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국 공포 영화 속의 젠더
왜 여성인가?
≪ 그 림 ≫ ≪ 그 림 ≫
장화홍련전(1924)
≪ 그 림 ≫ ≪ 그 림 ≫
하녀(1960)
• 서사구조
원한 – 죽음 – 원귀로 귀환 – 복수 – 화해
• 원한은 대개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발생
• 여성상이 상징하고 있는 것은 모두 가부장제의 질서를 위협하는 것
≪ 그 림 ≫
-1998 여고괴담을
달라진 공포영화 속
여성의 모습
-가정에서 학교로 확장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서
교육 이데올로기로
다양한 억압기제 등장
왜 여성인가?
≪ 그 림 ≫ ≪ 그 림 ≫
장화홍련전(1924)
≪ 그 림 ≫ ≪ 그 림 ≫
하녀(1960)
• 서사구조
원한 – 죽음 – 원귀로 귀환 – 복수 – 화해
• 원한은 대개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발생
• 여성상이 상징하고 있는 것은 모두 가부장제의 질서를 위협하는 것
≪ 그 림 ≫
-1998 여고괴담을
달라진 공포영화 속
여성의 모습
-가정에서 학교로 확장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서
교육 이데올로기로
다양한 억압기제 등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