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세기 20세기 세계경제, 전간기 개관, 1차대전 직후의 세계경제, 세계대공황, 전후 회복, 경제적 영향, 특징, 현황, 시사점, 문제점, 미래 전망 조사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전간기
1. 전간기 개관
2. 1차대전(1914-18) 직후의 세계경제
3. 세계대공황(1929-33)

II. 전후 회복

본문내용

1) “근대경제성장”의 관점에서 조망

Simon Kuznets, Modern Economic Growth : Rate, Structure, and Spread, Yale Univ. Press, 1966.
 근대경제성장의 특징 :
1인당 생산과 인구가 높은 성장률을 보임
생산성(투입물 1단위당 산출량)이 높은 상승률을 보임
경제구조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됨

1870-20세기말까지 약 130년 동안 1인당 실질 GDP는 연평균 1.5% 상승

그렇지만 성장은 공간적, 시간적으로 불균등
수렴보다는 발산?
1870-1913, 1973-1998 기간 동안 유럽의 성장률은 장기평균성장률과 유사
1913-1950, 1950-1973 기간은 장기추세에서 벗어나 있음
전간기 유럽경제의 상대적 저성장
cf. 소련의 약진 : 1929-38, 1인당 실질GDP는 연평균 4.9% 성장
저성장의 원인 : 전쟁?

2) 세계화의 후퇴

국제무역의 와해, 국경간 생산요소(자본·노동) 이동의 급감

운송비와 통신비 vs.국내적·국제적 제도 ?
국제적 긴장, 협력부족, 국제통화체제의 붕괴, 무역장벽, …

전간기 교역감소에 따라, 전세계 수출에서 유럽이 차지하는 비중 감소 : 60.1%(1913)  41.1%(1950)
→ 세계경제의 중심이 서유럽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
  • 가격3,800
  • 페이지수103페이지
  • 등록일2012.07.08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650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