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강한국고대의시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3강한국고대의시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국사의 고 중세 시대구분

1. 고대사회란 어떤 사회일까?
2. 한국 고대사회의 성립과 발전
3. 한국 고대사회의 변동
4. 한국 중세체제의 성립



II. 불교사상사에서 본 고대의 기점과 종점

1. 불교와 사회의 융합
2. 불교의 수용과 고대의 기점
3. 불교의 종파형성과 고대의 종점

본문내용

라 고대의 수평적 사회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음. 김기흥, <고대와 중세 한국사의 시대구분>, 신서원
: 우리 고대사회는 중국의 수직적 사회질서가 발달하는 대신 연령집단 성별집단등의 수평적 사회구조가 발달하였는데, 불교는 기존신앙을 융합 흡수했듯이 수평적 사회구조의 기본적인 변질을 초래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불교의 수용이 일반사의 시대구분에 뚜렷한 계기가 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닌다.
⑤ 왕실 시조 : 천강 → 인도의 석가족 인도 석가의 왕실
환생 ☞ 시조신 신앙보다 우월성 인정받음
(3) 왕실에서의 불교
① 삼국 신라 : 정교일치(政敎一致), 왕즉불사상, 왕실 = 석가족 왕명 네이버 지식검색(http://kin.naver.com)
: 진평왕의 이름은 백정(白淨)으로서 석가모니의 아버지 이름인 백정왕(白淨王, 일명 淨飯王)에서 취한 것이고, 왕비도 석가모니의 어머니 이름을 그대로 취하여 마야부인(摩耶夫人)이라 하였다. 또한 진평왕의 아우 백반(伯飯)과 국반(國飯) 등도 인도 백정왕의 아우였던 백반왕 등의 이름에서 취한 것으로서, 이때의 왕실은 석가족의 왕명들을 그대로 따온 것이었다.
② 통일 신라 : 정교분리, 현세적 통치권만 불교와 분리되고 내세에는 불교로 환생, 왕실 = 중국식 묘호
③ 왕실을 중심으로 한 하향식교화
3. 불교의 종파형성과 고대의 종점
(1) 고대국가에서 불교의 위치
① 국교화된 다음 지배층 형성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고대국가의 지배층을 더욱 두드러지게 함.
② 초기불교가 경전을 중심으로 집단적인 강론을 통하여 이념적인 체계확립에 기여하였기 때문
③ 통합적 이론으로 정치 군사적 통일을 공고히 함
(2) 불교의 전파
1) 원효의 교리
① 통합적 교리의 추구 → 8세기까지 계속됨
② 불교의 실천적 신앙생활이 확산
③ 일반서민에서 노비신분에 이르기까지 독실한 신도로 변함
④ 점차 이론보다 실천적 사회운동으로 확산
2) 새로운 불교운동
① 미륵불신앙 : 백제의 고성에서 발생 후 군사적으로 통합된 신라의 변방으로 확산
→ 수도중심의 문화에 저항하는 소박성과 실천성을 바탕으로 지방사회에 뿌리내림
② 의상 : 교리적 측면보다 실천면에서의 화엄사상을 강조
(3) 사회의 변화
9세기 중반 소비의 확대로 인해 재정면에서 고대사회의 파탄 조짐
중앙귀족 사회를 유지할 물자의 공급 감당 불가
신라 변두리에 초적이 일어나 징세품 약탈
(4) 지방 사원의 발전
1) 사상계의 변화
9세기 초 늘어나는 빈민층에게 신통력을 발휘해 민중에게 용기를 준 영여, 연회, 정수 등. 신비사상
고승들 존재
의상 진표가 심어놓은 지방 사원의 독립적 유지
※ 진표(眞表)의 계승자
주로 고(古)백제 지역에서 활동
9세기 중반부터 종파로 발돋움
사원 → 9세기 말 후삼국 정립기 : 말세적 혁명사상(미륵사상과 관련)으로 점화 ☞ 유가종(瑜伽宗) 법상종(法相宗)
의 기원
※ 진표와 의상의 실천적 사상과 변방적 활동무대는 9세기 말 토호세력 세력을 지니고 있는 토착민. 호족.
의 등장을 가속화
2) 선종
지방사회와 밀접한 불교의 경향은 선종에서 뚜렷했음
남종선 선종의 일종
: 변방성, 단순성, 실천성, 분파성, 인맥을 강조한 종파형성 김기흥, <고대와 중세 한국사의 시대구분>, 신서원
: 남종선은 당의 후반기부터 뚜렷이 변방성 단순성을 바탕으로 한 실천성, 그리고 정치의 중심지가 아닌 남중국의 산문을 기반으로 한 분파성이 강하였다. 여기에 직접전수라는 심전의 주관적 연결은 인맥을 강조한 종파형성의 특성을 여러 면에서 내포하는 속성이 컸었다.
신라인 당 유학승의 남종선 심취 및 변방 활동 : 동아시아의 사회와 사상의 동시성
통일신라가 발해와 대립하자 당은 신라와 유학생을 우대하였고, 많은 유학승도 왕래하면서 대륙의 사상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들이 당말의 지방분권적 사상과 같은 경향을 가진 남종선에 심취하고 신라의 변방에서 활동한 점은, 동아시아의 사회와 사상이 동시성을 가지고 전환하였다는 측면에서 강조되어야 할 요소이다.
3) 중세 종파불교의 결정적 형성 요인
중앙의 교학불교보다 선종의 발전
중앙불교보다 (진표와 의상이 심어놓은) 지방사원의 발전에서 비롯됨
경주 빈민촌에서 활동하던 신비주의 고승의 활동이 과도기의 매개체
(5) 불교와 사회 전환의 동시성
① 불교의 종파형성은 지방 불교세력을 중심으로 신비사상이 뒷받침
② 신비사상의 지리설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풍수지리설 : 삼국시대 때 도선에 의해 소개되었고, 신라말에는 예언적 도참사상과 결부되어 신라왕조를 무너뜨리는데 큰 역할을 했다. 지방의 호족들에 의해서 발전했다.
이 지방토호들을 자극
③ 불교의 전환과 사회의 전환이 동시성 지님
④ 종교사회사와 일반사의 시대구분의 계기가 일치하여 구분될 수 있음
⑤ 변방의 중요성 강조 → 경주를 회전축으로 인식하던 고대사회의 붕괴 원동력
(6) 불교계의 변화
① 일원적 통합보다 분파적
② 사변적이기 보다는 실천면 강조
③ 국통에 의한 일원적 체계보다는 국사 왕사를 통한 종파별 다원성
(7) 중세(고려)의 불교 모습
① 개경을 구심점으로 지방의 고승을 중앙으로 흡수 연결
② 종파의 독립성 유지
③ 분파성을 인정하면서 경쟁적 충성심 유발
④ 일반관료의 임명과 유사하게 승려 임명의 체계화
(8) 변화의 의의
① 종교와 사회의 변화가 동시에 일어났다는 점에서 고대의 기점에서 새로운 종교였던 불교가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지 못한 점과는 다름
② 지배층과 종교의 전환이 고대에서 중세로의 전환에 동시에 작용 학파불교에서 종파불교로의 전환은 진골중심에서 토호세력의 지배층 형성과 궤도를 같이함
* 따로 출처가 달려있지 않은 각주는 네이버(www.naver.com)의 국어사전이나 백과사전을 참조하였습니다.
한 점에서 고대의 기점보다 훨씬 정도가 심각한 변화였음
③ 아직은 가족 친족 등 사회기층에는 큰 변화가 없었음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김기흥, <고대와 중세 한국사의 시대구분>, 신서원
2. 김기흥, <새롭게 쓴 한국고대사> “제3장 삼국통일”, 역사비평사
3. 김기흥, <삼국 및 통일신라 세제의 연구>, 역사비평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9.28
  • 저작시기200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