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상원 <유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유예>는 무엇을 말하는가?
2. <유예>는 어떻게 이야기하고 있는가?
 ※<유예>에서 나타나는 의식의 흐름 기법
3. <유예>의 가치와 한계는 무엇인가?
 ※ 전후 문학의 일반적인 성향

본문내용

대전’, ‘베트남 전쟁’, ‘한국전쟁’은 ‘전쟁’이라는 측면에서 보편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지만, 그와 동시에 서로 섞일 수 없는 고유한 맥락과 배경을 가지고 있다. 전쟁이 지닌 폭력성을 전면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이 세 전쟁 중 어느 것을 선택하더라도 별반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이 세 전쟁을 둘러싼 역사적 맥락과 전후의 인과 관계는 사뭇 다르다. 오상원의 소설에서는 전자, 즉 전쟁의 폭력성이 강하게 부각되는 반면, ‘한국 전쟁’ 이 지닌 역사적 특수성은 충분하게 드러나 있지 않다. 이 점은 오상원 문학의 한계인 동시에, 정도와 개인의 차이는 있지만 전후세대 문학에서 자주 목격되는 현상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오상원의 소설은 전쟁에 대한 탁월한 묘사와 비판 의식이 돋보이는 대신, 역사의식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 아쉬움이 있다. 앞의책, 한수영, PP.369~370.
※ 전후 문학의 일반적인 성향
전후 문학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한동안 전개되었던 문학현상을 뜻한다. 간혹 1차대전 후의 문학에 대해서도 이 말을 적용하기도 하지만, 보통 2차대전 이후의 문학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즉 전후 문학은 1945년에서 1950년대 초까지의 문학을 포함하지만, 한국 문학에서 전후 문학의 위치는 6·25이후에 등장한 새로운 문학 세대에 의해 형성된 문제성 있는 작품을 지칭한다. 한국의 전후파 문학은 외국의 경우와 달리 한국적 숙명에 대한 전체적인 고통을 어떠한 각도에서 해결해 나갈 수 있느냐 하는 민족적 고뇌를 다루고 있는 게 특징이다.
서구의 전후 작가들이 관심을 두었던 요인은 첫째, 극한적 상황에 대치한 인간의 자세, 둘째, 삶의 원형에 대한 탐색, 셋째, 단절된 인간관계에 절망하는 인간 등이다. 우리나라에서 전후 문학은 서구 전후 문학과는 약간 성격을 달리한다. 서구 전후문학이 생명에 대한 탐구, 기존 윤리와 이데올로기에 대한 반항정신에 근거하고 있다면, 우리나라의 전후문학은 이 땅에서 겪은 전쟁의 폐허위에서 잃어버린 모든 것에 대한 향수와 자아상실의 허탈을 되풀이 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전후 문학은 기성 사회 계급에 대한 저항이라든지, 퇴폐적이며 향락적이고 감각적인 데카당스의 병적인 경향에 대한 반성을 담고 있다. 그러나 우리문학에서는 6·25이후 사회의 부정적 상황과 불의에 대한 고발정신이 선행되었고, 자아에 대한 생존 양상의 번뇌가 중심이 되었다 앞의책, 김윤식, P.222.
.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9.08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6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