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선정 이유
2. 영화의 줄거리
3. 공황장애
4. 오이디푸스콤플렉스
*참고문헌
2. 영화의 줄거리
3. 공황장애
4. 오이디푸스콤플렉스
*참고문헌
본문내용
E.프롬은 부친의 권위가 강하지 않은 사회에서는 이러한 콤플렉스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고, K.호르나이는 양친에 대한 의존 욕구와 적의의 갈등에서 생긴 불안이 원인이 되어 이 콤플렉스가 생긴다고 주장하였다.
(3)영화 속 오이디푸스콤플렉스
영화 속에서 폴 비티가 발기부진을 호소하는 장면이 몇 차례 등장하는 데, 이것은 아버지의 죽음을 막지 못하여 아버지가 자신을 처벌하려 한다는 두려움의 상징적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영화 속에서 벤 소볼이 이 개념을 설명해 주자 폴 비티가 “내가 엄마와 자고 싶어 한다고?” 하며 질색을 하고, 그 얘기 때문에 “엄마에게 전화 걸기가 겁나”라고 하는 장면이 관객들의 웃음을 자아내는데, 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무의식을 전제로 한 개념이다. 자신의 남근을 지키려는 욕망으로 인해 남아는 어머니를 포기하고 아버지에게 밀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아버지와의 동일시를 통해 남아는 남자로서 성장하게 된다. 그러니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모든 남아가 건강한 남자로 성장하기 위해서 반드시 극복해야 되는 심리인 것이다.
벤 소볼의 아버지가 정신과 의사로 설정된 것도 우연이 아니다. 남자들이 갖고 있는 아버지와의 경쟁심리, 즉 오이디푸스콤플렉스의 근원인 어머니의 사랑은 체격, 육체적 힘, 사회적 성취 등 다양한 형태로 대체된다. 영화 속에서 벤 소볼은 같은 정신과 의사인 아버지와 끊임없이 경쟁하는 관계이다. 벤 소볼의 아버지가 출간한 심리치료 책에 대해 ‘벤이 샘이 나서 그 책을 읽지 않을 것이라’는 대사를 통해 이러한 관계를 엿볼 수 있다. 벤 소볼의 아버지는 그보다 체격이 크고 활기차고 능력도 더 많은 듯 보인다. 영화 전반부에서 벤 소볼은 다소 소심하고 위축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는 아직 아버지를 극복하지 못한 듯 보인다. 그러나 폴 비티를 치료하는 과정을 통해 벤 소볼 또한 오이디푸스콤플렉스를 극복하게 되고, 영화 종반에서의 벤 소볼의 모습은 훨씬 당당하고 자신 있는 모습으로 바뀌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심리치료란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적인 것이며, 내담자와 상담가의 인격이 총체적으로 만나 서로가 질적으로 변해가는 과정임을 영화가 보여준다.
(4)해결방안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기에 있는 5,6세경의 어린이에게 중요한 것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욕망을 얼마나 이해해주고, 어린이의 심리적인 생식기의 현상을 어떻게 부모가 애정 있게 보호해주고 해결해 주느냐 하는 점이다. 즉, 본능적인 욕망이 솟아나는 어린이의 생식기에는 그들에게 ‘성’ 역할을 인식시키고 조화된 부부의 사랑으로 남, 녀의 전형을 보여주면서 어린이로 하여금 안정된 ‘자아’를 갖도록 해줘야 한다. 그렇게 하지 못하고 소외되어 사랑이 결핍된다면 그 어린이는 신경질적인 모습을 띠게 된다.
어린이의 ‘자아’는 그가 받은 사랑만큼 성숙하게 된다. 사랑을 받지 못한 어린이는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불만과 피해의식, 공격성을 드러내며 부모를 무의식적으로 거부하게 된다. 또한 사랑 받지 못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어린이에게 안정감을 주지 못하고 자기를 동일시 할 수 있는 대상을 찾을 수 없도록 한다. 그러므로 부모는 4~6세 유아기 아동의 이유 없는 반항을 이해해주고 사랑으로 보듬어 주어야 한다.
*참고문헌
1. 영화와 사회복지 <한국여성복지연구회 / 청목출판사 / 2006>
2. 블로그 (http://blog.naver.com/goldbox1004/100041449346)
3. 메타인지행동치료연구소
4.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이무석/ 이유 / 2004>
5.공황장애의 인지행동치료 <데이빗 바로우, 미셸 크라스크 / 최병휘, 최영희 / 시 그마프레스 / 2006>
(3)영화 속 오이디푸스콤플렉스
영화 속에서 폴 비티가 발기부진을 호소하는 장면이 몇 차례 등장하는 데, 이것은 아버지의 죽음을 막지 못하여 아버지가 자신을 처벌하려 한다는 두려움의 상징적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영화 속에서 벤 소볼이 이 개념을 설명해 주자 폴 비티가 “내가 엄마와 자고 싶어 한다고?” 하며 질색을 하고, 그 얘기 때문에 “엄마에게 전화 걸기가 겁나”라고 하는 장면이 관객들의 웃음을 자아내는데, 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무의식을 전제로 한 개념이다. 자신의 남근을 지키려는 욕망으로 인해 남아는 어머니를 포기하고 아버지에게 밀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아버지와의 동일시를 통해 남아는 남자로서 성장하게 된다. 그러니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모든 남아가 건강한 남자로 성장하기 위해서 반드시 극복해야 되는 심리인 것이다.
벤 소볼의 아버지가 정신과 의사로 설정된 것도 우연이 아니다. 남자들이 갖고 있는 아버지와의 경쟁심리, 즉 오이디푸스콤플렉스의 근원인 어머니의 사랑은 체격, 육체적 힘, 사회적 성취 등 다양한 형태로 대체된다. 영화 속에서 벤 소볼은 같은 정신과 의사인 아버지와 끊임없이 경쟁하는 관계이다. 벤 소볼의 아버지가 출간한 심리치료 책에 대해 ‘벤이 샘이 나서 그 책을 읽지 않을 것이라’는 대사를 통해 이러한 관계를 엿볼 수 있다. 벤 소볼의 아버지는 그보다 체격이 크고 활기차고 능력도 더 많은 듯 보인다. 영화 전반부에서 벤 소볼은 다소 소심하고 위축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는 아직 아버지를 극복하지 못한 듯 보인다. 그러나 폴 비티를 치료하는 과정을 통해 벤 소볼 또한 오이디푸스콤플렉스를 극복하게 되고, 영화 종반에서의 벤 소볼의 모습은 훨씬 당당하고 자신 있는 모습으로 바뀌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심리치료란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적인 것이며, 내담자와 상담가의 인격이 총체적으로 만나 서로가 질적으로 변해가는 과정임을 영화가 보여준다.
(4)해결방안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기에 있는 5,6세경의 어린이에게 중요한 것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욕망을 얼마나 이해해주고, 어린이의 심리적인 생식기의 현상을 어떻게 부모가 애정 있게 보호해주고 해결해 주느냐 하는 점이다. 즉, 본능적인 욕망이 솟아나는 어린이의 생식기에는 그들에게 ‘성’ 역할을 인식시키고 조화된 부부의 사랑으로 남, 녀의 전형을 보여주면서 어린이로 하여금 안정된 ‘자아’를 갖도록 해줘야 한다. 그렇게 하지 못하고 소외되어 사랑이 결핍된다면 그 어린이는 신경질적인 모습을 띠게 된다.
어린이의 ‘자아’는 그가 받은 사랑만큼 성숙하게 된다. 사랑을 받지 못한 어린이는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불만과 피해의식, 공격성을 드러내며 부모를 무의식적으로 거부하게 된다. 또한 사랑 받지 못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어린이에게 안정감을 주지 못하고 자기를 동일시 할 수 있는 대상을 찾을 수 없도록 한다. 그러므로 부모는 4~6세 유아기 아동의 이유 없는 반항을 이해해주고 사랑으로 보듬어 주어야 한다.
*참고문헌
1. 영화와 사회복지 <한국여성복지연구회 / 청목출판사 / 2006>
2. 블로그 (http://blog.naver.com/goldbox1004/100041449346)
3. 메타인지행동치료연구소
4.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이무석/ 이유 / 2004>
5.공황장애의 인지행동치료 <데이빗 바로우, 미셸 크라스크 / 최병휘, 최영희 / 시 그마프레스 / 2006>
추천자료
어둠속의 댄서(Dancer In The Dark)를 보고_장애인 관련 영화
영화속에서 나타난 성격장애
섭식장애(영화 301 302)정신역동분석
[지적장애][지적장애아동][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교육]정신지체아의 특성, 발달가능성을 통...
영화속 장애인에 대하여
정신지체아동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그리기활동, 정신지체아 자기표현력향상 그리기활동, 소...
[영화관 건축][공연장 건축][월드컵경기장 건축][주차장 건축][장애인복지시설 건축][도서관 ...
지적장애 영화 - 포레스트 검프를 보고 감상문 및 분석
영화`도가니`속의 장애아동을 보고 특수교육시설및 장애인 생활시설내의 성폭력 문제를 해결...
영화 아메리칸 싸이코(American Psycho)와 자기애성 성격장애 - 영화 속 성격장애, 성격장애 ...
[영화映&#30059; 지구를 지켜라 속 심리장애] 지구를 지켜라 줄거리, 지구를 지켜라 심리...
도가니 감상문 및 분석 (도가니 영화감상문, 도가니 감상문, 도가니 줄거리, 도가니 독후감 ...
TV나 영화 혹은 동화 등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들 가운데 부적응적 성격장애의 특성들을 보이는...
영화 ‘허브’를 보며 생각한 정신지체 장애인들의 사랑과 연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