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1. 조선왕들의 독살설에 공통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2. 조선왕들이 독살을 많이 당한 이유는 무엇인가?
나가며
1. 조선왕들의 독살설에 공통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2. 조선왕들이 독살을 많이 당한 이유는 무엇인가?
나가며
본문내용
왕비에 대한 각당의 당론 까지 왕권 강화의 수단으로 사용한 왕이다. 왕지와 후궁으로 인해 잦은 정권 교체의 결과로 숙종의 후반기에는 신하들이 감히 왕권을 넘보지 모했다.
그러나 자신의 사랑까지 왕권 강화의 도구로 이용해야 했다는 사실은 조선국왕의 왕권이 얼마나 미약했는지 말해주는 것이라 안타깝다.
이렇게 왕권이 미약한 결과 신하들이나 당에서 왕과의 대립이 일어나면 왕을 독살하거나 임금을 내쫓았다. 그러나 임금을 내쫓는 명분과 힘을 가지기 위해서는 강력한 권력이 있어야 하며 또 타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그것이 어렵기 때문에 왕을 독살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조선의 국왕중 독살설에 휘말린 인물이 소현세자와 사도세자를 포함하여 9명이나 된 것이다, 일각에서 주장하는 예종까지 포함시켜 무려 10명이나 되는 셈이다.
2명의 세자를 제외하더라도 8명의 임금이 독살설에 휘말렸다는 것은 조선이 비정상적인 정치 체제 였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또한 27명의 임금중 무려 8명의 임금이 독살설에 휘말렸다는 것은 조선이란 정치 체제에 대해 보다 체게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증거기도 하다.
이는 또한 단순한 조선이란 과거의 왕조를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 한국을 연구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 비록 36년간의 식민지 통치기간이 중간에 개재되어 있다 해도 한국은 조선을 계승한 나라인 것이다. 그렇게 해서 조선시대에 많은 독살설이 나온 것이다.
나가며
인종부터 고종까지 많은 실록에 있는 역사적 사실과 조선시대 야사를 편집과 보충해 놓아서 독살되었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독살된 배경까지 알게 되서 재미있고 지루함이 덜했다. 하지만 다른 역사책과 같이 조선 시대의 역사를 교양적으로 설명하는 식에서는 많이 벗어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조선왕들을 둘러싼 속설과 야사의 부록과도 같은 느낌이랄까.. 하지만 마지막 부분에 자신의 생각하기에 왜 조선시태에 많은 독살설이 일어 났는지 또 독살설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지 에 대해한 설명은 작가의 생각과 이 책의 요점을 잠시나마 볼수 있어 그점에서는 작가에게 많은 칭찬을 하고 싶다. 또 이 책을 읽다보면 많은 컬러사진을 볼 수 있다. 시각 시대에 큰 즐거움이 아닐 수 없는 부분이다. 그림이나 사진등을 내용과 같이 실어 사실성을 높이고 자칫 글로만 되어 있어 딱딱할수 있는 부분을 보안한 것 같아 좋은 느낌을 받았다. 점점 더워지는 이 초가을에 시원한 청량 음료를 마신 기분이 든다 :)
그러나 자신의 사랑까지 왕권 강화의 도구로 이용해야 했다는 사실은 조선국왕의 왕권이 얼마나 미약했는지 말해주는 것이라 안타깝다.
이렇게 왕권이 미약한 결과 신하들이나 당에서 왕과의 대립이 일어나면 왕을 독살하거나 임금을 내쫓았다. 그러나 임금을 내쫓는 명분과 힘을 가지기 위해서는 강력한 권력이 있어야 하며 또 타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그것이 어렵기 때문에 왕을 독살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조선의 국왕중 독살설에 휘말린 인물이 소현세자와 사도세자를 포함하여 9명이나 된 것이다, 일각에서 주장하는 예종까지 포함시켜 무려 10명이나 되는 셈이다.
2명의 세자를 제외하더라도 8명의 임금이 독살설에 휘말렸다는 것은 조선이 비정상적인 정치 체제 였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또한 27명의 임금중 무려 8명의 임금이 독살설에 휘말렸다는 것은 조선이란 정치 체제에 대해 보다 체게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증거기도 하다.
이는 또한 단순한 조선이란 과거의 왕조를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 한국을 연구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 비록 36년간의 식민지 통치기간이 중간에 개재되어 있다 해도 한국은 조선을 계승한 나라인 것이다. 그렇게 해서 조선시대에 많은 독살설이 나온 것이다.
나가며
인종부터 고종까지 많은 실록에 있는 역사적 사실과 조선시대 야사를 편집과 보충해 놓아서 독살되었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독살된 배경까지 알게 되서 재미있고 지루함이 덜했다. 하지만 다른 역사책과 같이 조선 시대의 역사를 교양적으로 설명하는 식에서는 많이 벗어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조선왕들을 둘러싼 속설과 야사의 부록과도 같은 느낌이랄까.. 하지만 마지막 부분에 자신의 생각하기에 왜 조선시태에 많은 독살설이 일어 났는지 또 독살설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지 에 대해한 설명은 작가의 생각과 이 책의 요점을 잠시나마 볼수 있어 그점에서는 작가에게 많은 칭찬을 하고 싶다. 또 이 책을 읽다보면 많은 컬러사진을 볼 수 있다. 시각 시대에 큰 즐거움이 아닐 수 없는 부분이다. 그림이나 사진등을 내용과 같이 실어 사실성을 높이고 자칫 글로만 되어 있어 딱딱할수 있는 부분을 보안한 것 같아 좋은 느낌을 받았다. 점점 더워지는 이 초가을에 시원한 청량 음료를 마신 기분이 든다 :)
추천자료
(독후감) 오만한 제국을 읽고
[독후감] 남한산성을 읽고
무정을 읽고 독자적으로 해석(서평,독후감)
[독후감] <글로벌 ceo장보고>를 읽고
[독후감] 이승만의 <독립정신>을 읽고
[독후감] 박안식의 <소현세자>를 읽고
[독후감] 식민지 소년을 읽고 _ 김하기 저
[독후감] 권비영의 <덕혜옹주>를 읽고
[독후감] 김영하의 <검은꽃>을 읽고
[독후감] 경주문화권을 읽고나서
[독후감]황진이를 읽고(전경린)
[독후감] 박종화의 <임진왜란>을 읽고
[독후감] <미시사의 즐거움>을 읽고 _ 위르겐 슐룸봄(Jurgen Schlumbohm) 저
『동아시아 의학의 전통과 근대』를 읽고 _ 이종찬 저 [보건학 독후감,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