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의 개념, 원인, 요인, 증상, 합병증, 치료, 예방, 잘못된 속설, 식습관, 문제점, 개선 방안, 시사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며

1. 고혈압이란?

2. 고혈압의 요인 (생리적 요인 & 환경적 요인)

3. 고혈압의 증상 및 합병증
 3.1 고혈압의 증상
 3.2 고혈압의 합병증

4. 고혈압의 치료 및 예방
 4.1 고혈압의 치료 및 예방
 4.2 고혈압학회가 제시하는 7가지 예방수칙

5. 고혈압에 대한 잘못 된 속설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우 평균 혈압이 떨어진다고 연구에서 밝혀져 있다. 따라서 고혈압 환자 뿐 아니라 정상혈압군도 식염(소금) 섭취량을 제한하는 것이 좋다.
2) 식사에서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줄여 칼로리를 줄인다.
3) 과일과 채소 및 우유 섭취를 통해 칼슘 섭취를 증가 시킨다.
4) 전곡식품과 생선, 가금류와 견과류 섭취를 증가시키고, 육류와 단순당의 섭취를 줄인다.
* 가금류 : 협의로는 고기, 알의 생산을 주목적으로 사육되고 있는 조류
5) 가공식품 및 인스턴트 음식과 외식을 줄이고, 가공하지 않은 신선한 채소 및 과일을 섭취 한다.
이러한 식이요법은 지속적으로 하면 8~14mmHg 정도의 혈압 강하 효과를 볼 수 있다.
4.2 고혈압학회가 제시하는 7가지 예방수칙
1)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는다.
2) 살이 찌지 않도록 알맞은 체중을 유지한다.
3)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한다.
4) 담배는 끊고 술은 삼간다.
5) 지방질을 줄이고 야채를 많이 섭취한다.
6) 스트레스를 피하고 평온한 마음을 유지한다.
7)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의사의 진찰을 받는다.
5. 고혈압에 대한 잘못 된 속설
고혈압 환자는 매운 음식을 피해야 한다? No
고혈압 환자의 경우 기름기 많은 음식과 단 음식만 피하면 됩니다. 기름기가 많은 음식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올리고 단 음식은 열량이 높아 중성지방을 올리기 때문에 매운 음식은 혈압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혈압 보다 저혈압이 더 위험하다? No
저혈압은 고혈압처럼 합병증을 일으키지도 않으며, 수명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저혈압은 갑자기 일어날 때의 현기증 및 어지럼증, 어깨 걸림, 불면증,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전문의와 상의해 생활습관을 적절히 바꾸면 증세가 나아질 수 있다.
<맺음말>
본론을 작성하게 된 근본적인 계기는 리포트 제출용이었지만, 작성하면서 이 글이 다른 사람들에게 읽혀 고혈압에 대하여 조금이나마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도움이 되고자 했던 나의 목적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리포트 형식의 글을 한번 작성해봄으로써 리포트 기본 작성의 틀을 잡을 수 있는 계기를 가질 수 있었다.
그리고 내 자신 스스로 조사하고 수집한 자료로 글을 작성해 나아가면서 나도 몰랐었던 고혈압의 기본지식과 위험성에 대하여 알게 되었고, 적게나마 글을 쓰는 재미와 목적의식을 갖게 된 것 같았다.
끝으로 이런 좋은 강의에서 좋은 교수님께 글쓰기의 기본구성 및 발표 & 토론, 리포트 작성 방법 등의 유익한 정보를 배워갈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다는 것에 만족을 느낀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parkjoo4?Redirect=Log&logNo=70101937234
- 인터넷 싸이트
http://community.hani.co.kr/board/view.html?board_id=cm_health2&uid=40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7.02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48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