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왕벌 이태원에서 반미를 보다> 나의 소견과 느낀점 및 감상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반미에 관한 다른 현상 읽기

2. ‘여왕벌’
가. 여왕벌 소개
나. 이태원에 대한 지명 소개
다. 여왕벌 주요 부분

3. 반미에 대해서
가. 반미란 무엇인가?
나. 여왕벌에서 찾아볼 수 있는 반미
다. 생각해볼 문제

본문내용

반미주의는 민족주의, 마르크스주의, 이슬람 근본주의와 같은 이데올로기 내지 신념 체계에서 유래하고 있다. 김진응, 앞의 책, p.60.
사실 스티브는 실제로 미국에 돌아가면 아무것도 아닌 평범한 하류층의 인생이지만, 한국이라는 이유로 저렇게 호의호식하며 살아가고 있다.
또한 위의 여왕벌 주요 부분 2번과 3번을 읽으면 한국인으로서 외국인에게 몸을 받치는 것에 대한 자괴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여성을 보는 주위 사람들 역시 반미감정은 물론 더 나아가 그 여성들에게도 좋지 않은 감정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는 기지촌의 여성들에 대해 쓴 책이 있다. 기지촌의 여성들은 외국인들에게 몸을 팔았단 이유 하나만으로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몸을 파는 다른 여성들보다 더 많은 차별을 당해야했으며, 외국인으로부터도 냉대를 받고 상처를 받아야 했다. 여왕벌에서도 그러한 대목이 나오는 데 차라리 몸을 줄 것 같으면 같은 한국인에게 주라는 대사가 나온다.
그래도 그 비즈니스 하는 애들은 돈 받고라도 한다지. 근데 너희들은 그렇지도 않잖아. 배운 건 너희들보다 못하지만 마음 씀씀이는 몇 배 더 나아. 정히 그 지랄을 하고 싶으면 차라리 한국 남자하고 해. 하룻밤을 지내더라도 돈 안받는 건 마찬가지이니까. 그러면 국제적 망신은 덜 될테니까. 유재순, 앞의 책, p.41.
외국(미국)보다 뒤진다는 것에 의해서 열등감을 느끼는 동시에 우리 사회의 유교적인 관점을 느낄 수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우리가 미국보다 후진국이기 때문에 그들이 우리를 더욱 이용해먹는 것이 분명한데 이태원 걸들은 그것도 모르고 좋다고 모든 것을 다 받치고 있기 때문에 울분이 생기는 것이다. 또한 정숙해야할 여자가 그렇게 환락적인 생활을 외국남자와 한다는 것 자체가 보수적인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힘들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체면을 중요시하는 면에 있어서도 보수적인 성향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4. 마무리
반미라는 그 단어를 하나로 딱 정의하기는 힘들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 같은 경우 다른 나라와는 다르게 현재에도 분단이라는 상황이 있고, 미군정이 우리나라 정부를 대신해서 들어왔기 때문에 반미에 대해서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일 것이다.
사실 반미라는 것이 무조건 적인 반대가 아니라 우리에게 불평등한 것을 고쳐나가자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를 뒤집어서 생각한다면 친미라는 것 역시 미국의 좋은 점을 알맞게 받아들인다면 우리나라에게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정치 상황의 여러 문제로 인해 우리는 불평한 조약들을 어쩔 수 없이 맺어왔고 그로인한 피해도 더 이상 숨길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생각한다. 참고했던 모든 책들은 말하고 있다. 객관적으로 비판하고 더 이상 정치적 이념이나 감정적인 반미가 아닌 올바른 반미를 실천하기를 주장하고 있다. 우리가 우리의 의사표현이라고 여겼던 촛불시위 역시 엄밀하게 보자면 정치적 이념에 휩쓸린 것이라고 누군가는 주장하고 있다. 여왕벌의 저자 역시 작가의 말에 모두가 나쁜 외국인만 있는 것은 아니라며, 단지 일부의 이러한 사태를 고발하고 싶어 이태원을 취재했던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자신의 객관적인 판단에 의해서 정말 자신의 행동을 한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그 현장의 분위기와 주위의 추임새에 휩쓸려서 우리는 반미를 해왔던 것인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정구, 강정구 교수의 미국을 알기나 하나요?(통일뉴스:2006).
김진응, 반미(살림출판사:2003).
심양섭, 반미를 해부한다.(한국학술정보원:2010).
유재순, 여왕벌(글수레 :1984).
홍성태·노순택, 반미가 왜 문제인가(당대:2004).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1.04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3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