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의료전문직과 역할갈등
1)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2) 의료전문직과의 역할갈등
3. 팀 협력활동
1) 팀 협력 관계의 발달
2) 팀 협력활동의 형태
3) 팀 협력활동의 방법
4) 팀 협력활동의 유용성
5) 협의진료활동
참고문헌
2. 의료전문직과 역할갈등
1)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2) 의료전문직과의 역할갈등
3. 팀 협력활동
1) 팀 협력 관계의 발달
2) 팀 협력활동의 형태
3) 팀 협력활동의 방법
4) 팀 협력활동의 유용성
5) 협의진료활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의 의료사회복지사와 전문가/준전문가의 협력활동
의료사회복지사는 자원봉사자에게 환자와 가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원봉사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고, 의료사회복지사는 자원봉사자로부터 휴식, 오락, 말벗 등 환자와 가족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4) 외부 사회복지기관과의 협력활동
환자와 가족이 후원기관의 후원, 읍면동사무소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선정, 지역사회복지기관의 보호서비스 및 프로그램 참가 등의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의료사회복지사는 이들 기관이 필요로 하는 환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병원의 행정절차는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사회복지사는 이들 기관의 사회복지사로부터 환자와 가족이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5) 외부 의료기관과의 협력활동
의료사회복지사는 환자가 퇴원 후 부가적인 치료를 하는 경우에 외부 의료기관과 협력함으로써 환자의 퇴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외부 의료기관은 의료사회복지사로부터 환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6) 외부 관계 기관과의 협력활동
의료사회복지사는 후원기관, 신문, 방송, 인터넷 등의 대중매체 관계자들에게 환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병원의 행정절차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사회복지사는 이들 기관으로부터 후원 등 환자 가족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자원을 제공받거나 사회인식 개선활동 등을 위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5) 협의진료활동
의료사회복지사와 의료진과의 협의진료활동은 팀 협력 활동에 속하는 하나의 유형이다. 어떤 질환들은 단일한 진료과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여러 분야의 의학적 협력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어떤 환자가 암을 앓게 되면, 혈액종양내과, 외과, 방사선과 등의 의사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 때 의료사회복지사는 환자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대한 개입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기에는 임상심리사, 종교지도자 등에 의한 다학제적인 접근도 필요하게 된다.
환자에게 전인적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은 각자의 전문적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협조적인 상호작용을 할 필요가 있으므로, 의뢰서 및 회신서의 교환, 회진 참여, 회의 등을 통한 협의진료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의료사회복지사가 보건팀의 일원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일반사회복지의 지식과 기술을 넘어서야 한다. 병원 세팅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하여 어떻게 가능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을지를 파악해야 한다. 의학용어를 배워 다른 직원들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하고, 환자들에게도 그 용어를 쉽게 해석하여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다학제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이점도 있지만 단점도 있다. 새로운 지식과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문적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의료사회복지사는 질병에 대한 비의료적 요인을 다른 전문가들이 더욱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데서 만족감이 증대된다.
그러나 역할갈등을 다루는 데서는 좌절감을 맛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의사들은 의학적인 진단과 치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보호적 측면을 다루는 데는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의료사회복지사가 어떻게 공헌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또한 역할이 중복되는 부분에서는 영역논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는 즉각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해결하여 목적 성취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문직간의 갈등과 반목은 클라이언트의 재활을 적절히 원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행자의 직무성취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사회복지사는 의사, 간호사, 치료사, 임상심리사, 자원봉사자, 행정직원과의 조화로운 상호행동과 관계유지를 통하여 재활원조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이윤로홍영수, 2005).
참고문헌
김규수, 의료사회복지실천론. 형설출판사. 2004
엄예선, 의료사회사업가의 전문화 및 자질향상 방안. 제12차 대한의료사회사업가협회 워크샵보고서. 대한의료사회사업가 협회. 1991
오창순, 한국 종합병원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인식과 이에 대한 의료전문직의 기대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이윤로홍영수, 의료사회사업론. 학지사. 2005
한인영최현미, 의료사회사업론. 학문사. 2000
홍영수, 의료사회복지론. 신정. 2009
Hebert S. Strean, Role Theory In Francis J. Turner. Social Work Treatment. 3rd ed. 1979
Huntington, J. Social Work and General Medical Practice-Collaboration or Conflict?.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81
Janis, I. Groupthink, Psychology Today 5. 1971
Lee, Stacey, Interdisciplinary Teaming in Primary Care-A Process of Evolution and Revolution. Social Work in Health Care. 1980
Lowe, J. I. & Marjotta, H. Conflict in Teamwork-Understanding Roles and Re1ationships, Social Work in Health Care 3. 1978
Rae-Grant, Quentin A. F., & Donald, G. M., The Hazards of Teamwork, American Journal Orthopsychiatry 38. 1968
Rubin et al., Improving the Coordiantion of Care-A Program for Health Tem Development. Cambridge, Mass. Ballinger. 1975
Rubin, I. M. & Richard, B.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Health Teams.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50. 1972
의료사회복지사는 자원봉사자에게 환자와 가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원봉사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고, 의료사회복지사는 자원봉사자로부터 휴식, 오락, 말벗 등 환자와 가족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4) 외부 사회복지기관과의 협력활동
환자와 가족이 후원기관의 후원, 읍면동사무소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선정, 지역사회복지기관의 보호서비스 및 프로그램 참가 등의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의료사회복지사는 이들 기관이 필요로 하는 환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병원의 행정절차는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사회복지사는 이들 기관의 사회복지사로부터 환자와 가족이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5) 외부 의료기관과의 협력활동
의료사회복지사는 환자가 퇴원 후 부가적인 치료를 하는 경우에 외부 의료기관과 협력함으로써 환자의 퇴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외부 의료기관은 의료사회복지사로부터 환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6) 외부 관계 기관과의 협력활동
의료사회복지사는 후원기관, 신문, 방송, 인터넷 등의 대중매체 관계자들에게 환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병원의 행정절차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사회복지사는 이들 기관으로부터 후원 등 환자 가족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자원을 제공받거나 사회인식 개선활동 등을 위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5) 협의진료활동
의료사회복지사와 의료진과의 협의진료활동은 팀 협력 활동에 속하는 하나의 유형이다. 어떤 질환들은 단일한 진료과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여러 분야의 의학적 협력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어떤 환자가 암을 앓게 되면, 혈액종양내과, 외과, 방사선과 등의 의사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 때 의료사회복지사는 환자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대한 개입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기에는 임상심리사, 종교지도자 등에 의한 다학제적인 접근도 필요하게 된다.
환자에게 전인적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은 각자의 전문적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협조적인 상호작용을 할 필요가 있으므로, 의뢰서 및 회신서의 교환, 회진 참여, 회의 등을 통한 협의진료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의료사회복지사가 보건팀의 일원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일반사회복지의 지식과 기술을 넘어서야 한다. 병원 세팅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하여 어떻게 가능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을지를 파악해야 한다. 의학용어를 배워 다른 직원들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하고, 환자들에게도 그 용어를 쉽게 해석하여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다학제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이점도 있지만 단점도 있다. 새로운 지식과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문적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의료사회복지사는 질병에 대한 비의료적 요인을 다른 전문가들이 더욱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데서 만족감이 증대된다.
그러나 역할갈등을 다루는 데서는 좌절감을 맛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의사들은 의학적인 진단과 치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보호적 측면을 다루는 데는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의료사회복지사가 어떻게 공헌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또한 역할이 중복되는 부분에서는 영역논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는 즉각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해결하여 목적 성취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문직간의 갈등과 반목은 클라이언트의 재활을 적절히 원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행자의 직무성취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사회복지사는 의사, 간호사, 치료사, 임상심리사, 자원봉사자, 행정직원과의 조화로운 상호행동과 관계유지를 통하여 재활원조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이윤로홍영수, 2005).
참고문헌
김규수, 의료사회복지실천론. 형설출판사. 2004
엄예선, 의료사회사업가의 전문화 및 자질향상 방안. 제12차 대한의료사회사업가협회 워크샵보고서. 대한의료사회사업가 협회. 1991
오창순, 한국 종합병원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인식과 이에 대한 의료전문직의 기대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이윤로홍영수, 의료사회사업론. 학지사. 2005
한인영최현미, 의료사회사업론. 학문사. 2000
홍영수, 의료사회복지론. 신정. 2009
Hebert S. Strean, Role Theory In Francis J. Turner. Social Work Treatment. 3rd ed. 1979
Huntington, J. Social Work and General Medical Practice-Collaboration or Conflict?.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81
Janis, I. Groupthink, Psychology Today 5. 1971
Lee, Stacey, Interdisciplinary Teaming in Primary Care-A Process of Evolution and Revolution. Social Work in Health Care. 1980
Lowe, J. I. & Marjotta, H. Conflict in Teamwork-Understanding Roles and Re1ationships, Social Work in Health Care 3. 1978
Rae-Grant, Quentin A. F., & Donald, G. M., The Hazards of Teamwork, American Journal Orthopsychiatry 38. 1968
Rubin et al., Improving the Coordiantion of Care-A Program for Health Tem Development. Cambridge, Mass. Ballinger. 1975
Rubin, I. M. & Richard, B.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Health Teams.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50. 1972
추천자료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2007년 의료사회사업의 의의와 기능, 의료사회사업사의 역할, 전망 레포트
2007년 의료사회사업의 의의와 기능, 의료사회사업사의 역할, 전망 레포트
의료사회사업,당뇨환자와 가족을 위한 개입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 보고서,의료사회복지 당뇨
(의료사회사업론) 퇴원계획과 관련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보고서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국내 의료관광 현황, 유치업체의 경영 효율성 분석, 현황, 유치업체의 역할, 변화, 특징, 현...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방법
의료사회복지실천에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하여
[한국의 사회보장제도]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 - 국민건강보험(건강보험제도의 특성, 건강보...
[의료사회사업] 의료사회사업의 정의와 과제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분야별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자격요건]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의료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