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러시아(구소련 포함)의 경제발전
1. 소비에트 연방의 경제발전
(1) 국민경제발전 5개년 계획
(2) 소련의 경제위기
2. 러시아의 경제발전
(1) 자본주의 경제체제로의 전환
(2) 러시아 경제의 걸림돌
Ⅲ. 북한의 경제발전
1. 자력갱생의 대원칙
2. 외자도입을 위한 노력
3. 경제성장률과 국민총소득(GNI)
4. 앞으로의 경제발전을 위한 과정
Ⅳ. 결론
참고문헌
Ⅱ. 러시아(구소련 포함)의 경제발전
1. 소비에트 연방의 경제발전
(1) 국민경제발전 5개년 계획
(2) 소련의 경제위기
2. 러시아의 경제발전
(1) 자본주의 경제체제로의 전환
(2) 러시아 경제의 걸림돌
Ⅲ. 북한의 경제발전
1. 자력갱생의 대원칙
2. 외자도입을 위한 노력
3. 경제성장률과 국민총소득(GNI)
4. 앞으로의 경제발전을 위한 과정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니라 할지라도 어느 정도는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표1을 보면 남한과 북한의 1인당 GNI는 1990년에 약 6배 정도 차이가 났으나, 20여년이 지난 2009년의 경우 18배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경제성장률 또한 남한은 2009년을 제외하고는 4%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나, 북한의 경우 (-)성장을 하거나 저성장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남북한별
1990
1995
2000
2005
2009
남한:명목GNI
(억달러)
2,702
5,292
5,308
8,439
8,372
북한:명목GNI
(억달러)
232
223
168
242
224
남한:1인당GNI (달러)
6,303
11,735
11,292
17,531
17,175
북한:1인당GNI (달러)
1,146
1,034
757
1,056
960
남한:경제성장률 (%)
9.3
8.9
8.8
4.0
0.2
북한:경제성장률 (%)
-4.3
-4.4
0.4
3.8
-0.9
[표1] 남한과 북한의 국민총소득(GNI) 및 경제성장률
4. 앞으로의 경제발전을 위한 과정
구소련에서 러시아로 넘어오면서 자원의 수출과 외자의 도입 등을 통해 경제발전을 이룩하였다. 북한 또한 매장된 자원들의 수출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자의 도입이나 생산재의 수입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를 위해 수출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북한의 경우 권위주의적 정부가 권력 유지만을 위해서 군사력을 키울 것이아니라, 권위주의적인 특성을 살려 국가주도의 경제발전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하는 것이 경제발전을 위한 올바른 길이다.
Ⅳ. 결론
북한의 경우, 경제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자본재를 외국으로 도입하지 않음으로 인해 일본이나 한국이 누렸던 모방의 이익을 누리지 않았으며 이는 경제발전을 더디게 하였다. 그리고 초반에는 외국과의 무역을 하지 않는 봉쇄경제를 택함으로써 해외시장의 확대나 선진기술의 모방, 외자유치 측면에 있어서 불리한 위치에 있었음이 분명하다. 나중에 외자유치나 기술도입을 위해서 어느 정도의 대외무역을 하기 시작하긴 하였으나, 전면적인 해외무역이 아닌 일부분에서의 개방이었다. 소련의 공산주의가 붕괴하게 된 것이 전적으로 자의적인 것은 아니었으나 러시아로 바뀐 뒤에 경제발전의 측면에서 나아진 것은 분명하다. 북한도 무조건적으로 폐쇄경제를 취할 것이 아니라, 경제발전을 위해서 개방이 필요할 것이다. 지금의 이 상태로 방치한다면 북한의 경제성장률과 1인당 GNI는 계속해서 하락하게 될 것이고,국민들의 빈곤문제는 더더욱 심화될 것이다.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북한의 경제정책, http://100.naver.com/100.nhn?docid=718401
▶네이버 백과사전, 북한의 경제계획과 실적, http://100.naver.com/100.nhn?docid=718405
▶네이버 백과사전, 나진선봉경제특구, http://100.naver.com/100.nhn?docid=769072
▶위키백과, 소비에트연방, http://ko.wikipedia.org/wiki/%EC%86%8C%EB%B9%84%EC%97%90%ED%8A%B8_%EC%97%B0%EB%B0%A9#.EA.B2.BD.EC.A0.9C
▶위키백과, 소련의 국민경제 5개년 계획,
http://ko.wikipedia.org/wiki/%EC%86%8C%EB%A0%A8%EC%9D%98_%EA%B5%AD%EB%AF%BC%EA%B2%BD%EC%A0%9C_5%EA%B0%9C%EB%85%84_%EA%B3%84%ED%9A%8D
▶박승, (제2전정판)경제발전론, 박영사, 1997, 53쪽
남북한별
1990
1995
2000
2005
2009
남한:명목GNI
(억달러)
2,702
5,292
5,308
8,439
8,372
북한:명목GNI
(억달러)
232
223
168
242
224
남한:1인당GNI (달러)
6,303
11,735
11,292
17,531
17,175
북한:1인당GNI (달러)
1,146
1,034
757
1,056
960
남한:경제성장률 (%)
9.3
8.9
8.8
4.0
0.2
북한:경제성장률 (%)
-4.3
-4.4
0.4
3.8
-0.9
[표1] 남한과 북한의 국민총소득(GNI) 및 경제성장률
4. 앞으로의 경제발전을 위한 과정
구소련에서 러시아로 넘어오면서 자원의 수출과 외자의 도입 등을 통해 경제발전을 이룩하였다. 북한 또한 매장된 자원들의 수출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자의 도입이나 생산재의 수입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를 위해 수출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북한의 경우 권위주의적 정부가 권력 유지만을 위해서 군사력을 키울 것이아니라, 권위주의적인 특성을 살려 국가주도의 경제발전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하는 것이 경제발전을 위한 올바른 길이다.
Ⅳ. 결론
북한의 경우, 경제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자본재를 외국으로 도입하지 않음으로 인해 일본이나 한국이 누렸던 모방의 이익을 누리지 않았으며 이는 경제발전을 더디게 하였다. 그리고 초반에는 외국과의 무역을 하지 않는 봉쇄경제를 택함으로써 해외시장의 확대나 선진기술의 모방, 외자유치 측면에 있어서 불리한 위치에 있었음이 분명하다. 나중에 외자유치나 기술도입을 위해서 어느 정도의 대외무역을 하기 시작하긴 하였으나, 전면적인 해외무역이 아닌 일부분에서의 개방이었다. 소련의 공산주의가 붕괴하게 된 것이 전적으로 자의적인 것은 아니었으나 러시아로 바뀐 뒤에 경제발전의 측면에서 나아진 것은 분명하다. 북한도 무조건적으로 폐쇄경제를 취할 것이 아니라, 경제발전을 위해서 개방이 필요할 것이다. 지금의 이 상태로 방치한다면 북한의 경제성장률과 1인당 GNI는 계속해서 하락하게 될 것이고,국민들의 빈곤문제는 더더욱 심화될 것이다.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북한의 경제정책, http://100.naver.com/100.nhn?docid=718401
▶네이버 백과사전, 북한의 경제계획과 실적, http://100.naver.com/100.nhn?docid=718405
▶네이버 백과사전, 나진선봉경제특구, http://100.naver.com/100.nhn?docid=769072
▶위키백과, 소비에트연방, http://ko.wikipedia.org/wiki/%EC%86%8C%EB%B9%84%EC%97%90%ED%8A%B8_%EC%97%B0%EB%B0%A9#.EA.B2.BD.EC.A0.9C
▶위키백과, 소련의 국민경제 5개년 계획,
http://ko.wikipedia.org/wiki/%EC%86%8C%EB%A0%A8%EC%9D%98_%EA%B5%AD%EB%AF%BC%EA%B2%BD%EC%A0%9C_5%EA%B0%9C%EB%85%84_%EA%B3%84%ED%9A%8D
▶박승, (제2전정판)경제발전론, 박영사, 1997, 5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