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존 말코비치 감상문 및 철학적 고찰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정해놓은 기준치에 내가 따라가지 못해서 힘이 든다는 의미가 되었다. 결국 세상의 기준이라는 것도, 또 세상이 원하는 욕망이라는 것도 모두 우리가 정한 것일진대 왜 우리는 우리가 만든 욕망에 갇힌 것일까.
영화는 마지막에 아주 재미있는 반전을 보여준다. 존의 뇌 속에서 쫓겨난 크레이그가 맥신의 아이-이 아이는 로테가 존안에 있을 때 로테와 맥신 사이에서 가진 아이이다-의 뇌를 통해 맥신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레스터는 자신의 친구들과 함께 이 아이의 뇌 속에서 영원히 갇혀 사는 것을 계획한다. 결국 이들의 욕망은 끊이지 않는다. 과연 나도, 그리고 우리도 우리의 욕망 속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아니, 욕망으로 변질되어 버린 우리의 궁극적 목적을 되찾고 성취할 수 있을까.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1.07.1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35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