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
1. 박정희를 다시 이야기하고자 하는 이유
2. 박정희의 등장, 5.16
3. 박정희와 경제성장
4. 민주주의와 박정희
5. 박정희의 평가가 극단으로 엇갈리는 이유
6. 박정희를 어떻게 평가하여야 할 것인가?
7. 결론
<참고문헌>
1. 박정희를 다시 이야기하고자 하는 이유
2. 박정희의 등장, 5.16
3. 박정희와 경제성장
4. 민주주의와 박정희
5. 박정희의 평가가 극단으로 엇갈리는 이유
6. 박정희를 어떻게 평가하여야 할 것인가?
7.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지금까지 박정희를 평가하는데 있어 하나의 수학공식처럼 표현하고자 했던 거 같다. 그러나 ‘유신체제 = 민주주의의 후퇴’ , ‘경제성장 = 박정희 정권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 등과 같은 표현방식은 박정희의 평가를 더더욱 극단적으로 몰아가고 있다. 과연 우리는 박정희를 어떻게 평가하여야 할 것인가?
박정희를 평가하는데 있어 이제는 경제성장과 민주주의의 후퇴 사이에 발생하는 가치 차이를 두고 어느 한쪽을 지지하기보다는 두 가치를 모두 수용하고 박정희라는 인물이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무엇을 남겼는지, 또한 그가 혁명, 또는 쿠데타를 일으킨 군인이기 전에 한 나라의 대통령으로서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어떠한 정치를 펼쳤는지에 대해 더 주목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5.16을 통해 등장한 군인이었지만 한 나라의 대통령이었고 경제성장과 민주주의의 후퇴를 동시에 만들어냈지만 그가 다른 분야를 모두 포기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덧붙어 우리는 그 당시 박정희가 남긴 많은 것들이 현대에도 그대로 남아 우리의 삶 속에 살아 숨쉬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제는 박정희를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후퇴라는 이분법적인 사고 안에서 평가하기 보다는 보다 넓은 시야에서 그를 재평가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좁게는 박정희를 재조명해보고 넓게는 한국 현대사의 흐름까지도 다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7. 결론
☞ 우리는 지금까지 박정희와 관련된 사건에 주목하기 보다는 그에 대한 평가에 주목하고자 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우리는 지금까지 박정희를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후퇴라는 이분법적인 사고 안에서 평가하고자 했던 거 같다. 이제부터라도 박정희를 바라볼 때 넓은 시각에서 바라보고 그에 대한 재평가가 좀 더 진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 현대사를 가르친다는 것은 아이들에게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길러주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우리 교육현장에서 한국 현대사는 너무나도 소극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6차 교육과정에서 한국 현대사는 국사 교과서 뒷부분에 실려 있어 학교 수업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고 7차 교육과정부터 한국 근 현대사라는 이름으로 현대사를 가르치고 있지만 그 내용 역시 매우 소극적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이라는 말처럼 과거 선조들의 역사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과거 역사에 너무 얽매여 현대 역사를 바라보지 못한다면 그가 가진 역사의 눈은 급속히 변화하는 현대의 흐름 속에 매장당할 것이다. 미래를 이끌어나갈 아이들에게 현실을 올바르게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길러주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현대사를 집중적으로 가르쳐야 하며 아직까지도 평가가 극단적으로 엇갈리고 있는 박정희에 대해서부터라도 보다 진지하고 치밀하게 재평가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 이병천, 주) 창비
* 대한민국 50년사 1. (건국에서 제 3공화국까지)
- 임영태, 들녘
* 비극의 현대지도자 (그들은 민족주의자인가, 반민족주의자인가) - 서중석,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박정희를 평가하는데 있어 이제는 경제성장과 민주주의의 후퇴 사이에 발생하는 가치 차이를 두고 어느 한쪽을 지지하기보다는 두 가치를 모두 수용하고 박정희라는 인물이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무엇을 남겼는지, 또한 그가 혁명, 또는 쿠데타를 일으킨 군인이기 전에 한 나라의 대통령으로서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어떠한 정치를 펼쳤는지에 대해 더 주목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5.16을 통해 등장한 군인이었지만 한 나라의 대통령이었고 경제성장과 민주주의의 후퇴를 동시에 만들어냈지만 그가 다른 분야를 모두 포기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덧붙어 우리는 그 당시 박정희가 남긴 많은 것들이 현대에도 그대로 남아 우리의 삶 속에 살아 숨쉬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제는 박정희를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후퇴라는 이분법적인 사고 안에서 평가하기 보다는 보다 넓은 시야에서 그를 재평가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좁게는 박정희를 재조명해보고 넓게는 한국 현대사의 흐름까지도 다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7. 결론
☞ 우리는 지금까지 박정희와 관련된 사건에 주목하기 보다는 그에 대한 평가에 주목하고자 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우리는 지금까지 박정희를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후퇴라는 이분법적인 사고 안에서 평가하고자 했던 거 같다. 이제부터라도 박정희를 바라볼 때 넓은 시각에서 바라보고 그에 대한 재평가가 좀 더 진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 현대사를 가르친다는 것은 아이들에게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길러주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우리 교육현장에서 한국 현대사는 너무나도 소극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6차 교육과정에서 한국 현대사는 국사 교과서 뒷부분에 실려 있어 학교 수업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고 7차 교육과정부터 한국 근 현대사라는 이름으로 현대사를 가르치고 있지만 그 내용 역시 매우 소극적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이라는 말처럼 과거 선조들의 역사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과거 역사에 너무 얽매여 현대 역사를 바라보지 못한다면 그가 가진 역사의 눈은 급속히 변화하는 현대의 흐름 속에 매장당할 것이다. 미래를 이끌어나갈 아이들에게 현실을 올바르게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길러주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현대사를 집중적으로 가르쳐야 하며 아직까지도 평가가 극단적으로 엇갈리고 있는 박정희에 대해서부터라도 보다 진지하고 치밀하게 재평가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 이병천, 주) 창비
* 대한민국 50년사 1. (건국에서 제 3공화국까지)
- 임영태, 들녘
* 비극의 현대지도자 (그들은 민족주의자인가, 반민족주의자인가) - 서중석,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추천자료
'북한의 정치 체제'에 관한 보고서
사회주의 체제의 변화와 북한의 변화
한국과 대만의 자유주의 체제하에서의 민주화
남북한 정치체제와 권력구조 비교
북한을 유지하는 수단인 유일체제와 북한의 형성과정
탈냉전시대 통일환경의 변화와 남북한 평화체제 및 통일노력
독일과 일본의 행정체제를 비교설명하시오.
체코슬로바키아와 유고슬라비아의 체제전환 연구
개발도상국의 행정체제
개발도상국의 행정체제
김정일의 사망을 통해본 북한체제의 몇 가지 변동예상시나리오와 우리의 대책
[북한의사회와경제]북한체제(경제)의 구조적 특징과 실상 및 생존전략
북한정부와 중국정부의 정치제도 중심으로 행정체제를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