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 통한 지역개발, 경제적 효과, 성공 요인, 전략, 특징, 중요성, 경제 개발사례, 유래, 전략, 현황, 사례, 관리, 역할, 기법, 시사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침체된 산업도시 빌바오

2. 도시회복에 도전하는 빌바오

3.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의 설립과정과 문제점

4.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재고

5.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의 문화․예술적인 효과에 대한 재고

6.결론

본문내용

이미지 제고와 문화관광, 투자유치, 발전거점으로 이용될 문화시설을 검토하고 추진했다. 하지만, 바스크지방 고유의 문화를 접목하지 않았고 결국 외국의 브랜드, 외국의 문화에 의해 단순히 도시개발수준 밖에 이루지 못한 사업으로도 볼 수 있다.
6.결론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은 구산업의 도시인 빌바오를 신문화예술도시로 변모하는 데 크나큰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경제적 침체, 실업, 극단적인 민족주의, 테러의 온상지인 빌바오를 이미지 변화에 일조한 것들 중에는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을 뽑을 수 있다.
그러나 빌바오를 찾는 구겐하임미술관 방문객들은 미술관과 빌바오를, 혹은 바스크를 동일시하고 있다. 미술관은 그 나라 또는 문화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구겐하임미술관은 빌바오의 것이 아니다.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은 바스크지방의 문화나 예술과는 거리가 있고, 오히려 미국의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빌바오에 사는 주민들 중에는 구겐하임미술관이 자신의 것이 아니라까지도 주장한다. 우리는 흔히 빌바오의 성공신화를 ‘구겐하임효과’로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구겐하임의 효과를 마냥 긍정적으로 볼 수 없으며, 오히려 세계화의 흐름에서 미국의 문화적 제국주의가 불러일으킨 산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구겐하임미술관의 성공신화 속의 어두운 점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점은 성공적인 문화 프로젝트에는 반드시 지역주민의 의견과 지역문화를 적절히 섞어야 하며, 외래의 자본이 유입되는 프로젝트일 경우에는 더욱 더 신중한 태도를 취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지역적인 기반이 결여된 세계성과 미래성의 표방은 장기적으로 볼 때 그 문화프로젝트의 의미를 반감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자료출처
유럽의 전통산업도시에서 문화예술도시로의 변모: 빌바오에서의 “구겐하임 효과”에 비판적 고찰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2314
(네이버 캐스트:오늘의 미술)
문화를 통한 지역개발 사례 연구(김효정외 4명)
참고 자료
Basque Country(바스크)
(스)Pais Vasco. 바스크어로는 Euskardi.
스페인 비스케이 만에 면해 있는 알라바·기푸스코아·비스카야 주들을 포함하는 역사적인 지방.
1979년 자치법령으로 설립되었다. 이 지방의 행정부는 임기 5년의 총리와 3개주에서 각각 같은 수로 선출된 대표의원들로 이루어진 의회로 구성된다. 1930년대에 바스크 분리주의 운동이 이 지역에서 격렬하게 일어났는데, 이 소요는 1936년 10월 5일의 자치법령 발표로 끝났다. 이듬해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이 바스크 분리주의 운동을 탄압하기 시작하자 이 운동의 과격파들은 스페인 중앙정부에 대항해 테러 활동을 전개했다. 이 지방은 북동쪽에서 피레네 산맥에 의해 스페인령 바스크 지역과 바스크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프랑스령 바스크 지역으로 나뉘며, 서쪽에서 칸타브리아 산맥에 의해 바스크 지방과 산탄데르 주로 나뉜다. 또한 남쪽으로는 피레네 산맥이 에브로 강 유역, 카스티야 지방의 부르고스, 로그로뇨 주로 이어지며, 동쪽으로는 나바레 주와 접한다. 비스카야 주와 기푸스코아 주에 있는 산들은 매우 들쭉날쭉하며 강들은 길이가 짧고 물살이 빨라 산을 지나면서 가파른 골짜기를 형성한다. 연평균강우량은 1,200㎜에 달하는데, 산세바스티안 시 주변에서는 1,500㎜가 넘지만 에브로 강 유역에서는 750㎜를 넘지 않는다. 동부는 강우량이 비교적 풍부하고 고른 북대서양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남부의 알라바 산간분지는 아(亞)지중해성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에브로 강 유역의 탁 트인 들판과 포도원으로 둘러싸여 구심점이 되는 작은 공동체들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한편 피레네 산맥에서는 개인농장인 카세리오를 중심으로 인구가 넓게 분산되어 있는데, 이 농장들은 산악지역의 작은 농지에서 집약적인 재배를 한다. 19세기 중반 이래 이 지역의 급격한 공업화로 피레네 산맥의 전통적 거주지역이 해체되었으며, 그결과 오지의 거주지보다는 산세바스티안이나 빌바오 같은 해안도시들이 성장했다. 인구밀도는 해안지역에서 가장 높아 바스크 지방 인구의 4/5 정도가 빌바오 및 교외지역에 몰려 있다. 알라바 주는 북쪽 구릉지대를 덮고 있는 오크나무와 너도밤나무 삼림을 제외하면 곡물 및 포도 재배에 적합한 광활한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근대 초기 이후 미국에서 들여온 옥수수와 감자 같은 작물의 보급으로 재배작물이 많아지고 종류도 다양해졌지만, 전통적으로 바스크 지방의 주민들은 목동이다. 1950년대초 이래로 알라바 주의 비토리아 시는 상당히 공업화되었지만 알라바 주는 이 지방에서 농업활동이 가장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지역이다.
중세 후기부터 비스카야 주와 기푸스코아 주는 방대한 철광석과 삼림자원을 개발하여 크게 공업화되었다. 이 지방의 야금업은 대부분 빌바오 시와 네르비온 강의 연안지역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빌바오 시 외곽에서는 야금업·식품가공업·화학산업 등이 이루어지며, 제지업은 톨로사와 오리아 강 연안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또한 서비스업이 매우 발달했으며, 특히 빌바오 시는 스페인 제1의 금융 중심지이다. 이 지방의 도시화와 산업발전으로 바스크의 전통문화가 쇠퇴했으며 프랑스와 미국으로의 이민 때문에 개인농장의 주민수가 크게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진적인 바스크 분리주의 단체로서 바스크어로 '바스크의 조국과 자유'라는 뜻의 에테아(Euzkadi Ta Azkatasuna/ETA)의 테러 활동으로 바스크 지방분권주의가 스페인 정권을 약화시키는 가장 큰 세력이 되었다. 자치정부를 갖춘 바스크 지방이 수립되었지만 ETA의 테러 행위를 종식시키지 못했다. 면적 7,234, 인구 2,075,561(1994).
자료출처: 네이버 지식인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002&docId=56696608&qb=67CU7Iqk7YGs&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gI8LAU5Y7u0sscme4j8ssc--309003&sid=T68CO7Xrrk8AACADB@g)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7.07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4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