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마>는 무엇을 이야기하는가.
2. <역마>는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3. <역마>의 가치와 한계는 무엇인가.
2. <역마>는 어떻게 이야기하는가.
3. <역마>의 가치와 한계는 무엇인가.
본문내용
인간의 생명적인 리듬이 무리 없이 결합되는 것이라는 작가의 운명론적 세계관을 보여 주는 '무녀도' '황토기' '바위' 등과 함께, 전통 지향적인 면모를 잘 보여 주고 있는 김동리의 초기 대표작 가운데 하나이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삶은 대부분 자신의 의지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닌, 운명적으로 주어진 역마살에 둘러싸여 있으며, 소설의 배경인 화개 장터 역시 역마살이 낀 장돌뱅이들의 집결지이다. 이 역마살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은, 결혼을 토해 한 곳에 정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주인공 성기가 사랑하던 계연이 옥화의 이복동생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두 사람의 결혼은 불가능해지게 된다. 성기가 역마살을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유랑의 길을 떠나는 결말은, 운명을 거스르지 않음으로써 구원에 이르게 된다고 믿는 한국적인 운명관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삶의 한 형식으로 운명에의 순응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다분히 토속적이고 샤머니즘적인, 역마살이라는 운명관을 배경으로 하여 쓰여 진 이 작품은 운명을 거역하기 보다는 거기에 슬기롭게 순응함으로써 생의 리듬을 얻고 있는 한국적인 인간상, 즉 인간은 자신의 운명에 따라 살아갈 때 가장 행복을 느낀다는 것을 보여 주며, 이것은 작가의 구경적 생에 대한 인식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김동리의 소설 속에서 우리는 쉽게 절망을 찾아볼 수가 있으며 '역마'에서도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절망은 허무주의자들이 일반적으로 느끼는 절망과는 다르다. 김동리의 허무 의식은, 그가 허무를 모든 인간이 짐 지고 있는 공통된 운명이라고 인식한 데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인간의 삶이 허무하다는 것, 그것은 허무를 생활화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인간은 이 허무를 거역할 수도, 도피할 수도 없다. 즉, 허무는 인간의 운명인 것이다. 그러나 이 허무를 타개하는 것은 인간의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작가는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를 촉구하기 위한 여러 방법을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김동리는 '역마'를 통해 동양적 운명관을 보여 주고 있다. 겉으로 보기엔 등장인물들이 운명에 패배한 것같이 보이지만, 사실은 한국인의 의식 속에 깊숙이 내재되어 있는 어둠의 측면과 전통이 하나의 질서관으로 형상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자연의 법칙 앞에서 인간의 생명적인 리듬감이 무리 없이 결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삶은 대부분 자신의 의지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닌, 운명적으로 주어진 역마살에 둘러싸여 있으며, 소설의 배경인 화개 장터 역시 역마살이 낀 장돌뱅이들의 집결지이다. 이 역마살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은, 결혼을 토해 한 곳에 정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주인공 성기가 사랑하던 계연이 옥화의 이복동생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두 사람의 결혼은 불가능해지게 된다. 성기가 역마살을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유랑의 길을 떠나는 결말은, 운명을 거스르지 않음으로써 구원에 이르게 된다고 믿는 한국적인 운명관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삶의 한 형식으로 운명에의 순응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다분히 토속적이고 샤머니즘적인, 역마살이라는 운명관을 배경으로 하여 쓰여 진 이 작품은 운명을 거역하기 보다는 거기에 슬기롭게 순응함으로써 생의 리듬을 얻고 있는 한국적인 인간상, 즉 인간은 자신의 운명에 따라 살아갈 때 가장 행복을 느낀다는 것을 보여 주며, 이것은 작가의 구경적 생에 대한 인식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김동리의 소설 속에서 우리는 쉽게 절망을 찾아볼 수가 있으며 '역마'에서도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절망은 허무주의자들이 일반적으로 느끼는 절망과는 다르다. 김동리의 허무 의식은, 그가 허무를 모든 인간이 짐 지고 있는 공통된 운명이라고 인식한 데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인간의 삶이 허무하다는 것, 그것은 허무를 생활화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인간은 이 허무를 거역할 수도, 도피할 수도 없다. 즉, 허무는 인간의 운명인 것이다. 그러나 이 허무를 타개하는 것은 인간의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작가는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를 촉구하기 위한 여러 방법을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김동리는 '역마'를 통해 동양적 운명관을 보여 주고 있다. 겉으로 보기엔 등장인물들이 운명에 패배한 것같이 보이지만, 사실은 한국인의 의식 속에 깊숙이 내재되어 있는 어둠의 측면과 전통이 하나의 질서관으로 형상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자연의 법칙 앞에서 인간의 생명적인 리듬감이 무리 없이 결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추천자료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정의,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저자, 일본문학 ...
한국문학(한국문학사) 1910년대와 1920년대 문학, 한국문학(한국문학사) 1930년대와 1940년대...
한국문학사(한국문학역사) 분류, 한국문학사(한국문학역사) 구분, 한국문학사(한국문학역사) ...
온라인문학(사이버문학, 인터넷문학)의 정의와 성격, 온라인문학(사이버문학, 인터넷문학)의 ...
한국문학의 상상력, 한국문학의 보편화, 한국문학의 권력관, 한국문학 전개, 한국문학과 프로...
[문학][포스트모더니즘][상징주의문학][민중문학][문학텍스트]문학의 기능, 문학과 인간상, ...
상징주의문학(상징파문학) 시의 의의와 특징, 상징주의문학(상징파문학) 시의 탄생과 전개, ...
리얼리즘문학(사실주의문학)의 의의와 특징, 리얼리즘문학(사실주의문학)의 탄생배경, 리얼리...
낭만주의문학(낭만파문학)의 의의, 낭만주의문학(낭만파문학)의 특성, 낭만주의문학(낭만파문...
유아문학교육의 목표와 유아문학교육 시 유아교사가 고려해야 할점을 기술하고 유아교사의 문...
가사문학(가사) 노처녀가, 권주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남정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시문학(시작품, 시)과 일제시대, 시문학(시작품, 시)과 8.15광복, 시문학(시작품, 시)과 사실...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아동문학,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자연주의문학, 한일문학(...
[아동문학] 아동문학의 구성요소와 아동문학 중 글 없는 그림책을 유아에게 제공할 때 유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