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3) 문 헌 고 찰
(4) 진단적 검사
(5) 외과적 치료
(6) 간 호 진 단
(7) 결론 및 제언
(8) 참 고 문 헌
(2) 본 론
(3) 문 헌 고 찰
(4) 진단적 검사
(5) 외과적 치료
(6) 간 호 진 단
(7) 결론 및 제언
(8)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혈청 칼륨농도의 저하
등의 증상 발생
상품명
움카민 시럽 1ml Umckamin syrup
성분명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추출액 Pelargonium sidoides
판매사명
한화/유유제약 (53원/1ml)
제품성상
플라스틱병 또는 알루미늄호일 파우치에 든 체리향이 있는 황갈색 내지 엷은 갈색의 시럽제
용법/용량
성인 및 12세 이상 : 1회 6~9mL, 1일 3회
6세 이상~12세미만 : 1회 3~6mL, 1일 3회
6세 미만 : 1회 1.5~3mL, 1일 3회
식전 30분에경구 복용한다.
증상이 완화된 후에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일동안 투여를 지속하는 것이 좋다.
적응증
급성ㆍ만성 감염증, 특히 기관지염, 부비강염, 편도염, 비인두염 등의 호흡기계 및 이비인후 부위의 감염증
부작용
위통, 속쓰림, 구역, 설사와 같은 위장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5. 외과적 치료 (수술전 후 간호/수술방법 및 과정)
: 특이한 외과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음.
6. 간호진단
사 정
주관적 자료
“애기가 몸부림을 많이 쳐요.”
“몸부림 때문에 자다가 떨어질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2006년생, 키 : 102.6cm ,체중 : 16.6kg 인 대상자
간호진단
1. 발달 연령상의 요인으로 인한 낙상 위험성
간호계획
목표
대상자는 병원에 입원하는 기간 동안 잠을 자면서 침대에서 낙상하지 않는다.
계획
1. 낙상 과거력에 대해 조사할 것이다.
2. 낙상의 위험과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할 것이다.
3. side rail을 올리고 올린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4. side rail을 덮을 cover를 씌워줄것이다.
5. 보호자에게 야간의 적절한 조명을 켜는 방법을 교육할것이다.
6. 대상자 곁에 보호자가 있어야함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중재
1. 낙상과거력을 조사하였다.
2. 낙상의 위험과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하였다.
3. side rail을 올리고 올린 상태를 유지하였다.
4. side rail을 덮을 cover를 씌워주었다.
5. 야간에 적절한 조명을 켤수 있도록 스위치위치를 교육하였다.
6. 대상자 곁에 보호자가 있어야함의 필요성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평가
입원기간동안 side rail을 올린상태로 계속 유지하였다.
사 정
주관적 자료
"우리 아기 열 있는 것 같은데 열 좀 재주세요"
"해열제 좀 주세요"
객관적 자료
- 고막체온계로 체온이 37.6℃ 이다.
- 만져 보았을 때 땀이 나있고, 열감이 있다.
간호진단
2. 감염과 관련된 체온상승의 위험성
간호계획
목표
- 대상자는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 할 것이다
- 대상자는 고체온의 징후나 증상이 없을 것이다.
계획
- 고열로 인한 탈수 방지를 위해 IV line을 통한수분섭취를 제공한다.
- 체온을 1시간 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체크할것이다.
- 오한이 없다면 미온수로 닦아주고 신체부위를 노출시킬 것이다
- 열이 내리지 않는다면 처방에 따른 해열제를 먹이도록 할 것이다.
- 해열제 투여 이후 체온을 측정 할 것이다.
중재
- 고열로 인한 탈수 방지를 위해 IV line을 통한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 v/s을 1시간 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체크한다.
- 오한이 없다면 미온수로 닦아주고 신체부위를 노출 시킨다.
- 열이 내리지 않는다면 처방에 따른 해열제를 먹도록 한다.
- 해열제 투여 이후 체온을 측정 한다.
평가
- 10월25일 38.2℃ 였던 체온이 10월 26일 37.3℃로 정상범위가 되었다.
- 열감이 없어지고 고체온의 별다른 징후나 증상이 없다.
사 정
주관적 자료
-“밥 먹기 싫어!!!"
-“목의 통증때문인가..애기가 식사를 많이 못해요”라고 어머니가 호소.
객관적 자료
- 무기력하게 있는것을 관찰.
- 잘놀던 주위 아이들과 잘 놀지않음.
간호진단
3. 연하곤란과 관련된 잠재성 영양결핍
간호계획
목표
- 체중이 감소되지 않는다.
- 체중이 정상범위이다.
- 연하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증이 감소한다.
계획
- 음식을 삼킬때 통증이 덜하는 음식을 제공한다
- 영양상태를 사정할것이다.
- 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할것이다.
-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할것이다.
- 혈중 전해질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 음식물의 섭취가 신체 요구량에 못미칠 경우 전해질 불균형과 질소불균 형이 나타나기때문.
- 식욕을 증진시키는 환경을 제공한다.
- 구강위생을 실시한다.
⇒ 구강위생은 미각을 증진시키고 염증을 예방한다.
중재
- 우선 유동식을 제공하여 대상자가 통증을 덜하게끔 하였다.
- 현재 섭취하는 음식을 조사하여 영양상태를 평가했다.
- 매일 같은 시간에 체증을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외모로 판단하였다.
-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했다.
- 혈중 전해질 검사결과를 확인해본 결과 정상이였다.
- 식욕을 증진시키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식사시간에 티비를 끄게 하고 주위를 청결하게 하였다.
- 구강위생을 위하여 식사 후에 양치를 하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체중이 더 이상 감소되지 않고 주어진 식사량을 모두 섭취하고 있다.
7. 결론 및 제언
아동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인 급성 인두편도염을 조사함으로써 질병에 대해 조사하고 진단도 내려보고 간호계획을 세워보고 중재 해 봄으로써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보통 감기 와 동반되어 오고 감기가 2주이상 지속되면 편도선염을 의심해 볼 수 있으므로 감기를 예방하고 감기에 걸렸을 시 빠른 치료를 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임상 간호사가 되면 이번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아동을 관찰하고 중재하여 아동의 정상 성장 발달을 도모하여야겠다.
8. 참고문헌
-김미예 외(2005). 아동간호학. 수문사
-김조자 외(2006).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대한간호협회
-서문자 외(2005). 성인 간호학. 수문사.
-http://blog.naver.com/zhangse74/50004836036
-씨그마학회편,최신임상간호메뉴얼,서울,현문사,1997. 1821-1830P
김미예외,아동간호학각론,서울,현문사,1999.
-고성희외, 간호과정의 이해, 서울, 현문사,2002.
-서울대학교병원편,간호진단과 계획,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1995.
-최정신편역,간호진단과 이론적근거,서울,현문사,1997.
등의 증상 발생
상품명
움카민 시럽 1ml Umckamin syrup
성분명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추출액 Pelargonium sidoides
판매사명
한화/유유제약 (53원/1ml)
제품성상
플라스틱병 또는 알루미늄호일 파우치에 든 체리향이 있는 황갈색 내지 엷은 갈색의 시럽제
용법/용량
성인 및 12세 이상 : 1회 6~9mL, 1일 3회
6세 이상~12세미만 : 1회 3~6mL, 1일 3회
6세 미만 : 1회 1.5~3mL, 1일 3회
식전 30분에경구 복용한다.
증상이 완화된 후에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일동안 투여를 지속하는 것이 좋다.
적응증
급성ㆍ만성 감염증, 특히 기관지염, 부비강염, 편도염, 비인두염 등의 호흡기계 및 이비인후 부위의 감염증
부작용
위통, 속쓰림, 구역, 설사와 같은 위장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5. 외과적 치료 (수술전 후 간호/수술방법 및 과정)
: 특이한 외과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음.
6. 간호진단
사 정
주관적 자료
“애기가 몸부림을 많이 쳐요.”
“몸부림 때문에 자다가 떨어질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2006년생, 키 : 102.6cm ,체중 : 16.6kg 인 대상자
간호진단
1. 발달 연령상의 요인으로 인한 낙상 위험성
간호계획
목표
대상자는 병원에 입원하는 기간 동안 잠을 자면서 침대에서 낙상하지 않는다.
계획
1. 낙상 과거력에 대해 조사할 것이다.
2. 낙상의 위험과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할 것이다.
3. side rail을 올리고 올린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4. side rail을 덮을 cover를 씌워줄것이다.
5. 보호자에게 야간의 적절한 조명을 켜는 방법을 교육할것이다.
6. 대상자 곁에 보호자가 있어야함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중재
1. 낙상과거력을 조사하였다.
2. 낙상의 위험과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하였다.
3. side rail을 올리고 올린 상태를 유지하였다.
4. side rail을 덮을 cover를 씌워주었다.
5. 야간에 적절한 조명을 켤수 있도록 스위치위치를 교육하였다.
6. 대상자 곁에 보호자가 있어야함의 필요성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평가
입원기간동안 side rail을 올린상태로 계속 유지하였다.
사 정
주관적 자료
"우리 아기 열 있는 것 같은데 열 좀 재주세요"
"해열제 좀 주세요"
객관적 자료
- 고막체온계로 체온이 37.6℃ 이다.
- 만져 보았을 때 땀이 나있고, 열감이 있다.
간호진단
2. 감염과 관련된 체온상승의 위험성
간호계획
목표
- 대상자는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 할 것이다
- 대상자는 고체온의 징후나 증상이 없을 것이다.
계획
- 고열로 인한 탈수 방지를 위해 IV line을 통한수분섭취를 제공한다.
- 체온을 1시간 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체크할것이다.
- 오한이 없다면 미온수로 닦아주고 신체부위를 노출시킬 것이다
- 열이 내리지 않는다면 처방에 따른 해열제를 먹이도록 할 것이다.
- 해열제 투여 이후 체온을 측정 할 것이다.
중재
- 고열로 인한 탈수 방지를 위해 IV line을 통한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 v/s을 1시간 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체크한다.
- 오한이 없다면 미온수로 닦아주고 신체부위를 노출 시킨다.
- 열이 내리지 않는다면 처방에 따른 해열제를 먹도록 한다.
- 해열제 투여 이후 체온을 측정 한다.
평가
- 10월25일 38.2℃ 였던 체온이 10월 26일 37.3℃로 정상범위가 되었다.
- 열감이 없어지고 고체온의 별다른 징후나 증상이 없다.
사 정
주관적 자료
-“밥 먹기 싫어!!!"
-“목의 통증때문인가..애기가 식사를 많이 못해요”라고 어머니가 호소.
객관적 자료
- 무기력하게 있는것을 관찰.
- 잘놀던 주위 아이들과 잘 놀지않음.
간호진단
3. 연하곤란과 관련된 잠재성 영양결핍
간호계획
목표
- 체중이 감소되지 않는다.
- 체중이 정상범위이다.
- 연하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증이 감소한다.
계획
- 음식을 삼킬때 통증이 덜하는 음식을 제공한다
- 영양상태를 사정할것이다.
- 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할것이다.
-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할것이다.
- 혈중 전해질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 음식물의 섭취가 신체 요구량에 못미칠 경우 전해질 불균형과 질소불균 형이 나타나기때문.
- 식욕을 증진시키는 환경을 제공한다.
- 구강위생을 실시한다.
⇒ 구강위생은 미각을 증진시키고 염증을 예방한다.
중재
- 우선 유동식을 제공하여 대상자가 통증을 덜하게끔 하였다.
- 현재 섭취하는 음식을 조사하여 영양상태를 평가했다.
- 매일 같은 시간에 체증을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외모로 판단하였다.
-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했다.
- 혈중 전해질 검사결과를 확인해본 결과 정상이였다.
- 식욕을 증진시키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식사시간에 티비를 끄게 하고 주위를 청결하게 하였다.
- 구강위생을 위하여 식사 후에 양치를 하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체중이 더 이상 감소되지 않고 주어진 식사량을 모두 섭취하고 있다.
7. 결론 및 제언
아동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인 급성 인두편도염을 조사함으로써 질병에 대해 조사하고 진단도 내려보고 간호계획을 세워보고 중재 해 봄으로써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보통 감기 와 동반되어 오고 감기가 2주이상 지속되면 편도선염을 의심해 볼 수 있으므로 감기를 예방하고 감기에 걸렸을 시 빠른 치료를 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임상 간호사가 되면 이번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아동을 관찰하고 중재하여 아동의 정상 성장 발달을 도모하여야겠다.
8. 참고문헌
-김미예 외(2005). 아동간호학. 수문사
-김조자 외(2006).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대한간호협회
-서문자 외(2005). 성인 간호학. 수문사.
-http://blog.naver.com/zhangse74/50004836036
-씨그마학회편,최신임상간호메뉴얼,서울,현문사,1997. 1821-1830P
김미예외,아동간호학각론,서울,현문사,1999.
-고성희외, 간호과정의 이해, 서울, 현문사,2002.
-서울대학교병원편,간호진단과 계획,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1995.
-최정신편역,간호진단과 이론적근거,서울,현문사,1997.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실습컨퍼-AGE: Acute Gastroenteritis
[아동간호학 케이스]급성 기관지염(Acute bronchitis)
아동 케이스 / Acute Bronchiolitis / 급성 기관지염 / 급성 세기관지염
아동 AGE ; acute gastroenteritis (급성위장염)
(아동)AGE(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case study
급성 인두 편도선염 (acute pharyngeal tonsillitis) 환아의 사례연구
아동 간호학- 실습 케이스 레포트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아동간호학 소아과 사례연구 AGE(acute gastroenterit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