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복지의 개념과 접근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사회복지의 개념과 접근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2.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3.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과정
4. 한국의 학교사회복지

본문내용

학교사회복
지사는 변화를 지향하는 조직가, 지도자, 촉매자로서 시스템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
학교사회복지사는 시스템 변화 전문가(system change specialist)로서
학교 시스템의 개선을 위해 학교나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결함과 잠복해 있거나 서비스
사각지대에 놓인 인구 집단을 외부로 드러나게 만들고, 학생을 학교에 돌아오게 만들거나
청소년 비행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새로이 개발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리고 학
교사회복지사는 제도 변화 에이전트(institutional change agent)로서 기존의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전통적 학교사회복지사는 학생을 학교에 적응하도
록 돕거나, 학습 기회를 잘 활용하도록 돕거나, 학생의 행동이나 부모-자녀 관계를 수정
하는 역할을 했으나 시스템 변화 전문가로서 학교사회복지사는 시스템에 스트레스를 주
는 부분을 찾아내어 시스템 균형이 다시 회복되도록 만드는 역할을 수행한다.
3.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과정
학교사회복지실천과정은 ① 초기과정, ② 사정과정, ③ 수행과정 그리고 ④ 평가 및 종결
과정으로 구분한다.
1) 초기과정
1)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승인 획득 및 초기관계 형성 단계
2)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체계에 대한 자료수집단계
3) 학교사회복지 계획을 설정하는 계약단계
초기과정에서는 ① 학교영역과 관련된 철학, ② 학교의 외부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지역사
회의 일반적인 현황과 지역사회내의 역동성, ③ 학교의 물리적 상황과 학교의 욕구와 자
원, ④ 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그리고 ⑤ 학생의 특성에 대한 이해, ⑥ 예상되는 장
4. 한국의 학교사회복지
- 학교사회복지실천은 1900년대 초 미국의 방문교사에 뿌리를 두고 있다. 방문교사란 학
교의무출석법의 제정과 함께 이민 온 사람들의 자녀들을 학교에 출석하도록 독려하기
위해 가정방문을 한 인보관 소속 사회복지사들을 말한다.
- 우리나라는 아직 학교사회복지실천이 제도화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부
터 학생들의 집단따돌림과 학교폭력이 사회문제로 부상하면서 선진국형(미국식) 해결
책인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으며, 그에 따라 시범사업이 여러 차례 진
행되었으며, 현재도 진행 중이다.
- 한국의 학교사회복지의 과제
첫째,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의 연계망 활용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사회복지의 확대를 위해서는 학교장, 교감, 교사와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사회복지학개론. 이정서,김상철,박성택 공저. 유풍. 2002
사회복지개론. 김상균. 나남. 20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제너럴리스트 실천 접근= Skills and techniques for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조휘일. 학현사. 2005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에 관한 연구. 오혜경. 카톨릭대학교사회복지연구소.
현대사회보장론, 김영모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9.13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72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