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급자로서의 교사 담론의 문제
2. 한국 교원노동시장의 특징과 교사개혁의 문제
3. 수요자 중심 논리와 교사
2. 한국 교원노동시장의 특징과 교사개혁의 문제
3. 수요자 중심 논리와 교사
본문내용
당성을 얻으려면 몇 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첫째, 국가가 공급자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분명히 해야 한다. 즉 국가 자신이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채워주기 위해 적절한 상품을 개발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상품의 생산 단위를 교육청과 학교에 이관하려는 혁명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전문직성을 보장해야 한다. 의사의 전문성은 수요자인 환자로부터 포괄적 개입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것은 의사 전문성에 대한 확고한 믿음에 기초한다. 셋째, 교사의 노동자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서구에서 발달한 내부시장 논리가 역시 노동조합을 분쇄하려 한 목적이 있었는데, 한국 교원노동시장에서와 같이 노동기본권이 아직까지도 정착되지 않은 현실에 이 논리가 그대로 적용된다면 교사들의 노동기본권은 크게 위축될 것이 뻔하다.
추천자료
[한국교육사]성리학과 한국교육사
한국교육사 (한국 교육과정 변천)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조직방식,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신학습지도요령, 일본 학습지도요령의 ...
교사기대 - 교육사회,한국사회교육,교육이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PPT자료
[교육사회학] 평생교육의 기능과 역할 설명 및 한국평생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제시
[한국교육의 갈등구조] 제1장 한국 교육의 문제 인식
[한국교육의 갈등 구조] 제1장 한국교육의 문제인식
(한국어교육론 공통)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주요 원리와 방법을 다른 언어 교수법과 비교하...
평생교육기관의 정의, 특성, 성격을 기술하고 학습자가 생각하는 한국평생교육기관의 문제...
한국교육과 루소의 ‘에밀’(루소의 ‘에밀’이 오늘날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어교육] 다문화 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의 해결과제와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