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1987년 6월 민주화 투쟁
2. 7~9월 노동자 대투쟁 - ‘노동계급의 화려한 기억’
Ⅲ. 결론
Ⅱ. 본론
1. 1987년 6월 민주화 투쟁
2. 7~9월 노동자 대투쟁 - ‘노동계급의 화려한 기억’
Ⅲ. 결론
본문내용
어 지역별 또는 산업별 연대투쟁을 벌이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한다면 실패한 까닭을 다 말한 것이 아니다. 흩어져 벌어지는 파업들을 연결시키면서 계급의 요구를 내걸고 굳세게 싸우는 조직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말을 마저 해야 한다. .
Ⅲ. 결론
마치 전국총파업을 벌이 듯 일어난 노동자 대투쟁은 노동대중이 생활에서 느끼는 여러 모순을 없애려고 스스로 싸움터로 나섰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이 “노동자대투쟁이 ‘인간적 대우’부터 ‘임금인상’과 ‘민주노조쟁취’등을 요구조건으로 내건 경제투쟁이기 때문에 커다란 한계가 있었다”고만 할 수는 없다. 6월 항쟁이라는 정치행동 뒤에 노동자들이 생활에서 나타난 요구들을 내세우며 싸운 것은 참으로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6· 29선언 뒤 중간층이 민주화투쟁을 멈추거나 뒤로 물러섰지만 노동자들이 투쟁에 앞장선 것을 볼 때 끝까지 투쟁할 세력은 노동자 뿐이라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요즈음 노동자 계급을 제쳐두고 사회 ‘진보’를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다면 지난 날 역사에서 다시 배워야 한다. 또 개량을 마구 외쳐대는 사람이 있다면 아주 조그만 개량마저도 노동자 자신들이 투쟁하지 않고는 얻을 수 없었던 1987년 역사나마 곱씹어야 한다.
Ⅲ. 결론
마치 전국총파업을 벌이 듯 일어난 노동자 대투쟁은 노동대중이 생활에서 느끼는 여러 모순을 없애려고 스스로 싸움터로 나섰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이 “노동자대투쟁이 ‘인간적 대우’부터 ‘임금인상’과 ‘민주노조쟁취’등을 요구조건으로 내건 경제투쟁이기 때문에 커다란 한계가 있었다”고만 할 수는 없다. 6월 항쟁이라는 정치행동 뒤에 노동자들이 생활에서 나타난 요구들을 내세우며 싸운 것은 참으로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6· 29선언 뒤 중간층이 민주화투쟁을 멈추거나 뒤로 물러섰지만 노동자들이 투쟁에 앞장선 것을 볼 때 끝까지 투쟁할 세력은 노동자 뿐이라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요즈음 노동자 계급을 제쳐두고 사회 ‘진보’를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다면 지난 날 역사에서 다시 배워야 한다. 또 개량을 마구 외쳐대는 사람이 있다면 아주 조그만 개량마저도 노동자 자신들이 투쟁하지 않고는 얻을 수 없었던 1987년 역사나마 곱씹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SOFA 관련 분쟁사례(1987년-1998년)
1987년 민주화 운동이 우리나라 사화와 경제에 미친 영향
<집합행동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접근 - '1987년 6월 항쟁’의 사회심리학적 접근>에 관한 보고서
1987년 이후 노동체제 전환과 노동조합 조직 및 기능의 변화
[노동운동][노동자][노동계급][초기단계 노동운동][1970년대 노동운동][1980년대 노동운동][1...
19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 우리나라 노동운동에서 이전에 비해 달라진 점 & 주요 특징과...
북한의 2009년 화폐개혁관련한 내용과 1984,1987년 합영법
[한국사] 1987년 6월민주항쟁과 한국민주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