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근로자의 사회복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여성근로자의 사회복지

1. 배    경

2.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의 역사

3. 여성근로자의 직종
1) 성분절
2) 파트타임직

4. 여성근로자의 임금
1) 현황과 여파
2) 임금차이가 나는 이유

5. 여성근로자의 승진

6. 여성근로자의 퇴직
1) 배경
2) 퇴직대비 교육

7. 휴가 및 보육
1) 배    경
2) 현    황
3) 보육제공
4) 부성휴가
5) 탄력근무제

8. 여성근로자의 정신건강
1) 직무만족
2) 기혼여성의 이중역할
3) 스트레스성 심장질환의 발생
4) 실    직

9. 여성근로자에 대한 성희롱
1) 개념과 본질
2) 성희롱에 대한 사회적 통념과 새로운 인식 및 그 여파
3) 현황과 여파

10. 여성 근로자 근무여건의 예
1) 생산직 근로자
2) 서비스직 여성

본문내용

게는 인사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는 점이다.
- 이에 따라 여성근로자의 고용환경이 개선되었다.(남인순)
⇒ 성희롱이 여성에게 직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라는 것이 인식되면서 고용주들은 성희롱에 대한 대처안을 구상하게 되었다.
3) 현황과 여파
(1) 현 황
성희롱은 모든 작업환경에서 발생한다. 사업장에서 성희롱이 얼마나 발생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통계를 찾기는 어렵지만 사업장에서 현재 50% 정도가 성희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그리고 여성근로자의 80~90%가 자신이 직장생활을 하는 동안에 어느 시점에서 성희롱을 겪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Andersen)
한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일반여성의 48.6%가 성희롱을 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 그러나 여성 근로자의 경우에는 87%가 사업장에서 성희롱을 겪은 것으로 알려져서 우리나라 사업장에서 성희롱의 정도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남인순)
-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에 36개의 사업장에서 363건의 성희롱 사건이 노동부에 정식으로 접수되었다.(시사저널)
(2) 발생직종에 따른 특징
성희롱이 전통적으로 여성이 주로 일하는 직종에서 일어났는지 또는 전통적으로 남성이 일하는 직종에서 일어났는지에 따라서 성희롱을 겪는 경험이 다르다는 점이 밝혀진 바 있다.
첫째 : 전통적으로 여성이 많은 직종의 경우에 성희롱이 가지는 특징은 성적 요구를 따르지 않을 때에는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위험이 가해진다는 점이다.
- 이 경우에 성희롱을 하는 사람은 상위자인 경우가 많다.
- 그리고 이 경우에 성희롱을 당한 사람은 성희롱을 당하였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하는 것에 대해서 내적으로 고민을 덜할 수 있고,
- 그리고 성희롱을 당하였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서 다른 여성으로부터 지지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둘째 : 전통적으로 남성이 일하는 직종에 여성이 일하는 경우에는 성희롱을 더 많이 겪게 된다.
- 따라서 이 경우의 성희롱은 남성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여성이 들어가서 위협하게 됨에 따라 이에 대한 보복의 형태로 성희롱이 가해지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 이 경우에 성희롱은 남성이 많은 직종에 여성이 들어와서 일하는 것에 대해서 남성이 불만을 가지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 그러나 이 경우에 여성근로자가 성희롱을 당하였다고 주장하기가 더 어렵게 된다. 왜냐하면 성희롱을 가한 사람은 동료 근로자일 가능성이 더 많기 때문이다.(Andersen)
(3) 여 파
성희롱은 여성이 자신을 근로자로 생각하는 것에 대해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사회적 지지망이 없을 경우에 성희롱을 당한 사람은 무력감, 죄책감, 불안감, 가해자에 대한 동정심, 사건에 대한 애매모호성을 보여줄 수 있다.
- 또한 성희롱은 입증하기 어려우므로 성희롱을 당한 근로자는 스트레스를 더 받으며 울분을 터뜨릴 수 있다.
성희롱은 기업에게 피해를 입힌다. 성희롱을 당한 근로자는 사업장을 떠날 수도 있고 또한 성희롱을 당한 근로자는 사업장에서의 생산성이 줄어들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복지사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 첫째 : 성희롱을 방지하는 교육을 주관하고 실행한다.
- 둘째 : 성희롱을 당한 근로자를 상담하고 그 근로자에게 가장 적절한 대처가 무엇인지를 찾아서 도움을 준다.
- 예를들면 성희롱을 당한 근로자가 느낄 수치감을 극복하게 해주고 또 성희롱 피해자가 겪을지도 모르는 대인관계 문제를 조정해 준다.
10. 여성 근로자 근무여건의 예
1) 생산직 근로자
여성은 생산직에 빠른 속도로 참여하고 있다. 사실 최근에 들어서 남성보다 여성이 더 빠른 속도로 생산직에 참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아주 고(高)난도의 기술이 필요한 직종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아직까지는 아주 적은 편이다.
생산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 생산직에 근무하는 여성은 숙련직 근로자보다는 반(半)숙련직 기계작동자로서 고용된 경우가 더 많다.
- 그리고 여성이 근무하는 직종내의 경우 여성이 받는 급료는 남성이 받는 급료보다 적다.
둘째 : 생산직 여성근로자가 일하는 직종에서는 성분절(gender segregation) 현상이 있다.
- 여성이 남성과 같은 직종에 근무할 경우에도 여성과 남성이 근무하는 업종이 다른 경향이 있다.
- 예를들면 여성은 비(非)내구제 업종에 고용되는 경향이 더 있는가하면 남성은 제조업 분야에 고용되는 경향이 더 있다.(제조업 분야가 비내구제 분야에 비해서 임금과 직업관련 급여가 전통적으로 더 좋다.)
- 그리고 생산직 여성은 조립라인(assembly line)에 고용된 경우가 아주 많다.
- 조립직의 경우 하는 일에 대한 자율성도 거의 없고 반복적인 일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Andersen)
2) 서비스직 여성
서비스직은 여성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 직종이다. 서비스직에 근무하는 여성은 임금을 가장 적게 받는 층의 하나이다.
그러나 서비스직은 가장 빨리 확대되고 있는 직종이다. 서비스직의 예로서 패스트푸드근로자, 웨이트리스, 의료보조자를 들 수 있다.
서비스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 서비스직은 성분절이 높게되어 있다. 이것은 특정직업범주 내에서조차도 그렇다.
- 예를 들면 주방근로자와 카운터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75%가 여성이다.
- 그러나 보호와 관련된 서비스직원 근로자(예를들면 경찰, 소방수, 경비원)의 경우 여성은 20%도 되지 않는다. 보호를 제공하는 서비스 근로자가 더 보수가 좋다.
둘째 : 서비스직은 이직률이 높고 파트타임 고용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 이에 따라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여성은 승진기회에서 불리하게 된다.
셋째 : 서비스직은 여성에게는 질이 떨어지는 근무형태일 수 있다.
- 서비스직에 근무하는 여성의 상위자는 권위적이고, 조급하고, 여성에게 노골적으로 적대적인 태도를 가진 남성인 경우가 많다.
넷째 : 성에 대해서 어떤 기대를 가지느냐에 따라서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여성이 경험하는 바가 영향을 받친다.
- 예를들면 웨이트리스는 젊고 섹시할 것이 기대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도발적인 옷을 입을 것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다.(Andersen)
  • 가격3,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9.27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4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