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관련산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금속관련산업 1
1-1. 철강산업 1
1) 현 황 1
2) 주요시책 2
3) 전 망 2
1-2. 비철금속산업 3
1) 현 황 3
2) 주요시책 5
1-3. 철도차량산업 6
1) 현 황 6
2) 주요시책 7
3) 철도차량산업의 발전방향 9
1-4. 일반기계산업 10
1) 일반기계산업의 개념과 특징 10
2) 일반기계산업의 수급현황 11
3) 일반기계산업의 국제적 위상 11
4) 일반기계산업의 발전과정 12
5) 주요시책 12
6) 전 망 13
1-5. 공작기계산업 14
1) 공작기계산업 실적 및 전망 14

본문내용

.4
215
-38.6
252
37.8
프레스
270
19.3
172
-36.0
201
65.4
3대품목 합계
1,313
4.4
697
-46.9
721
31.8
자료 : 당사(재편집)
○ 지역별로는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수출이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내며 전체 수출을 견인하였으나, 독일, 이탈리아 등 서유럽과 미국 수출은 타지역에 비해 회복세가 다소 부진
<표> 지역별 공작기계 수출
(단위 : 백만불)
지역
아시아
유럽
미국
수출액
945.4
176.7
116.2
증감률(%)
(64.4)
(22.7)
(-11.2)
비중(%)
(71.1)
(13.3)
(8.7)
자료 : 한국산업정보원
○ 특히, 중국 수출은 ‘02년에서 ‘09년까지 8년연속 수출 1위를 차지하여 여전히 높은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바탕으로 ’10년에도 전년동기대비 52.6%나 증가
-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8년 26.3%, 2009년 40.8%에서 2010년 44.1%로 증가하며 2년연속 40% 이상 차지
<표> 국가별 공작기계 수출현황
(단위 : 백만불, %)
구분
중국
미국
인도
독일
터키

(기타포함)
금액
586.1
116.2
90.8
37.4
31.7
1,329.8
비중
44.1
8.7
6.8
2.8
2.4
100
전년동기대비
52.6
-11.2
131.0
-25.8
95.9
44.1
자료 : 관세청
다. 수 입
○ 자동차 업종을 비롯한 국내 제조업 설비투자 증가로 엔고현상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19.2% 증가한 13.5억 불 예상
<표> 공작기계 수입추이
(단위 : 백만불, %)
구분
‘05
‘06
‘07
‘08
‘09
‘10
수입액
1,101
1,298
1,351
1,334
1,133
1,350
증가율
19.2%
17.9%
4.1%
-1.3%
-15.1%
19.2%
자료 : 당사(재편집)
○ 품목별로는 머시닝센터 수입이 전년동기대비 85.0% 증가하며 가장 큰 폭의 증가를 보였으며, 연삭기(NC포함)도 35.2% 증가
<표> 품목별 공작기계 수입현황
(단위 : 백만불, %)
구분
‘08년
증감률
‘09년
증감률
‘10년
증감률
NC선반
145
38.1
137
-5.0
134
26.8
머시닝센터
256
-5.3
133
-47.9
203
85.0
프레스
69
-16.1
75
9.6
69
5.9
3대품목 합계
470
2.7
346
-26.2
407
44.6
자료 : 관세청
○ 지역별로는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수입이 총 수입의 55.1%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냄
- 유럽의 수입비중은 32.7%, 미국은 5.0% 각각 차지
○ 특히 일본 지역의 수입이 전체 수입의 48.6%를 차지하여, 전년동기대비 62.5% 증가
- 독일로부터 수입은 6.8% 증가했으나, 이탈리아 지역은 37.0% 감소
<표> 국가별 공작기계 수입현황
(단위 : 백만불, %)
구분
일본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중국

(기타포함)
금액
554.5
212.6
73.9
37.9
45.4
1,141.8
비중
48.6
18.6
6.5
3.3
4.0
100
전년동기대비
42.5
6.8
16.8
-37.0
-13.9
30.4
○ 무역수지는 ‘05년 이후 6년연속 흑자로 ’10년 무역흑자 규모는 2.5억불로 ‘09년(0.8억불) 보다 216% 증가
<표> 공작기계 무역수지
(단위 : 백만불)
구분
‘05
‘06
‘07
‘08
‘09
‘10
무역수지
14
127
465
576
79
250
라. 내 수
○ 2010년도 공작기계 내수는 생산, 수출, 수입이 모두 두 자리수 증가해 전년대비 42.8% 증가한 4조 7,105억원 규모 예상
<표> 우리나라 공작기계 수급동향
년도
생산(억원)
수출(백만불)
수입(백만불)
내수(억원)
2010
50,000
1,600
1,350
47,105
2009
34,000
1,212
1,133
32,992
2008
48,310
1,910
1,334
41,945
2007
44,738
1,816
1,351
40,418
자료 : 통계청, 관세청
(3) 2011년도 전망
○ 2011년도 우리나라 공작기계 산업은 금년보다 성장세는 다소 둔화될 것이나, 전반적인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자동차, 전기 전자 업종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하반기 해외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어, 내수 및 수출 성장세 지속할 것으로 전망
가. 생 산
○ 2011년도 공작기계 생산은 금년 수주물량이 11년 상반기까지 이어지고, 하반기에는 해외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금년대비 8% 증가한 5조 4,000억원 규모 전망
○ ‘11년 설비투자는 ’10년 23.9%의 증가에서 7.2%로 증가폭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반도체 등의 수요산업 생산도 한 자리수 증가
나. 수 출
○ 수출은 중국, 인도, 중남미, 동유럽 등 신흥국 수요는 견실한 성장이 지속될 전망으로, 전년대비 25% 증가한 20억불 전망
○ 대부분 국가에서 수출 증가가 예상되나, 해외시장에서 경쟁은 더욱 치열할 것으로 보이며, 하반기에는 EM○ 전시회 등 해외시장 마케팅 강화로 다소 호전될 전망
- 경쟁국가의 저가기종 개발, 중국 및 인도 등 수요국에서의 현지생산, 중국 공작기계 업체의 성장, 대만과 중국의 ECFA 체결 등으로 해외경쟁 가속
다. 수 입
○ 수입은 국내 제조업의 생산과 수출의 성장세둔화 영향으로 전년대비 11.1% 증가한 15억불 전망
○ 수입증가세는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나, 자동차, 전기 전자 업종 등에서의 설비투자는 지속될 것으로 보임
- 고급기종 및 다기능 제품의 수요, 저가 보급형기종의 마케팅 강화등의 영향으로 수입이 다소 늘어날 전망
라. 내 수
○ 내수는 전년대비 2.9% 증가한 4조 8,450억원 규모 전망
○ 공작기계 생산, 수입, 수출 성장률이 전년에 비해 둔화될 것이나, 증가세는 지속
<표> 2011년 국내 공작기계시장 전망
년도
생산(억원)
수출(백만불)
수입(백만불)
내수(억원)
2011
54,000
2,000
1,500
48,450
(4,865백만불)
(22,200억원)
(16,650억원)
(4,365백만불)
2010
50,000
1,600
1,350
47,105
자료 : 통계청, 관세청
  • 가격2,8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9.2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0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