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 단위와 문장>을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시사점, 총체적 조사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 리 말
한국어판 지은이의 말
옮긴이의 말

제 1 장 독어의 학문 문법에 대한 고찰
1. 문법의 대상과 과제 설정을 위한 정립
 1. 1. 문법 지식이 요구하는 것
 1. 2. 대상의 제한에 대하여
  1. 2. 1. 문법과 언어체계
  1. 2. 2. 문법과 화용론
  1. 2. 3. 문법과 인지적 언어 기술
2. 새로운 문법 구상: 의사소통의 최소단위(KOMA)의 문법
 2. 1. 중심적 기술단위 KOMA
  2. 1. 1. 상위 경계의 규정에 대하여
  2. 1. 2. 하위 경계의 규정에 대하여
  2. 1. 3. KOMA 획득에 대한 기준
2. 2. 정동사 없는 KOMA
  2. 2. 1. 명제적 원형과 KOMA-동일화
  2. 2. 2. KOMA의 언표수행 유형
2. 3. 원형적 KOMA와 덜 전형적 KOMA
2. 4. 정동사 없는 KOMA의 구조적 유형학에 대해서
3. 부족한 것을 바꾸려는 시도로서의 문법 구상
3. 1. 구어 문법
3. 2. 문법 기술에 있어서 형식과 의미의 병렬
3. 3. 다차원적 의미론의 사고

제 2 장 의사소통의 최소단위와 문장
  - 문법의 중심 단위의 정의에 대하여 -
0. 들어가는 말
1. 문장정의를 위한 정의공간의 문제점
1. 1. 빠롤 단위로서의 문장 대 랑그 단위로서의 문장: 의심스러운 양자택일로부터의 결별
1. 2. 개별언어 내재 단위로서의 문장 대 개별언어를 초월하는 단위로서의 문장
2. KOMA와 언어행위: KOMA 정의에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접근
3. KOMA-정의를 위한 언어와 관련된 규정들: KOMA-정의에의 세 번째 접근
4. 문장의미와 ‘하위 경계’로서의 그의 기능에 대하여: KOMA-정의에의 네 번째 접근
4. 1. 명제적 세분성과 탈맥락화 가능성
4. 2. 동사가 마지막 자리에 있는 KOMA
5. 상위 경계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 KOMA-정의에의 마지막 접근
5. 1. 문제제기와 해결시도
5. 2. 사례구분
5. 3. 맥락관계의 기준과 정의 형성
5. 4. 복합 KOMA 대 KOMA-복합체: 구체적 사례로 검증

제 3 장 문법 규칙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은 어떻게 문법에서 형성되는가?
1. 규칙, 체계, 규칙체계
2. 문법 규칙과 원형
3. 문법 규칙의 종류들
4. 행위 규칙-부분행위 규칙-규격화 규칙 : 예들의 조화

참고문헌
인명색인
독한 용어 대조

본문내용

P./Puschel, U. (1985) : Blitzstrahl im Handlungschaos. ZGL 13. 1985, 74-83.
Jacobs, J. (1982) : Syntax, Satzsemantik, Pragmatik. In: Vennemann/Jacobs 1982, 71-145.
Jacobs, J. (1982a) : Syntax und Semantik der negation im Duetschen. Munchen 1982.
Keller, R. (1974) : Zum Begriff der Regel. In: Heringer 1974a, 10-24.
Keller, R. (1979) : Zur Epistemologie der Semantik. In: Jager 1979, 22-44.
Keller, R. (1982) : Zur Theorie des sprachlichen Wandels. In: ZGL 10, 1982, 1-27.
Klein, W./Levelt, W. (Hers.) (1981) : Crossing the Boundaries in Linguistics. Studies presented to manfred Dierwisch. Dordrecht.
Lerch, E. (1983) : Vom Wese des Satzes und von der Bedeutung der Stimmfuhrung fur die Satzdefinition. In: Archiv fur die hesamte Psychologie 100, 133-194.
Lyons, J. (1977) : Semantics. Vol. 2. Cambridge.
Muller, B. L. (1985) : Geschichte der Satzdefintion. Ein kritischer AbriB. ZGL 13. 1985, 18-42.
Muller, B. L. (1985a) : Der Satz. Definition und sprachtheoretischer Status. Tubingen, 1985.
Naf, A (1984) : Satzarten und AuBerungsrten im Deutschen. Borschluge zur Begriffauffassung und Terminologie. ZGL 23. 1984, 21-44.
Partee, B. (1984) : Nominal and Temporal Anaphora. Ling. and Phil. 7.3, 1984, 243-286
Petofi, J. S. (Hrsg.) (1979) : Text vs. Sentence. Basis Questions of Textlinguistics. 2 Bde. Hamburg.
Ries, J. (1931) : Was ist ein Satz? Beitruge Grundlengug der Syntax. Heft. Prag.
Schegloff, E. (1979) : The Relevance of Repair to Syntax-for Conversation. In: Givon 1979, 261-286.
Schroder, P. (O. J.) : Wortstellung in der deutschen Standardsprache. Versuch einer empirischen Analyse zu topologischen Aspekten von Texten gesprochener Sprache. Unvervoff. Ms. Friburg.
Searle, J. (1975) : Indirect speech acts. In: Cole/Morhan 1975, 59-82.
Seidel, E. (1935) : Geschichte und Kritik der wichtigsten Satzdefinition. Jena.
Soames, S. (1984) : Linguistics and Psychology. Ling. and Phi. 7.2, 1984, 155-179.
Strecker, B. (1986) : Sprachliches Handeln und sprachlicher Ausdruck. Ein Pladoyer fur eine kommunikative Ausrichtung der Grammatik. In: Zifonin (1986), 76-127.
Stickel, G. (Hrsg.) (1984) : Pragmatik in der Grammatik (= Jahrbuch 1983 des Instituts fur deutsche Sprache). Dusseldorf.
Tugendhat, E. (1976) Vorlesungen zur Einfuhrung in die sprachanalytische Philosophie. Frankfurt.
Vennemann, Th./Jacobs, J. (1982) : Sprache und Grammatik. Grundprobleme der liguistischen Sprachbeschreibung. Darmstadt.
Werth, P. (1984) : Fokus, Coherence and Emphasis. London.
Wimmer, R. (1977) : Sprachliche Normen. In: Heringer et. al. (1977), 40-59.
Wunderlich, P. (1979) : Satz, Paragraph, Text - und die Intonation. In: Petofi (Hrsg.) (1979), 319-341.
Zawadowski, L. (1975) : Inductive Semantics and Syntax. Foundations for Empirical Linguistics. The Hague/Paris. ( Janua Linguarun, Series Major 58.)
Zifonun, G. (Hrsh.) (1986) : Vor-Satze zu neuen deutschen Grammatik. Tubingen.
Zifonun, G. (1986a) : Eine neue Grammatik des Deutschen. Konzept zu Inhalt und Struktur. In: Zifonun (1986), 11-75.
  • 가격2,1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7.06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4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