
그리 길지 않은 역사를 감안하면 이 같은 발전은 참으로 놀랄 만 하다. 앞으로 뮤직비디오 시장은 확대되면 확대되었지 축소하지는 않을 것이라 전문가들은 예상한다. 이미 음반시장에서 크게 자리 잡고 있는 뮤직비디오는 더 이상 음악에만 국한되지 않는 영상이 되어 이제는 어엿한 영상 예술로써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위에서 지금까지 언급했듯이 뮤직비디오의 시장은 넓고, 무한한 가능성이 숨어있다. 앞으로 기술적인 면모이든 스토리적인 면모이든, 모든 면에서의 발전이 더욱 가속화 될 것이라 예측 된다. 또한 영상예술로써도 손색이 없고, 앞으로도 더욱 영상계의 발전을 함께 도모해 줄 중요한 영상 예술의 한 분야로 크게 자리매김 할 것이다.
[4] 참고 문헌
·민진영, Paul klee 회화의 색채와 음악에 대한 연관성 연구 -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색채표현으로 보는 아동의 심리에 관한 연구 /류희만 - 한서대 예술대학원, 200608
·WIKIPEDIA - http://en.wikipedia.org/wiki/Bedtime_Story#Bedtime_Story_.28Re-Invented.29
·새/로/운/문/화/코/드/뮤/직/비/디/오 -신을진 기자 2001.09.06 주간동아
·뮤직비디오에서의 색채와 사운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이영순 - 동서대 디지털디자인대학원, 200402
·김성룡 , 최예정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최종숙 편 , 도서출판 글누림 , 2005
·조은하·이대범 , 『 스토리텔링 』, 도서출판 북스힐 , 2006
·류수열·유지은·이수라·이용욱·장미영·주경미 , 『 스토리텔링의 이해 』, 2007 .
·커피한잔의 음악과 추억 - blog.naver.com/very014/140055271537
·Colorist & Artist - blog.naver.com/rick09/90015834659
그렇다면 뮤직비디오의 경제적 효율성은 얼마나 될까? 가수의 음반은 초반 홍보가 음반 판매의 승패를 결정적으로 좌우한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뮤직비디오 하나가 수백 번 방송을 탄다면 그 효과는 설명할 필요가 없다. m.net, KMTV, M-TV, 채널V 등 케이블 음악채널에선 하루 24시간 뮤직비디오를 틀어대고 있고, 이것도 성에 안 차면 케이블 채널의 광고시간을 돈 주고 사서 날마다 원하는 시간에 내보낼 수도 있다. 공중파 방송의 거의 모든 오락프로그램에도 끝자락에는 가수의 뮤직비디오가 나온다. 몇 천만 원에서 몇 억 원에 이르는 제작비쯤 결코 아깝지 않은 것이다.
한 음반제작자는 “사실 노래야 웬만하면 된다. 뮤직비디오의 완성도가 어쩌면 더 중요하다. 열심히 음반을 만들어도 뮤직비디오가 시원찮으면 음악마저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한다. 수천만 원짜리 찍어 음반을 10만 장 파느니 5억, 10억 투자해 100만 장 이상 팔고 싶은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요즘엔 1억5000만 원 정도는 들여야 제대로 된 뮤직비디오를 찍을 수 있다. 너무 비싸다는 생각은 들지만 너도나도 다 하는데 어쩔 수 없다” 새/로/운/문/화/코/드/뮤/직/비/디/오 -신을진 기자 2001.09.06 주간동아
고 고충을 토로할 정도로 뮤직비디오가 음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막대해졌다.
이제 뮤직비디오는 음악의 홍보 수단이 아닌 핵심으로 떠올랐다. 지난 99년 1억 원을 들여 뮤직비디오 ‘To heaven’을 만든 조성모의 경우, 작년 ‘아시나요’ 때는 7억 원을 투입했고, 올 가을 선보이는 새 음반에는 10억 원에 가까운 돈을 책정해 두었다는 소문이다. 포지션, 스카이, 브라운 아이즈 역시 뮤직비디오 한 편에 3억 원의 돈을 투자 하였고, 이정현은 러시아와 이집트에서 ‘평화’와 ‘너’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면서 8억 원을 썼다. 저예산으로 제작하는 인디밴드들의 뮤직비디오를 제외하면 가수들의 뮤직비디오 평균 제작비는 1억5000만 원선으로 지난해보다 3배 정도 상승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제작 편수도 크게 늘었다. 96년 한 해 동안 200편정도 제작된 국내 뮤직비디오는 99년 300편, 작년에는 500편, 올해는 700편 정도가 제작될 것으로 예상한다. 뮤직비디오 제작을 거의 하지 않는 성인가요를 제외하면 대부분 가수가 음반 제작과 함께 뮤직비디오를 찍는 다는 얘기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뮤직비디오는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며 독자적 영상 산업으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뮤직비디오가 음반 산업에 영향을 크게 미치자 단순히 홍보 효과로만 자리 잡지 않게 된 것이다. ‘스토리텔링’ 기법이 도입되고, CG를 도입하고 해외에는 웬만큼 유명한 영화감독들이 뮤직비디오 한 두 편씩은 만들면서 그들의 작품세계와 독특한 기법들이 발전하게 된다.
처음엔 흑백으로 짧은 시간에 몇 컷만을 보여줬던 영화가 오늘날처럼 발달해서 영상예술의 놀라운 발전을 보여줬듯이, 뮤직비디오 또한 짧지만 영화 한편을 보는 것과 같은 강력한 여운의 효과를 내며 영상예술로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그 홍보효과와 대중들의 호응은 경제적으로 계산해도 막대해서 제작비를 아끼지 않고 투자하고 있는 것이다. 실상이 이렇게 되자 몇몇 신인감독들은 자신의 이름을 , 자신의 작품을 알리기 위해 뮤직비디오를 택하는 경우도 있다. 음악과의 절묘한 조화로 자신의 영상이 더 돋보이고, 또 가수는 독특한 영상으로 인해 자신의 음악이 홍보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는 것이다.
뮤직비디오로 인해 단편 영상의 기술이 발전되고, 대중들에게 영상이 훨씬 편안하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누구나 TV를 틀어 보고 있으면 그것이 어떤 방송이든 하루에 한 편 정도는 뮤직비디오를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보게 된 것이 그 전략이다. 그러나 이처럼 뮤직비디오 시장이 발전하고 기술이 발달하자, 이제는 웬만한 영상미로는 승부수를 둘 수조차 없게 되었다. 갈수록 눈높이가 높아지는 음악 팬들은 이제 규모가 아닌 작품성으로 승부하는 뮤직비디오를 보고 싶어 한다.
그리 길지 않은 역사를 감안하면 이 같은 발전은 참으로 놀랄 만 하다. 앞으로 뮤직비디오 시장은 확대되면 확대되었지 축소하지는 않을 것이라 전문가들은 예상한다. 이미 음반시장에서 크게 자리 잡고 있는 뮤직비디오는 더 이상 음악에만 국한되지 않는 영상이 되어 이제는 어엿한 영상 예술로써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위에서 지금까지 언급했듯이 뮤직비디오의 시장은 넓고, 무한한 가능성이 숨어있다. 앞으로 기술적인 면모이든 스토리적인 면모이든, 모든 면에서의 발전이 더욱 가속화 될 것이라 예측 된다. 또한 영상예술로써도 손색이 없고, 앞으로도 더욱 영상계의 발전을 함께 도모해 줄 중요한 영상 예술의 한 분야로 크게 자리매김 할 것이다.
[4] 참고 문헌
·민진영, Paul klee 회화의 색채와 음악에 대한 연관성 연구 -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색채표현으로 보는 아동의 심리에 관한 연구 /류희만 - 한서대 예술대학원, 200608
·WIKIPEDIA - http://en.wikipedia.org/wiki/Bedtime_Story#Bedtime_Story_.28Re-Invented.29
·새/로/운/문/화/코/드/뮤/직/비/디/오 -신을진 기자 2001.09.06 주간동아
·뮤직비디오에서의 색채와 사운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이영순 - 동서대 디지털디자인대학원, 200402
·김성룡 , 최예정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최종숙 편 , 도서출판 글누림 , 2005
·조은하·이대범 , 『 스토리텔링 』, 도서출판 북스힐 , 2006
·류수열·유지은·이수라·이용욱·장미영·주경미 , 『 스토리텔링의 이해 』, 2007 .
·커피한잔의 음악과 추억 - blog.naver.com/very014/140055271537
·Colorist & Artist - blog.naver.com/rick09/90015834659
추천자료
뮤지컬의 개념과 역사및 작품
신개념 오락문화 멀티게임방 사업계획서
[인터넷마케팅][아이디어]인터넷마케팅의 개념, 특징과 법칙 및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 분석...
신개념 건강 다이어트 에너지 바 -Her25
[성교육]성교육의 개념, 목적, 필요성과 한국 성교육의 현황, 문제점 및 향후 성교육의 활성...
애니메이션의 개념, 만화와의 차이점, 종류와 애니메이션의 변천과정, 제작 현황 및 향후 애...
[방송공공성][방송공공성의 개념][방송공공성의 근거][방송공공성의 논란][방송공공성의 구현...
[서사][서사의 개념][서사의 기능][서사의 요소][서사와 서사체][서사와 서사교육][서사와 서...
학교생활지도의 개념과 목적 및 기본방침, 학교생활지도와 예절지도, 학교생활지도와 탈선예...
[극장][극장 개념][극장 구성][소극장][멀티플렉스][디지털영화]극장의 개념, 극장의 구성, ...
[영상촬영편집, 영상촬영편집 개념, 영상촬영편집 기본원칙, 영상촬영편집 단계, 영상촬영편...
[음악 저작인접권, 음악 저작인접권 개념, 음악 저작인접권 정보화, 음악 저작인접권 창작자 ...
OSI(개방형시스템표준)의 개념, OSI(개방형시스템표준)의 역사, OSI(개방형시스템표준)의 목...
[음란물유통][음란물][유통][음란물유통 개념][음란물유통 배경]음란물유통의 개념, 음란물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