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스포츠_장애인 스포츠 대회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 스포츠_장애인 스포츠 대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장애인 스포츠의 개념 및 목적
2. 역사적 배경
3. 장애인 스포츠의 필요성


Ⅱ. 장애인 스포츠 대회 소개
1. 전국 장애인 체육 대회
2. 전국 장애인 동계 체육 대회
3. 전국 장애인 학생 체육 대회


Ⅲ. 장애인 스포츠 현황
1. 설문지
2. 통계


Ⅳ. 결론
1. 문제점
2. 개선방안

본문내용

%를 차지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대부분의 사람들이 TV/신문/인터넷 뉴스로 장애인 스포츠를 접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장애인 스포츠를 직접 보러 간 적이 있으십니까?
① 예 ② 아니오
보기

아니오
총 계
응답자수(명)
5
45
50
%
10
90
100
50명의 설문지 응답자중 ‘예’라고 응답한 사람이 5명으로 전체 10%만을 차지하였고, ‘아니오’라고 응답한 사람이 45명으로 전체의 90%를 차지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대부분의 사람들이 장애인 스포츠를 직접 보러 간 적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1. 장애인 스포츠를 직접 보러 가게 된 계기는 무엇입니까?
① 관심이 많아서 ② 가족, 친척, 또는 지인이 참가하기 때문에 ③ 지인의 권유
④ 관련 직종(관련학과)에 종사(재학)하고 있기 때문에 ⑤ 재미있어서 ⑥ 기타( )
보기
관심이 많아서
가족, 친척, 또는 지인이 참가하기 때문에
지인의 권유
관련 직종(관련학과)에 종사(재학)하고 있기 때문에
재미있어서
기타
총 계
응답자수(명)
2
3
0
0
0
0
5
%
40
60
0
0
0
0
100
6번에서 장애인 스포츠를 직접 보러 간 적이 있다고 응답한 5명의 사람들에게 보러 가게 된 계기에 대해 조사한 결과 ‘관심이 많아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2명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하였고, ‘가족, 친척, 또는 지인이 참가하기 때문에’라고 응답한 사람이 3명으로 전체의 60%를 차지하였다.
6-2. 장애인 스포츠를 직접 보러 가신 적이 없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관심이 없어서 ② 잘 몰라서 또는 생소하기 때문에 ③ 접근성이 낮아서 ④재미가 없어서 ⑤ 기타 ( )
보기
관심이 없어서
잘 몰라서 또는 생소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낮아서
재미가 없어서
기타
총 계
응답자수
(명)
17
18
8
0
2
45
%
38
40
18
0
4
100
6번에서 장애인 스포츠를 직접 보러 간 적이 없다고 응답한 45명을 대상으로 직접 보러 가지 않은 이유를 조사한 결과 ‘관심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17명으로 두 번 째로 높은 수치인 38%를 나타냈다. ‘잘 몰라서 또는 생소하기 때문에’라고 응답한 사람이 18명으로 가장 높은 수치인 40%를 차지했고, ‘접근성이 낮아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8명으로 18%, 기타라고 응답한 사람이 2명으로 4%를 차지했다.
기타 의견으로는 ‘일반 스포츠도 야구 외에는 보지 않는다’라는 답변과 ‘홍보부족’이 있었다.
6-3. 기회가 된다면 장애인 스포츠를 보러 갈 의향이 있으십니까?
① 예 ② 아니오
보기

아니오
총 계
응답자수(명)
36
9
45
%
80
20
100
6번에서 장애인 스포츠를 직접 보러 간 적이 없다고 응답한 45명을 대상으로 기회가 된다면 장애인 스포츠를 보러 갈 의향이 있냐고 물어 본 결과 ‘예’라고 응답한 사람이 36명으로 전체의 80%를 차지했고, ‘아니오’라고 응답한 사람이 9명으로 20%를 차지했다.
이것으로 보아 대부분의 사람들이 ‘장애인 스포츠를 보러 갈 기회’가 있어도 가지 않을것으로 보인다.
7. 장애인 스포츠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장애인 스포츠시설의 확충 ②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 ③장애인 스포츠정책의 제도적보장④지도자 양성 ⑤재정규모 확대 ⑥일반시민들의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 ⑦기타 ( )
보기
장애인 스포츠시설의 확충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
장애인 스포츠정책의 제도적보장
지도자 양성
재정규모 확대
일반시민들의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
기타
총 계
응답자수(명)
11
10
0
0
2
27
0
50
%
22
20
0
0
4
54
0
100
50명의 설문지 응답자들에게 ‘장애인 스포츠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방안’에 대해 조사한 결과 ‘장애인 스포츠시설의 확충’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11명으로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인 22%를 차지했고,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10명으로 20%, ‘재정규모 확대’라고 응답한 사람이 2명으로 4%를 차지했다. ‘일반시민들의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27명으로 가장 높은 수치인 54%를 나타냈다.
그리고 ‘장애인 스포츠정책의 제도적보장’, ‘지도자 양성’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이것으로 보아 많은 사람들이 장애인 스포츠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일반시민들의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결론 및 제언
1. 문제점
앞에 보시는 바와 같이 우리가 조사한 사람들 다수가 ‘장애인 스포츠 활동’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첫째,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홍보와 인식이 부족하다. 일반 스포츠 중에서도 홍보부족으로 인해 알려지지 않고 소외되는 스포츠가 많다. 이처럼 장애인 스포츠 또한 홍보 부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부족하고, 사람들의 인식 또한 미비하다.
둘째, 장애인 스포츠에 대해 편견과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현대의 사회에서 사람들이 장애를 개인의 불행으로 돌리는 일반 사회의 편견이나 약자를 더욱 불리하게 하는 경쟁적 사회구조에서부터 이처럼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이 대두되고 있다.
2. 개선방안
먼저 문제점으로 지적된 인식부족은 대중매체를 통해 홍보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이 대중매체를 접하고 우리 주위에서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장애인 스포츠 활동에 대한 홍보를 하면 사람들의 관심을 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예능프로그램에서 비인기종목인 ‘조정’이라는 스포츠를 다루면서 대중매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처럼 장애인 스포츠도 대중매체를 통해 좀 더 재미있고,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함께 어울려 활동하는 모습을 통해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인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편견을 낮추기 위해서 장애인 스포츠의 명칭이 재활 스포츠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스포츠를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재활과 통합을 위해서 또는 사회적응을 위해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고 자기 잠재적인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스포츠가 되었으면 하기 때문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2.09.28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