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하수도
2. 하수도의 효과
가. 보건위생상의 효과
나. 우수에 의한 침수범람의 방지
다. 토지이용의 증대
라. 도로비 및 하천 준설비의 절감
마. 하천정화
바. 도시미관의 증대
2. 하수도의 효과
가. 보건위생상의 효과
나. 우수에 의한 침수범람의 방지
다. 토지이용의 증대
라. 도로비 및 하천 준설비의 절감
마. 하천정화
바. 도시미관의 증대
본문내용
하수도
하수는 불결하므로 배수가 불량상태인 경우에는 전염병의 원인이 되는 등 생활환경에 각종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시가지(市街地)에서 배제하는 것이 좋다. 하수도라고 하면 보통 공공(公共) 하수도를 말하며 하수도관•종말처리장(終末處理場)•유수지 배수펌프장이 있다. 하수관은 시가지 내 도로 밑에 그물 모양으로 깔려 있는 관을 말하고, 한국의 경우 1995년 현재 전국 43개소의 종말처리장은하수관의 맨 끝에 설치하는 시설물로서 오수를 정화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하수도의 효과
하수도는 도시에 필요 불가결한 위생시설이며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각종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가. 보건위생상의 효과
하수도시설을 함으로써 질병의 발생과 유행을 방지하며, 전염병 특히 장티푸스와 이질에 의한 사망률의 감소, 모기 및 파리의 발생을 방지 할 수 있다. 하수의 정체에 의한 각종 전염병의 위협과 불결한 생활을 영위하였던 경험이 하수도의 신설 후 완전히 개선되는 것은 누구든지 느끼는 사실이다.
또한 불결한 재래식 화장실은 그 냄새로 인하여 항상 불쾌감을 유발하며 지하침투 및 누출에 의한 토지의 오염, 파리, 모기 등의 매개에 의한 병균의 전파 등 여러 폐단 때문에 도시생활에서는 특히 하수도의 시설이 필요하다. 베를린시의 경우 하수도가 개량되지 않았던 시기에는 장티푸스에 의한 사망률이 인구 10만명에 대하여 75∼140명의 비율이었으나 하수도 완성 후에는 불과 3명 정도였으며, 또한 일반사망율이 인구 1,000명에 대하여 22.5평에서 15명으로 감소되었다.
하수는 불결하므로 배수가 불량상태인 경우에는 전염병의 원인이 되는 등 생활환경에 각종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시가지(市街地)에서 배제하는 것이 좋다. 하수도라고 하면 보통 공공(公共) 하수도를 말하며 하수도관•종말처리장(終末處理場)•유수지 배수펌프장이 있다. 하수관은 시가지 내 도로 밑에 그물 모양으로 깔려 있는 관을 말하고, 한국의 경우 1995년 현재 전국 43개소의 종말처리장은하수관의 맨 끝에 설치하는 시설물로서 오수를 정화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하수도의 효과
하수도는 도시에 필요 불가결한 위생시설이며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각종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가. 보건위생상의 효과
하수도시설을 함으로써 질병의 발생과 유행을 방지하며, 전염병 특히 장티푸스와 이질에 의한 사망률의 감소, 모기 및 파리의 발생을 방지 할 수 있다. 하수의 정체에 의한 각종 전염병의 위협과 불결한 생활을 영위하였던 경험이 하수도의 신설 후 완전히 개선되는 것은 누구든지 느끼는 사실이다.
또한 불결한 재래식 화장실은 그 냄새로 인하여 항상 불쾌감을 유발하며 지하침투 및 누출에 의한 토지의 오염, 파리, 모기 등의 매개에 의한 병균의 전파 등 여러 폐단 때문에 도시생활에서는 특히 하수도의 시설이 필요하다. 베를린시의 경우 하수도가 개량되지 않았던 시기에는 장티푸스에 의한 사망률이 인구 10만명에 대하여 75∼140명의 비율이었으나 하수도 완성 후에는 불과 3명 정도였으며, 또한 일반사망율이 인구 1,000명에 대하여 22.5평에서 15명으로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